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즈베키스탄에서 3G로 인터넷을 이용중이라고 몇 번 글을 올렸는데, 그러면 우즈베키스탄에서 어떻게 3G를 사용할 수 있는지 설명할게요.
먼저 준비물로는 스마트폰이 있어야 합니다. 이제 전화국 본사에 갑니다. 3G는 Beeline 을 최고로 쳐줍니다. 통화는 예전에 MTS였는데, 여기가 아직도 영업을 안 하고 있어요. 우즈베키스탄 최대 통신사 3개는 원래 MTS, Ucell, Beeline 입니다. 단, 지방에서는 Beeline 가 잘 안 터져요.
외국인은 무조건 본사에서만 핸드폰 심카드를 구입할 수 있어요. 물론 현지인 아는 사람이 있다면 현지인에게 하나 사달라고 한 후 그걸 사서 사용할 수도 있지만요. 일단 원칙적으로 외국인은 본사에 가서 심카드를 구입해야 합니다. 여권을 들고 가면 심카드를 구입할 수 있어요. 안 팔린 번호들 중 자기가 원하는 번호를 선택해 심카드를 끼우고, 핸드폰에 돈을 넣고 충전을 하죠.
Beeline 에서 통화 발란스를 확인하는 전화번호는
*102#
입니다.
이 번호를 누르면 이렇게 뜨죠.
돈은 숨으로 지불했는데 통화 발란스를 확인해보면 이렇게 달러로 떠요.
재미있는 것은 이것은 공식 환율과 비슷한 액수로 계산된다는 것이죠. 저는 여기서 오래 머물고 있는 중이라 대충 1달러 = 2000숨으로 계산해서 돈을 충전하고 있어요. 이러면 나중에 돈이 남고, 그렇게 몇 달 쌓아서 조금만 충전하거나 아예 충전 안 하고 한 달을 넘길 수도 있거든요.
이제 핸드폰이 개통되었으면 바로 3G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Beeline 3G 요금은 다음과 같아요.
용량 - 가격 - 전화번호
30메가 1달러 *110*0*1#
75메가 2달러 *110*0*2#
120메가 3달러 *110*0*3#
550메가 7달러 *110*0*4#
1100메가 9달러 *110*0*5#
2200메가 11달러 *110*0*6#
3750메가 18달러 *110*0*7#
5500메가 25달러 *110*0*8#
위에 적혀 있는 전화번호를 누르면 용량이 충전되는 식이에요.
흥미로운 것은 용량이 2배가 된다고 요금이 2배가 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에요. 1100메가 두 번 충전할 거라면 처음부터 3750메가 충전하는 게 이득이라는 것이죠. 1100메가 두 번 충전하는 것이나 3750메가 한 번 충전하는 것이나 가격은 똑같으니까요. 또한 1100메가 충전할 바에는 까짓거 공식환율로 2달러 더 내고 2200메가 충전하는 게 더 현명하죠.
비공식 환율로 2달러가 아니라 공식 환율로 2달러입니다!
이건 고작 2달러 내서 곱빼기가 되는 것이 아니라 2인분이 되는 것. 게다가 공식 환율이니 실제로는 얼마 되지도 않는 푼돈이죠. 공식 환율은 아직 정말 잘 쳐주어도 1달러가 2000숨이 안 되는데, 비공식 환율은 1달러가 아무리 못 해도 2700은 해요. 공식을 2000, 비공식을 2700으로 잡아도 2달러면 4000 대 5600. 2달러 더 환전해서 1기가를 2기가로 업그레이드 하고, 남은 돈으로 적당히 군것질 하면 되요. 이럴 때 만만한 것이 솜사.
이제 충전을 했다면 3G 발란스를 확인해 봅니다.
*103#
저 번호를 누르면 아래와 같이 3G 발란스가 떠요.
3G 용량은 1달이에요. 한 번 충전하면 충전된 용량은 한 달 가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충전하며 사용하시면 되요. 잔여 3G 발란스가 이월되지는 않습니다.
'여행-중앙아시아 생존기 (2012-2013)'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즈베키스탄 이동통신사 사태 그 이후 (4) | 2012.09.13 |
---|---|
우즈베키스탄의 러시아인이 우즈벡어 못 하는 이유 (14) | 2012.09.08 |
우즈베키스탄 Beeline 3G 요금 (13) | 2012.09.07 |
우즈벡에서의 나의 인터넷 생활 (28) | 2012.09.06 |
우즈베키스탄 환율 하락 (14) | 2012.09.06 |
우즈베키스탄에서 가장 유명한 분수 (8) | 2012.09.05 |
댓글을 달아 주세요
아하! 그렇군요... 속도만 개선된다면, 참 좋을텐데...
2012.09.07 19:49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혹시 1년에 사용금액이 한국돈으로 계산하면 어느정도 될까요?
1달러
2012.09.07 19:57 신고 [ ADDR : EDIT/ DEL ]공식환율 2000숨
비공식환율 2700숨
1달러 = 1150원
으로 한달 3750기가 사용한다고 하면 실제 한 달 요금은 약 15340원이죠. 1년이면 18만4천원이구요^^ 하지만 공식환율이 2000숨이 안 되요. ㅎㅎㅎ
오.. 그렇군요!!
2012.09.07 20:03 신고 [ ADDR : EDIT/ DEL ]카자흐스탄에는 Active, Kcell, beeline이 있어요. 제 생각인데 Ucell이랑 Kcell이랑 아마 같은 계열사가 아닐까요?
2012.09.07 20:38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이곳에서는 보통 kcell을 많이 쓰지요. 저도 Kcell을 사용하고있는데 한달에 8000원 정도면 3G를 무제한으로 사용할수있어요.
카자흐스탄에서는 월 8000원에 3G 무제한이라니 너무 부럽네요 ㅠㅠ
2012.09.07 22:09 신고 [ ADDR : EDIT/ DEL ]속도에 따라 금액 차이가 재미있습니다...ㅎㅎㅎ
2012.09.08 01:12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행복한 주말되세요.
용량에 따라 용량이 2배가 되는데 가격은 2배가 안 되서 잘 계산하면 곱배기가 아니라 2배인 것이 묘미죠.
2012.09.08 02:23 신고 [ ADDR : EDIT/ DEL ]모피우스님께서도 기쁘고 즐거운 주말 보내세요^^
한달에 15천원이면 굉장히 저렴한거네요 ㅎㅎ
2012.09.08 02:05 [ ADDR : EDIT/ DEL : REPLY ]한국에서도 이정도면 얼마나 좋을까요 ㅎㅎ
다운로드만 안 받으면 4기가면 충분히 잘 써요 ㅎㅎ 그리고 핸드폰 요금은 선불 충전식이라서 딱 필요한 만큼만 쓸 수 있어서 우리나라보다 좋더라구요. ^^
2012.09.08 02:24 신고 [ ADDR : EDIT/ DEL ]선불 충전식이라..귀찮을 거 같기도 한데 많이 안 쓰는 사람에겐 오히려 편리할지도 모르겠어요.
2012.09.08 03:22 [ ADDR : EDIT/ DEL : REPLY ]통화 발란스는 이월이 계속 되기 때문에 돈 있을 때 왕창 충전해놓고 쓰면 별로 귀찮거나 불편하지 않답니다 ㅎㅎ 그리고 처음 두어 달은 얼마나 쓰는지 잘 몰라서 자꾸 충전하게 되거나 너무 많이 충전하게 되는데, 두어 달 지나면 자기가 한 달에 얼마쯤 쓰는지 계산이 서서 그렇게 자주 충전하지도 않아요^^
2012.09.08 03:28 신고 [ ADDR : EDIT/ DEL ]좀좀이 님 혹시 beeline 본사라면 어디를 말씀하시는 건가요? unitel 인가요? 아무르티무르 공원 근처?
2015.06.01 12:07 [ ADDR : EDIT/ DEL : REPLY ]다음주에 우즈벡 가는데 선불 심 사려고 합니다. 도움을 주세요 !!!
아무르 티무르 공원 근처에 있답니다. 거기가 본사에요. 외국인들에게는 본사 외에는 심카드를 안 팔더라구요=_=;;
2015.06.05 00:39 신고 [ ADDR : EDIT/ DE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