- 근대에 들어와 자연과학의 놀라운 성취를 목격한 사람들은 인간과 사회에 대한 이해, 분석도 언젠가 그와 같은 수준에 도달할 수 있을 거라 기대하게 됨. - 인간과 사회에 대한 학문을 자연과학 모델로 발전시키려는 움직임 등장. -> 객관적이고도 엄밀한 관찰과 자료의 축적과 이를 통한 법칙의 발견. - 사회과학은 자연과학의 눈부신 성과에 깊은 인상을 받고 인간과 사회에 대한 탐구에서도 자연과학적 성취와 유사한 것을 이룩하기를 기대하기 시작. - 초기 사회학자, 사회과학자들은 사회해부학 social anatomy, 사회생리학 social physiology, 사회물리학 social physics 등의 용어 사용. - 자연과학을 모방하려 했고, 통계학과 계량적인 접근 사용 시작 -> 중요한 방법론적 전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