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많은 공동체 사회에서 하나의 언어가 아니라 몇 가지 언어가 사용됨.
- 이러한 공동체 사회에서는 2개 언어 상용이 예외가 아니라 보편적 기준이 됨.
- 두 언어가 기능하는 것에는 화자들에게 특정한 기준이 요구되고, 관련 언어들의 기능적 세분화가 필요.
예) 모리셔스 Mauritius
- 언어마다 상당한 규모의 화자가 있는 10개 이상의 언어 존재.
- 대부분은 주로 남아시아 출신 이민자 후손들의 특정 민족집단과 관련.
- 식민언어인 프랑스어.
- 이러한 언어들 사이에는 크레올어가 있음.
- 크레올어는 일반적인 인구 General Population 이라 불리는 특정 집단의 민족 언어. 그리고 공용어 lingua franca 로서의 기능 담당.
- Bhojpuri 민족 출신 사업가는 전화상으로는 영어 사용, 대기업과 거래할 때 및 정부 관료에게 건축허가를 신청할 때는 프랑스어 사용, 동료들과 농담할 때는 크레올어 사용, 집에서 부인과는 힌디어 사용, 자녀들과는 힌디어와 크레올어 둘 다 사용.
-> 아이들과 농담할 때는 크레올어, 아이들에게 숙제하라고 할 때는 힌디어 사용.
2개 언어 상용 사회에서의 언어선택에 대한 결정론적 관점
- 화자들이 사회 현실을 구성하고 해석하고 적극적으로 변형시키는 방식을 강조하기보다는 주어진 사회규범 강조.
- 영역 domain : 사회 조직을 개념적 기반으로 함.
- 화자들이 두 개의 언어를 사용할 때, 그들은 모든 상황에서 두 언어를 다 사용하지 않음.
- 어떤 상황에서는 그 중 하나를 사용하고, 다른 상황에서는 또 다른 하나를 사용.
- 이러한 경우, 누가 어떤 언어를 누구에게, 언제 사용하는지에 대한 질문이 존재.
- 언어선택과 관련된 여러 요소들 - 즉 집단 구성원, 상황, 주제들을 목록으로 작성함으로써 조사 가능.
- 언어는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것에 사용되기 때문에 자기가 소속된 집단에 부여된 정체성은 언어 선택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로 작용.
-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상황 역시 중요한 영향을 끼침.
- 대화의 주제가 언어 선택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음. -> 대부분의 2개 언어 상용 사회에서 경제 상황과 실업률과 같은 주제들은 농담을 할 때나 잡담을 할 때와는 다른 언어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음.
- 언어 선택은 모든 종류의 언어행위와 똑같은 요인들에 의해 영향받음.
- 이러한 접근법은 단편화 fragmentation 될 위험이 있음.
- 상호작용하는 여러 요인들에 의해 엄청나게 많은 서로 다른 상호작용 상황이 일어날 가능성이 존재하나, 하나의 일관된 모습으로 나타나지는 않음.
- Fishman : 화자들이 여러 다양한 상황들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원형적인 주제를 둘러싼 특징적인 상황을 영역이라 생각함.
- 시청의 주택 담당 부서를 방문하거나 소아과 의사와의 면담은 둘 다 어떤 특별한 언어 선택을 필요로 하는 제도적인 영역 institutional domain 에 해당.
- 2개 언어 상용 사회를 조사하는 사회언어학자는 관련된 영역이 무엇인지 결정할 필요가 있음. 이것은 지역사회마다 다를 수 있음.
- 2개언어상용사회 diglossia 라는 개념은 관련된 언어들의 특징들을 출발점으로 삼음.
- 2개언어상용 행위를 상황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것이 가능하며, 관련된 언어들에 초점을 두는 것도 중요함.
- 2개언어상용사회에서는 공동체 사회에서 사용되는 두 가지 변이형의 언어 체계가 포함됨.
- H (high)로 칭하는 형식적인 변이형과 L (low) 로 칭하는 토속적이고 대중적인 변이형은 각각 언어 사회에서 나름대로의 기능을 갖고 있고, 그 기능은 H형태인 정치적 연설에서부터 L변이형태인 친구와의 비공식적 대화에까지 이름.
- 언어의 형식적 유형은 훨씬 더 높은 권위를 지니고 있고, 종교적인 기능과도 관련있음. 또한 문학적이고 역사적 유산과도 관련있음.
- H변이형은 국제적으로 표준화되어 있으며 상대적으로 안정되어 있음. 모국어로써 어린이들에게 습득되는 거이 아니라 생활속에서 습득됨. 또한 H변이형은 L변이형보다 문법적으로 더 복잡한 경향이 있음.
- H변이형은 좀 더 필수적으로 표시되는 문법적 특징들을 갖고 있으며, 좀 더 복잡한 형태음소 체계를 갖고 있고, 덜 대칭적인 굴절체계와 덜 규칙적인 격표식 체계를 갖는 경향이 있음.
- 2개언어상용사회 개념은 안정된 2개언어상용상황을 설명할 때 적합하지 않은 경우도 꽤 많음.
01. 아예 다른 두 언어가 사용되는데 L형태가 H형태보다 더 복잡한 경우.
예) 파라과이 : 스페인어와 과라니어 -> 과라니어는 분명히 토착어이고 스페인어가 식민지어로 여겨진다 해도, 많은 파라과이 사람들이 스페인어와 과라니어 두 언어를 모두 사용. 그러나 언어학적 특징으로 볼 때 그 상황은 L형태와 H형태가 관련 없을 뿐더러 과라니어가 스페인어보다 문법적으로 더 복잡함.
02. 여러 변이형이 나타나고 H형태와 L형태 사이 구분이 모호하게 되는 경우.
예 : 격식을 차려서 H형태(표준어)를 사용해야 하는 상황에서 L형태(방언)을 사용하는 것이 용인되는 쪽으로 변해가는 경우
03. 언어 지위가 뒤바뀌어버리는 상황.
예 : 일제강점기의 조선에서는 H형태가 일본어, L형태가 한국어. 그러나 해방되면서 한국에서 H형태는 한국어.
04. 관련성 relatedness 기준 문제 (아예 연관 없는 두 언어 상용, 크레올어가 사용되는 경우 등)
- 2개언어상용사회 : 지금 대부분의 화자들이 두 개 언어를 자유자재로 구사하는 2개언어상용사회를 지칭하며, 그 사회 내에서 두 개 언어는 H형과 L형의 관점에서 기능적으로 구분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