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사회심리학

사회심리학 - 동조, 복종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 - 정서적 거리, 권위의 근접성과 합법성, 제도적 권위, 해방효과

좀좀이 2019. 6. 30. 06:20
728x90

사회심리학 - 동조, 복종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 - 정서적 거리, 권위의 근접성과 합법성, 제도적 권위, 해방효과


- 밀그램 복종실험에서 복종을 결정해주는 요인은 4종류.

- 희생자와의 정서적 거리, 권위의 근접성과 합법성, 권위의 제도적 규정 여부, 불복종자가 주는 해방효과


01. 희생자와의 정서적 거리


- 밀그램 실험 피험자들은 '학생 역할자'가 자신의 눈에 보이지 않을 때 가장 동정심 없이 행동.

- 희생자의 거리가 멀고, '교사 역할자'가 희생자의 어떤 불평도 듣지 않는 경우에서 거의 모든 사람들이 끝까지 복종.

- 학생 역할자가 같은 방에 있는 경우는 오직 40% 만이 450볼트까지 복종.

- 교사 역할자가 학생 역할자의 손을 전기쇼크 판에 강제로 누른 상태로 전기쇼크를 가하도록 한 경우 끝까지 복종한 비율은 30%로 감소.

- 컴퓨터 스크린으로 보이거나 보이지 않고 고통을 가장한 배우를 비디오로 찍은 영상을 사용했을 때, 희생자가 잘 보이면 실험참가자들은 훨씬 적게 복종.


- 일상생활에서 멀리 떨어진 사람이거나 사람이 아닌 대상을 흉보는 것은 쉬움. 심지어 그것이 상대에게 큰 피해를 주더라도 사람들은 무감각함.

- 사형 집행인은 사형수 머리에 두건을 씌워서 그들을 사람이 아닌 대상으로 느끼게 만듦.

- 전쟁 윤리에서 고고도에서 지상에 있는 힘 없는 마을에 폭탄 투하는 허용하나, 힘 없는 마을 주민을 직접 사살하는 것은 금지.

- 전장에서 적이 눈이 보일 때는 많은 군인들이 총을 쏘지 못하거나 조준하지 못함. 그러나 적이 육안으로 식별 불가능한 곳에서 공격하는 포병대, 폭격기의 경우 적을 죽이도록 명령하는 경우 불복종 사례가 매무 드묾.

- 나치의 유태인 학살에서도 직접 처형에서 심리적 거부감을 크게 느끼는 독일인들 때문에 가해자와 희생자를 시각적으로 분리시킴 (가스실 처형).


- 인간은 인간에 대해 가장 동정적으로 행동.

- 이 때문에 태아, 기아에 고통받고 있는 사람, 또는 동물에 대한 권리를 항상 사진과 같은 것으로 의인화해 호소.


02. 권위의 근접성과 합법성


- 실험자의 물리적 존재는 복종에 영향을 끼침.

- 밀그램이 전화로 명령한 경우, 끝까지 복종하는 비율이 21%로 감소.

- 많은 다른 연구에서도 권위자가 물리적으로 가까운 곳에서 요구한 경우, 요구에 응하는 비율이 높아짐.

- 어깨가 닿을 정도로 가까운 거리에서 요청한 경우, 동전을 빌려주는 사례, 청원서에 서명하는 사례, 맛보기 피자를 받는 사례가 더 많았음.


- 그러나 권위자가 합법적인 사람으로 지각되어야 함.

- 밀그램 실험의 변형으로, 실험자가 실험 장소에서 떠나며 사무원 역할을 맡은 사람에게 실험을 진행하라고 했을 때 '교사 역할자' 역할을 맡은 사람들의 복종은 상당히 떨어짐.

- 피실험자 (교사 역할자)의 불법적 권위자 (사무원 역할)에 대한 불복종은 밀그램 실험에서 실험자에게 보여준 '교사 역할자'의 정중한 공손함과 큰 차이를 보임.


03. 권위의 제도적 규정 여부


- 권위의 제도적 규정 여부도 복종에 상당히 큰 영향을 끼침.

- 일상생활에서 제도적으로 인정받는 권위자는 사회적 권력을 마구 휘두름.

- 의사 앞에서 난리치는 환자에게 경찰이 환자에게 난동을 그만둘 것을 명령하면 대체로 따르는 편.


04. 불복종자가 주는 해방효과


- 밀그램은 두 명의 실험협조자를 이용해 불공정한 교사를 대산하게 함으로써 동조의 긍정적 효과를 알아봄.

- 실험 중 실제 피험자에게 실험을 계속하도록 명령하는 실험자에게 두 실험협조자가 반발 -> 실제 피실험자 중 90%가 실험자에게 반발하는 실험협조자에 동조해 자신을 구해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