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파크리
- 촌락성을 정의할 수 있는 대안적 방법이 있다고 주장.
- 애초부터 촌락 스케일에서 작동하는 인과적 구조를 추상화할 것을 요구하지 않음. 이 대안적 방법은 '촌락' 및 이것의 동의어들이 단지 '사람들이 일상 대화에서 이해하고 사용하는 단어이자 개념일 따름'이라는 점에 근거룰 둠.
- 사회적 재현 social representation 접근은 촌락 지역에서 독특하게 나타나는 사회적 특징이나 경제적 구조를 확인하려하지 않음.
- 사람들이 촌락에 대해 생각할 때 어떠한 상징, 기호, 이미지를 떠올리는지 탐구.
- 이것은 실제로 촌락성을 정의할 수 있는 매우 유연하고 강력한 방법.
- 사회, 경제적 변화가 촌락 환경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드러낼 수 있음.
- 사회, 경제적 변화를 고려한다면 기능적으로 뚜렷하게 정의될 수 있는 단일한 '촌락 공간'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음. 단지 촌락이라 불리는 영역에 대한 많은 상상된 사회적 공간만이 존재할 따름.
- 사회적 재현 접근을 따르면, 촌락성을 어떻게 정의하는지의 문제는 '사람들이 스스로 어떻게 촌락적이라고 구성하는지'의 문제로 치환됨.
- 촌락성은 일종의 '정신적 상태'.
- 촌락성은 '사회적 구성물'이며, '촌락'은 촌락 주민들이 참여하는 사회적, 도덕적, 문화적 가치의 세계.
- 이러한 접근은 촌락 지역의 통계적 특징에 대한 관심보다 누가 그곳에 살고 있고, 누가 그곳을 방문하는지에 초점을 둠.
- 촌락에서 거주하고 촌락에 대한 이상적인 관념을 갖는 것은 그 사람들의 태도, 행동에 영향을 끼침.
- 어떤 지역이 '촌락'이 되는 것은 그 지역의 경제나 인구밀도 같은 구조적 특징의 변화 때문이라기보다는, 그 지역을 이용하거나 방문하는 사람들이 그곳을 촌락이라 생각하기 때문.
- 사람들은 TV, 영화, 문학, 휴가, 일상 경험 등을 통해 '촌락성'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선입견을 갖고 있음.
- 그리고 사람들은 이러한 '지식'을 사용해 특정 지역, 경관, 생활방식, 활동, 사람 등을 확인함으로써 그 지역을 '촌락'으로 인식.
- 한편 이는 인과적으로 영향을 끼치기도 함.
- 사람들은 자신이 촌락에 살고 있다고 생각하면 촌락 생활이 어때야 하는지에 대한 당위적 관념을 갖게 되며, 이는 결과적으로 자신들의 태도와 행태에 영향을 끼침.
- 또한, 사람들은 자신이 당위적이라 생각하는 시골의 모습이 택지 개발 등에 의해 위협을 받는다고 느끼면 그 이미지를 보호하려는 동기를 갖게 됨.
- 이처럼 촌락이란 사람들마다 상이한 방식으로 형성되는 사회적 구성물이기 때문에, 촌락의 의미가 무엇이고, 촌락의 모습이 어때야 하는지를 둘러싼 갈등이 나타날 수 있음.
- 촌락이 사회적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된다는 것은 '촌락성에 대한 담론'이 다양하다고 표현 가능.
- 여기에서 '담론'이란 세계를 이해하는 방식을 의미하기 때문에, 촌락성에 대한 담론은 촌락을 이해하는 방식 그 자체.
- 프라우스 Frouws : 네덜란드 촌락 지역의 정부를 대상으로 하는 정책 담론 policy discourse 에 대해 기술. 이 정책에는 이른바 농업-촌락주의 agri-ruralist 담론이 포함. 이는 농업의 이익을 최우선시하면서 '농부야말로 촌락을 사회적, 경제적, 문화적 공간으로 창조하고 수호하는 핵심적 행위자'라는 주장이 포함되어 있음. 또한 여기에는 실용주의 utilitarian 담론도 포함되어 있음. 이는 촌락 지역의 문제를 저개발의 결과라 간주하며 촌락 지역을 현대 시장과 사회, 경제적 구조에 포함하기 위해 촌락 개발 전략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주장이 포함되어 있음. 또한 이 정책에는 쾌락주의 hedonist 담론도 포함되어 있음. 이는 시골을 여가와 레크리에이션 공간으로 재현하면서 '이상적인 시골'을 자연의 아름다움과 매력이라는 측면에서 파악.
- 평범한 사람들이 자신의 일상생활에서 생산 및 재생산하는 촌락성에 대한 일상 담론 lay discourse 도 중요.
- 예술, 문학, TV, 영화 등의 문화적 매체를 통해 유포되는 '촌락성에 대한 대중 담론'도 중요.
- 이 두 가지 형태의 담론은 서로 밀접히 연관.
- 일상 담론은 필연적으로 대중 담론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대개 마찬가지이기 때문.
- 촌락성과 관련해서 가장 중요한 대중 담론은 촌락 전원성 rural idyll.
- 촌락 전원성은 이상화된 촌락성에 대한 열망을 나타내면서, 대개 목가적인 경관이나 '평화와 고요'로 인식되는 것들을 강조.
- 촌락 생활은 단조롭고, 순수하며, 보다 진실한 사회라는 이미지와 관련되어 있음. 전통적 가치가 남아 있고 생생한 삶이 어우러진 사회로 인식됨. 여가, 우정, 가족 관계, 고용이 보다 참되고 진정성 있는 것으로 여겨지며, 기만적이고 진실하지 못한 도시 생활과 그 혼돈스러운 가치들이 방해할 수 없는 사회라 인식됨.
- 시골은 계절에 따라 살아가는 사람들과 서두름 없는 생활 양식이 존재하는 곳으로 묘사. 사람들은 서로에 대해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수 있고, 나름대로의 장소를 갖고 진정성 있는 역할을 수행하는 보다 유기적인 커뮤니티를 형성. 시골은 모더니티로부터의 피신처.
- '촌락 전원성'은 일종의 신화이나, 이는 관광객으로 하여금 촌락 방문 유도, 촌락으로의 이주자들에게도 영향을 끼침.
- 이러한 사람들이 생각하는 촌락 전원성의 구성 요소들은 일반적인 촌락 주민들의 삶의 경험을 통해 생산하는 일상 담론과 뒤엉켜 있음. 이 둘은 현실 속에서 결코 양립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음. 왜냐하면 일상 담론은 매일매일 삶에 뿌리를 내리고 있기 때문에 촌락 생활에 대해 냉소적이며, 심지어는 부정적이기까지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