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사회언어학

사회언어학 - 2개 언어 상용 사회에서의 언어선택에 대한 인간지향적 관점 - 결정나무 모형, 상호간 언어 수용 이론

좀좀이 2019. 9. 8. 03:17
728x90

사회언어학 - 2개 언어 상용 사회에서의 언어선택에 대한 인간지향적 관점 - 결정나무 모형, 상호간 언어 수용 이론


- 언어 선택의 문제에 접근하는 보다 더 인간지향적 방식은 결정나무 모형 decison tree 을 이용하는 것.

- 결정나무 모형에서 화자는 위계구조를 지닌 두 갈래 선택 상황에 직면 -> 나무처럼 표현 가능.


- 대화자의 민족성, 스타일, 대화의 주제 같은 요인들은 어떤 언어가 최종적으로 선택되는지를 결정.

- 결정나무 모형의 큰 이점은 대화자의 민족성, 스타일, 대화의 주제 같은 요인들은 어떤 언어가 최종적으로 선택되는지를 기술하는 데에 있어서 매우 명료하다는 점.


- 결정나무 모형은 경직성에서 오는 문제점을 갖고 있음.

- 많은 상황에서 한 개 이상의 언어가 가능.

- 종종 화자들은 나무 모형으로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는 선택을 하는 것이 관찰됨.

- 결정나무 모형은 한 상황에서 두 개 언어가 동시에 사용되는 상황 (언어준환)은 배제.


* 무표적 : 無標的 언어의 일반적인 경향을 보이는. 또는 그런 것.

* 유표적 : 有標的 언어의 일반적인 경향에 대하여 예외적인. 또는 그런 것.


- Sankoff : 결정론적인 나무 모형을 좀 더 해석적인 모형과 결합할 것을 제안.

- 나무 모형이 상황에서 일상적 또는 예상할 수 있거나 무표적인 선택만을 제시한가고 가정해도, 많은 경우 특별한 의도, 아이러니, 스타일의 변화 또는 그 밖의 것을 나타내기 위해 화자에게는 유표적 선택을 하려는 선택권이 있음.


- Sankoff : 뉴기니섬에서 세 가지 언어가 사용되는 공동체 사회 연구.

- 세 가지 언어는 부족 언어인 Buang어, 공용어인 Tok Pisin어, 선교사들에 의해 소개된 언어인 Yabem어.

- 많은 경우 세 개 언어 모두가 체계적으로 사용되는 정치적인 연설의 경우처럼 무표적 선택을 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았음.


- 사회심리학에서도 상호간 언어 수용 이론 Interpersonal Speech Accomdation Theory 라고 불리는 언어 선택 모형을 개발하려는 노력이 있었음.

- 상호간 언어 수용 이론의 주된 골자는 언어 선택이 상황적 요소만을 언급해서는 충분히 설명될 수 없다는 것.

- 상호관계의 여러 측면들이 고려되어야 함.

- 애초에 한 언어 내의 악센트 변화를 설명하기 위해 개발되었던 이 모형은 참가자 사이의 관계를 강조.

- 상호간 언어 수용 이론은 유사성-끌어당김 Similarity-Attraction 에 관한 사회심리학적 연구에서 나왔음.

- 한 개인은 자기 자신과 상대방 사이에 차이점의 수치를 줄임으로써 상대방으로 하여금 자신을 좀 더 호의적으로 평가하게 할 수있다고 주장.

- 화자들은 제스쳐, 몸의 자세, 언어의 유형 면에서 자동적으로 서로 맞추어나감.

- 이것은 2개 언어 상용 상황에 적용 가능.

- 특정 언어의 선택을 해석하는 한 가지 방법은 상대 화자의 언어와 정체성 관점에서 보는 것.


- 수용 accommodation : 조정의 과정.

- 수용이라는 것은 두 개의 정반대의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

01. 수렴 convergence : 화자는 청자가 알고 있거나 가장 좋아하는 언어를 사용.

02. 분산 divergence : 화자는 언어 사용상의 차이점을 극대화함으로써 자기 자신과 청자 사이에 거리를 두려고 함.


- 언어 형태는 그 자체로는 사회적 의미를 지니지 못함.

- 상호작용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동의하는 행위 안에서만 사회적 의미를 지님.

- 언어의 사회적 의미는 화자에게만 달려 있는 것도 아니고, 청자에게만 달려 있는 것도 아님.

- 청자와 화자 사이의 합의 - 협상의 결과에 달려 있음.

- 특히 다언어 사용 사회에서 언어 형태의 사회적 의미를 해석하는 방식들은 상호 교류에 참여하는 사람들에 의해 저절로 공유되지 않음.

- 오히려 이런 방식들은 각각의 대화 과정에서 확립되고 재해석될 필요가 있음.


- 해석 과정은 세 가지 단계로 구분 가능.

01. 환경이 결정됨 -> 상호작용을 위한 장소로서 사회적으로 인정되는 환경.

02. 주어진 환경 내에서 다양한 사회적 상황 -> 어떤 특정 순간이 타당한지 하는 것은 그 시간에, 그 장소에서의 특정한 사람들을 근거로 해서 대화에 참여한 사람들에 의해 결정됨.

03. 특정한 사회 상황 속에서 화자와 청자는 자신들이 어떤 사회적 사건 social event 속에 있는지에 대한 문제에 동의할 필요가 있음 -> 사건들은 분명히 정의되고, 사회적으로 인정된 순서가 있으며, 제안된 범위의 주제가 중심이 됨.


- 이러한 각각의 선택은 일련의 일상적인 말과 제스처를 필요로 하고, 화자는 복잡한 선택에 직면.

- 장소, 상황, 사건과 같은 세 가지 개념이 주어지지는 않지만 각 상호작용에 참여하는 화자와 청자에 의해 해석되고 재구성될 필요가 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