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언어인류학

언어인류학 - 민족 과학과 어휘 의미 성분 분석 방법

좀좀이 2019. 2. 16. 06:17
728x90

언어인류학 - 민족 과학과 어휘 의미 성분 분석 방법


- 월프의 언어와 문화간의 상호의존성에 대한 흥미는 1950년대 서로 밀접하게 관련된 문화 연구의 몇 가지 분석법 발달에 기인.

- 그러나 월프의 주된 초점은 문법적인 범주에 있는 반면, 새로운 접근법은 사회적, 물리적 환경을 한 언어의 사용자가 단어 뭉치 (어휘)로써 분류하는지에 초점이 놓임.

- 널리 쓰이는 용어인 민족과학 ethnoscience 는 인지인류학, 성분 분석, 민족 의미론, 민속 분류학과 소위 최근 대두된 민족지학을 포함.


- 민족과학이라는 용어는 오해되기 쉬움.

- 이 용어는 문화연구에 대한 상이한 접근법들이 반드시 비과학적이나 원주민들의 분류법 - 즉, 특정한 사회의 모국어 사용자들이 행한 분류법이 서양 과학에 의해 발달한 것들보다 더욱 과학적이라는 것도 아님.

- 오히려 이 용어는 특정 사회의 모국어 사용자들이 어떻게 어휘를 써서 기호화했는지에 기초해 하나의 문화의 부분 (영역)들을 연구하는 방법을 칭함.

- 가정은 대개 한 사회의 구성원들에게 문화적으로 구별되는 것은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 내에서도 어휘적으로 역시 구별된다는 것.


- 민족과학의 지지자들의 생각으로는 자신의 문화적 경험에 적용하지 못할 범주들을 사용해 다른 사회를 기술하는 것은 심각한 왜곡에 봉착하기 쉬움.


- 서양과학의 우월한 위치에서 덜 근대화된 부족이 고통 받는 질병들을 진단하고 분류하는 것은 의학 학술지에 게재될 논문으로는 적절할 수 있음.

- 그러나 인류학자에게 그러한 기술은 새로운 발견을 못하게 만들 수 있고, 적어도 덜 근대화된 부족 사람의 병 진단법과 적용 가능한 치료법 사이에 존재하는 것으로 믿는 연관관계를 애매하게 만들 수 있음. 왜냐하면 최종 진단과 적절한 치료의 선택은 덜 근대화된 부족 사회의 중요한 사회적, 경제적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


- 신민족지학자들이 사용해온 의미 분석법 중 하나는 성분분석.

- 성분분석은 유형을 선명하게 드러내고 잘 정의된 문화적 영역 (색상 단어, 병명, 친족 어휘, 일상음식 용어, 일상음료 용어)에 속하는 용어에 적용되는 기술.

- 목적 : 이러한 용어들이 다른 용어와 대조되는 의미의 차이를 발견하기 위해서.

- 하나의 의미 차원의 값은 이분적인 대비로 표시 가능.

- 하나의 자질이 있는지(+) 없는지(-), 또는 한 차원을 단순하게 대비.

- 따라서 만약 성별과 노소가 친족 어휘를 분석하기 위해 선택된 의미 차원 중에 있다면 할머니는 여성(+), 나이(+), 손자는 여성(-), 나이(-) 등으로 표현.

- 또는 위의 두 친족 어휘는 남성-여성, 늙음-어림으로 단순 대비 가능.


- 몇몇 인류학자는 성분 분석을 이용해 심리적 실체를 찾으려고 함.

- 연구중인 사회구성원이 사용하는 민속 분류법을 반영하려는 의도가 있음.

- 한편 다른 인류학자들은 자신이 연구대상으로 하는 민족들의 인지세계를 발견하는 것보다 가장 효과적이고 우아한 형식을 갖춘 설명법을 찾아내는 것에 더 관심있음.

- 언어학자가 자신의 과제가 하나의 언어나 문화의 내재적인 구조를 발견하는 것이라 믿는 것(절대 진리 입장)인가와 과제가 연구자의 손에 있는 자료와 상충하지 않는 어떤 종류의 구조를 가용한 정보꾸러미에 단지 부과하는 것(요술, 기만 입장)인가를 믿는 바에 따라 갈리는 언어 분석에 대한 태도의 차이 역시 '절대 진리' God's truth 입장과 요술-기만 hocus-pocus 입장으로 어쩌면 평행할 수 있음.


- 생경한 문화에서 동일 범주들이 용어에 내재하는 의미 차이들을 발견하는 것은 그 대상 사회에서 무엇이 문화적으로 중요하며 그 구성원들은 언어적으로 그 경험을 어떻게 구조화하는지 결정하는 것인지 이해하게 함.


- 민족과학자 (신민족지학자)가 연구 대상 사회의 구성원들의 시각에서 그 문화를 어떻게 보고 있는가를 발견하는 것의 중요성을 주장한 첫 번째 문화인류학자라는 주장은 올바른 생각이 아닐 수 있음 -> 이러한 견해는 미국 인류학계의 긴 전통이었음.

- 그러나 이 최근 접근법의 종사자들이 문화 연구에 상당한 가치 있는 기여를 해온 것은 사실.

- 이들은 단지 의사소통의 수단보다는 연구대상 집단이 사용하는 언어에 관한 풍부한 정보를 제공해 유용한 자료를 이끌어내었음.


- 그러나 민족과학 방법론의 주요 오류는 언어를 통한 문화 이해가 강조되면서 [언어자료] 전문용어 모음집을 통해 획득되는 범주 밖에 있는 문화적 측면들과 비구전 행위를 간과하는 결과를 빚었다는 점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