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촌락지리학

촌락지리학 - 촌락지리학 속의 지리학, 사회학, 인류학적 전통

좀좀이 2017. 10. 18. 11:07
728x90

촌락지리학 - 촌락지리학 속의 지리학, 사회학, 인류학적 전통


지리학적 전통


- 촌락지리학이 독자적인 분야로 등장한 것은 지역지리학이 힘을 잃어갈 때인 1950년대.

- 1950년대 이전까지 인문지리학이 연구했던 것 대부분이 사실상 촌락지리학. 왜냐하면 지역지리학의 주된 관심이 사람과 자연환경의 상호작용에 관한 것이었던 것처럼 인문지리학자들도 주로 촌락 지역을 대상으로 연구.

- 도시 지역에 대한 연구가 새로운 과정 중심 지리학이라는 틀 안에서 유행하면서 촌락지리학은 구시대적 접근의 잔재물로서 마치 결격 사유를 가진 분야처럼 인식됨.

- 1970년대 이전까지는 지리학의 주변부로 밀려나 있었음.

- 1960~80년대 촌락지리학의 핵심적 관심사는 농업지리학, 촌락 공간을 둘러싼 인간 활동의 영향과 조직, 촌락 경관과 토지 이용이었음.

01. 농업지리학

-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농업이 갖는 경제적 중요성과 농업을 근대화하겠다는 정책적 관심 반영.

- 연구주제 : 농업의 구조적 변화, 농업적 토지 이용 패턴, 농장 시스템, 농업의 사회지리 등.

02. 촌락 공간을 둘러싼 인간 활동의 영향과 조직

- 교통망과 촌락 패턴에 대한 연구, 인구 분포와 이주에 대한 연구 등.

- 촌락 형태의 분류에 초점.

- 이후 좀 더 응용적인 접근들이 등장하면서 촌락 계획의문제로까지 관심이 전환.

03. 촌락 경관과 토지 이용

- 위의 두 접근을 부분적으로 종합하면서 촌락 경관의 전개 과정에 대해 기술하고 설명.

- 특히 북미 지리학계에서 뚜렷하게 나타남.


- 이 전통적 접근들은 개념적 인식이 크게 결여된 채 다분히 경험적인 경향을 갖고 있었음.

- 많은 촌락지리학자들은 연구에 개념적 틀을 적용한다고 하면서도 촌락의 쟁점과 관련된 다분히 경험적인 관심사들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었음.

- 이론이 사용되었다 해도 이것은 종종 폰 튀넨 Von Thunen 의 토지 이용 모델이나 크리스틸러 Christaller 의 중심지 이론과 같은 공간적 모델들을 적용하는 것에 한정.

- 이러한 모델들은 본질적으로 경험적 관찰 결과를 지도로 일반화해서 재현하는 수준이었고, 애초에 사용된 맥락을 벗어나면 제대로 기능하지 못했으며, 관련 현상을 만들어낸 사회, 경제, 정치적 과정에 대해 아무 것도 말해주지 못함.

- 지리학적 전통이 현대 촌락학에 기여한 바는 다음 세 가지.

01. 공간 및 공간적 차이에 대한 감수성을 남김.

02. 경관의 중요성을 상기시킴.

03. 인간과 자연의 상호작용에 대한 관심을 일으켰고 이것은 오늘날 새로운 방식으로 재인식되고 있음.


사회학적 전통


- 촌락사회학이 유럽과 북미에서 급속히 확산되고 도약한 것은 제1차 세계대전 이후.

- 양차 대전 사이에 촌락 사회는 급속한 도시화와 산업화를 경험하고 거센 변화의 압력을 겪었고, 이에 따라 촌락사회학이 크게 유행함.

- 초창기 촌락 사회학은 유럽 및 북미의 교회들과 관련된 도덕적 사안들이나 1908년 루즈벨트 대통령의 시골생활위원회 Commission on Country Life 와 같은 정치적 운동들을 주로 다루고 있었음.

- 이러한 도덕적 사안들은 서로 상반되는 두 가지 측면을 종종 내포했음.

01. 촌락 세계를 기술적, 경제적으로 근대 산업 세계 속에 통합시키기 위해 촌락 세계의 구조를 변모시키려는 농업적 근대화 운동이 있었음.

02. 당대 사회적, 정치적 긴장에 대한 일종의 보다 이데올로기적인 반작용 운동이 있었음.


- 이렇게 서로 얽혀 있는 두 가지 압박 요인을 반영하면서, 촌락사회학은 다양한 연구 주제를 개발.

01. 촌락 사회와 도시 사회

- 촌락 사회와 도시 사회의 차이를 규명하는 것은 사회학적 전통의 주요 관심사.

02. 촌락 지역에서의 사회적 관계

- 사회학자들은 친족 조직의 기능, 계층 시스템, 교회와 같은 각종 시설의 중요성 등을 포함하여 촌락 공동체의 사회적 구조를 탐구.

03. 농업 사회학

- 이것은 다음 두 가지 측면에서 농업 지리학과 다름. 첫째, 농가를 하나의 사회적 단위로 인식. 둘째, 농지와 농지 노동자 간의 노동 관계에 관심을 둠.

04. 촌락 사회의 변화

- 촌락사회학 전반을 관통하는 공통된 주제는 근대화의 영향과 그에 따른 변화.

- 일부 학자들에게는 사라질지도 모르는 촌락 사회의 특징들을 연구하는 것이 중요했음.


- 많은 촌락사회학적 연구들이 상당히 실제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졌으나, 전반적으로 촌락사회학은 촌락지리학에 비해 개념적 이론에 보다 젖어있었음.

- 촌락성을 사회, 문화적 관점에서 정의한 것은 대체로 촌락사회학 분야에서 이루어짐.

- 촌락사회학자들은 촌락 사회와 도시 사회라는 이분법을 경험적인 차원에서 실험해 보면서도, 현대 사회에 대한 논의의 일환으로 촌락 사회와 도시 사회에 대한 생각을 펼쳐나갔던 페르디난트 퇴니스, 막스 베버, 에밀 뒤르켐 등 선구적 사상가들의 사회 이론에도 관심을 가졌음.

-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촌락-도시연속체'라는 개념은 촌락사회학의 주요 화두였음.


- 사회학적 전통이 현대 촌락학에 기여한 것 중 하나는 촌락성 담론을 펼칠 때마다 등장하는 촌락과 도시의 차이를 어떻게 인식할 것인가 하는 부분에 있었음.

- 사회적 관계와 사회 구조, 분석 단위로서 세대의 중요성, 기타 보건, 교육, 주택 보급 등 촌락 지역에서의 복지 지원 등에 대한 관심을 불러옴.


인류학적 전통


- 대부분의 인류학적 연구 자체가 사회 구조와 사회적 과정에 특히 관심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인류학적 전통과 사회학적 전통 사이에는 중복되는 부분이 일정하게 존재.

- 그러나 인류학은 연구자가 촌락 공동체 안에 들어가 생활하는 민족지학적 방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방법상으로는 사회학적 전통과 차이가 있음.


- 인류학적 전통이 만들어낸 최고의 성과는 1940~50년대에 영국과 아일랜드에서 수행된 수많은 사례의 '촌락 공동체 연구들'.

- 이들 연구는 사회 구조, 경제 활동, 가족과 세대, 종교, 정치, 문화적 활동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한 것으로 공동체 하나하나에 대한 포괄적인 탐구.

- 이러한 공동체 대상 연구들은 본질적으로 고강도의 경험적인 것이나, 그중 일부는 해당 공동체를 이해하기 위한 개념적 이론을 이용하기도 함.

- 이에 해당하는 많은 연구들이 사회, 문화적 이론들에서 말하는 촌락 사회의 특징들을 규정하려고 애씀.

- 반면 파랑켄버그 Frankenberg 는 9개의 공동체를 촌락-도시연속체를 따라 배치했고, 또 어떤 연구자들은 촌락 공동체에서의 사회적 관계의 일면을 설명하기 위해 어빙 고프만 Erving Goffman 이 사용했던 전선지역 및 배후지역의 개념처럼 개발도상국을 사례로 인류학적 연구들이 개발한 개념들을 차용.


- 제도적으로 인류학은 현대 촌락학에서 지리학이나 사회학 수준의 뚜렷한 입지를 갖고 있지는 않음.

- 인류학적 전통이 남긴 유산은 다음의 세 가지 점에서 뚜렷히 인식됨.

01. 촌락학에서 '촌락 공동체'를 주요 주제로 부상시킴.

02. 인류학적 전통은 촌락의 정체성에 지속적인 관심을 갖게 해줌.

03. 현대 촌락학의 방법론의 하나로서 민족지학적 공동체 연구가 부흥하게 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