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문화인류학

문화인류학 - 민족지적 연구와 질적 연구, 양적 연구의 관계

좀좀이 2019. 9. 8. 20:24
728x90

문화인류학 - 민족지적 연구와 질적 연구, 양적 연구의 관계


- 최근 사회과학 분야의 여러 학문에서 질적 연구 qualitative research 방법론에 관심이 커지고 있음.


- 경험적 연구가 질적 연구와 대비되는 개념처럼 사용되는 경우가 간혹 존재.

- 그러나 엄밀히 말하면 경험적 연구는 이론적 연구에 대비되는 개념. ->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모두를 포괄.

- 경험적 연구는 질적 연구의 대비 개념이 아니며, 오히려 질적 연구는 양적 연구와 함께 경험적 연구를 구성하는 요소.


- 사회과학계에서는 한동안 통계수치와 설문조사 결과를 사용해 사회를 측정하고 분석하는 양적 연구 또는 통계적 연구가 지배적이었음.

- 사회과학의 조사방법론 교과서들 또한 이러한 기법들을 중심으로 집필됨.

- 심지어 다수의 표본과 숫자와 수식을 사용하는 계량적 연구만이 엄밀한 과학적 연구이며, 그렇지 않은 연구란 무언가 확실성과 객관성이 부족하다는 견해가 지배적이던 때도 있었음.


- 그러나 인간이 세상을 경험하는 방식이 문화나 집단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는 질적연구는 실증주의적 인식론에서 출발한 양적 연구와는 접근 방법을 상당히 달리함.

- 상당수 질적 연구자들은 이타적 행위나 공격적 행위 또는 핵가족이나 결혼 같은 개념과 범주가 객관적이거나 보편적이지 않으며 또 그 의미나 표현도 특정한 문화나 맥락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점을 문제시하면서 이러한 것들을 단일한 척도로 측정하려 노력하지 않음.

- 그러나 양적 연구자 중 상당수는 응답자의 태도나 취향을 물어보고는 '매우 그렇다, 그렇다, 보통이다,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지 않다' 중 선택할 것을 요구하기도 함.

- 이러한 등간척도 사용은 지극히 다양하고 미묘한 내용들을 단일한 차원의 수치로 환원해 측정할 수 있다는 양적 연구방법의 가정을 잘 보여줌.


-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는 서로 배타적인 것으로 보일 수 있음.

- 그러나 실제로는 상당수 연구자들이 필요에 따라 두 접근법 모두 사용.

-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구분은 항상 명확한 것도 아님.

-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는 관심과 강조점이 각기 다르며, 일반적으로 어느 한 쪽이 더 우수한 것은 아님.

- 질적 연구와 양적 연구는 서로 보완적 -> 연구자가 갖고 있는 질문과 연구대상에 따라 더 적절한 방법 선택 가능.


- 양적 연구자들은 좋은 양적 연구가 가능하려면 수준 높은 질적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을 잘 알고 있음.

- 통계자료를 수집하거나 설문지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어떤 통계를 수집하고 어떠한 범주들을 사용할지, 무엇을 누구에게 어떻게 질문할지 등을 제대로 결정하려면 상당한 수준의 질적 이해가 선행되어야 함. (설문지 설계 중 미묘한 표현, 답변의 순서도 결과에 영향을 끼치기 때문)

- 질적 연구자들 역시 일정 수준의 양적 자료를 수집하고 활용중.


- 인류학 이외의 다른 여러 학문들에서는 질적 연구를 흔히 민족지적 연구 ethnographic research 나 현장연구 fieldwork 와 동일시하는 경향 존재.

- 그러나 질적 연구는 더욱 넓은 개념.

- 민족지적 연구나 현장연구가 매우 중요한 질적 연구인 것은 사실.

- 그러나 그 이외의 다른 연구들도 질적 연구에 포함됨.

- 민족지적 연구나 현장 연구가 인류학의 대표적인 연구방법이기는 하나, 담론 분석처럼 주제의 성격과 상황에 따라 현장 연구를 하지 않는 인류학적 연구도 존재.

- 대부분의 인류학적 연구에서는 자료 수집 과정에서 문서자료, 문화유물 등 각종 물품을 비롯해 다른 사람이 기록해 놓은 자료도 수집 -> 연구 대상 사회 구성원들에게 글을 작성하게 하거나, 현장에서 구술을 받는 등.


- 민족지적 연구는 종종 질적 연구의 전형으로 간주되기노 하나 질적 연구가 곧 민족지적 연구를 의미하지는 않음.

- 질적 연구에는 민족지적 연구 외에 다양한 기법을 사용하는 연구가 포함됨.

- 문헌자료 수집 및 분석, 신문 및 기타 미디어 자료들에 나타난 담론 분석, 연구의 대상이 되는 소수의 사람들과의 심층면담 자료를 근간으로 하는 연구, 다수 행위자들의 상호작용이 얽혀 발생하는 복합적 사건들에 대한 심층적 분석을 통한 연구 등.


- 현대 인류학자는 민족지적 연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질적 정보의 수집, 분석을 병행하고, 필요하고 가능한 범위 내에서 양적 자료의 수집 및 분석도 함.

- 민족지적 연구는 순수하게 질적 연구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님. (양적 연구도 어느 정도 포함하는 종합적인 연구)


- 상관관계 분석은 사회과학의 여러 분과 학문에서 널리 사용되며 발전 -> 종종 인과관계를 추정하는 데에 활용.

- 일보 인류학자들은 계량적 비교 연구 방법을 더욱 개선, 발전시키거나 수학적 방법을 다양하게 사용하고자 노력.

- 그러나 여러 다른 사회과학의 분과 학문들이 통계자료를 이용한 양적 연구에 주력하는 상황에서도 다수의 문화인류학자들은 오히려 현장에 대한 치밀한 질적 연구를 통해 민족지를 작성하는 작업에 전념해 왔음.

- 그 결과 민족지적 연구는 비록 양적 연구를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상당수 사회과학자들 사이에서 흔히 질적 연구의 전형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나타나게 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