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문화인류학

[여행 잘하는 법] 문화인류학 현지 조사 방법 - 공간지각 (프록세믹스)

좀좀이 2017. 1. 5. 22:27
728x90


프록세믹스 (proxemics)는 에드워드 홀이 공간에 대한 인간의 지각 및 그 사용에 관련해 만들어낸 용어.


- 여러 다양한 상황과 다양한 사회 속에서 사람들 간의 근접성 proximity 을 연구.

-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어떻게 공간을 사용하는가가 침묵속에서도 의미심장한 것을 이야기한다는 것을 보여줌.

세계의 각 사회는 공간의 사용에 대해 상이한 패턴을 갖고 있기 때문에 서로 다른 문화간의 커뮤니케이션을 걸칫하면 왜곡시킬 수 있음.

- 또한 이런 공간 사용에 대한 상이한 패턴은 우리의 공간 사용 방식으로 우리가 의도하지 않은 메시지를 보낸기도 함.

- 사람들은 각기 상황에 따라 주위의 사적인 공간의 유지를 원하며, 이러한 사적 공간의 크기는 사람들이 각각 성장한 특정한 문화 또는 자신의 문화에서 공간 사용이 유형화되는 방식에 매우 크게 의존함.

- 공간 사용에 대한 상이한 패턴을 가진 두 사람이 만났을 경우, 한 명은 최대한 거리를 두려 하고 한 명은 최대한 다가가려 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하며, 상호간에 대한 오해와 불신을 낳기도 함.

- 공간 사용 유형에서 세부적 사실들은 국가에 따라 매우 다르지만, 적어도 도시 지역과 도시 근교 지역간의 차이는 상당히 유사하다는 것이 연구를 통해 밝혀지고 있음.

- 사적인 접촉이 통상 몇몇 친지에 국한되는 도시 지역에서는 사회 전체적으로는 개방적이지만 가족이나 가정은 외부인에 대해 종종 폐쇄적인 모습을 보임. 인구가 희소한 지역에서는 접촉하는 사람들의 수가 적어서 서로가 서로를 알고 인사하려는 경향이 큼. 이로 인해 농촌에서 도시로 이주한 사람들은 도시 사람들이 이웃에 대해 별로 아는 체 하지 않으려 하는 것에 당황하고, 도시에서 시골로 이주한 사람은 반대로 이웃들이 아무 때나 찾아와 물건을 빌려달라고 하거나 불시에 놀러와서 당황해하는 모습을 종종 보임.

- 사람들이 공간을 어떻게 사용하는가에 따라 공간의 사용방식은 목소리의 음조와 거의 마찬가지로 의사를 전달할 수 있음. 이는 언어와도 같이 공식적이거나 비공식적일 수 있고, 온화하거나 냉정할 수 있고, 지위의 고하를 나타낼 수도 있음.

- 공간 사용의 유형은 민족에 따라 다르며 동일한 패턴이 세계 각지에서 전혀 상이한 의미를 전달할 수 있음.

- 모든 사회에서 사람들은 각자의 사회가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방식으로 공간 속을 이동하고, 각 사회의 고유한 생활양식, 건축 디자인의 패턴, 가구의 배열 등과 관련된 방식으로 공간 속에서 움직이며 일정한 방식으로 다른 사람들과 상호작용하는 것을 학습하며 성장함.

- 일반적으로 밝혀진 사실은 모든 사회에서 대다수의 사람들이 자신의 공간을 어떻게 사용하는가에 대해 의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 이것에 대해 질문해도 이들은 어떤 상황에서는 왜 불안하고, 또 다른 상황에서는 왜 편안함을 느끼는지 확실히 대답하지 못함.

- 우리들과 상호작용하는 사람들의 공간 패턴에 우리의 삶을 완벽히 순응시킬 필요는 없지만, 문자로 표현되어 있지는 않으나 다른 사람들에게는 익숙한 패턴을 보다 잘 이해함으로써 이들과 보다 원활히 의사소통하는 법을 배울 수 있음,

- 공간 사용의 차이 때문에 타문화와의 관계에 있어서 함정에 빠질 수 있다는 사실을 인식한다는 것은 커다란 진전임.

- 상이한 공간 사용의 체계를 가진 사람들간의 충돌은 국제관계에만 국한된 것이 아님. 사회를 구성하는 여러 다양한 집단의 구성원들이 기본적으로는 비슷한 언어를 사용하고 그 모습도 유사해 보이지만, 이러한 외관 아래에는 시간과 공간, 인간관계를 구조화하는 데에 있어 명확히 공식화되지 않은 여러 차이점들이 존재함.

 

- 공공 장소에서 사람들이 공간 활용을 어떻게 하고, 사람들간의 거리를 어느 정도 두려고 관찰하는 것으로 이 부분을 관찰하는 능력을 키울 수 있음.

- 단, 상세한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한 단위 이상의 관찰 기간이 상당히 길어야 함.

 

- 공간 내에 배치된 가구들이 어떻게 사람들을 멀리 떨어지게 하거나 끌어당기는지 그 정도를 관찰하는 방법도 있음.

- 에드워드 홀은 기차 대합실 같은 장소를 '사회원심적' sociofugal 이라고 했으며, 길모퉁이 카페 테이블 같은 것을 '사회구심적' sociopetal 이라고 규정함.

- 공간에 대한 사회원심적, 사회구심적에 대한 이해는 트인 공간이 필요한 장소에서 혼잡과 막힘을 어떻게 방지할 것인가, 진료소 등에서 환자들과의 상호작용을 어떻게 촉진시킬 것인가 등에 관한 연구에 많은 도움을 줌.

 

- 공간 지각은 순수하게 관찰만을 기초로 수행될 수 있음.

- 또한 공간 지각은 공간의 사용, 상호작용의 패턴 등에 관해 곧바로 실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정보들을 제공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