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잉정당화 효과 overjustification effect
- 이미 좋아하는 일에 뇌물을 주고 시키는 효과.
- 이렇게 되면 사람들은 자신의 행위를 내적인 이유가 아니라 외적인 통제 때문이라 간주하게 됨.
- 불충분한 정당화 효과의 예 : 사람들에게 어떤 것을 하도록 유도한 최소한도의 유인이 가장 효과적으로 그것을 좋아하게 하고 그 일을 계속하게 해줌.
-> 인지부조화 이론의 설명 : 외적 유도가 자신의 행동을 정당화하기 위해 불충분할 때, 그 행동을 정당화함으로써 내적으로 부조화를 감소시킴.
-> 자기지각 이론의 설명 : 사람들은 그것이 발생하는 조건을 주목함으로써 자신들의 행동을 설명.
- 자기지각 이론은 보상이 항상 동기를 증가시킨다는 개념과 반대로, 불필요한 동기는 숨겨진 손해 cost가 있다고 주장.
- 이미 즐기고 있는 일에 보상을 주는 것은 그들의 행위를 보다 보상에 귀인하게 만들 수 있음.
- 만약 이렇다면, 이것은 그들이 그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그 일을 한다는 자기지각에 손상을 가함.
- Edward Deci, Richard Ryan, Mark Lepper, David Greene, Ann Boggiano 의 실험
- 퍼즐을 갖고 노는 사람들에게 보상을 줌.
- 그러면 그들은 보상 없이 퍼즐을 갖고 노는 사람들보다 나중에 퍼즐을 덜 가지고 놀게 됨.
- 이들이 내적으로 즐기는 것에 보상을 약속하면 그들은 그 놀이를 노동으로 전환하게 됨.
- 민담도 과잉 정당화 효과를 보여줌.
- 한 노인이 거리에서 혼자 살고 있는데, 거리에서 아이들이 오후마다 시끄럽게 놀고 있음.
- 그 소음이 그를 괴롭히자, 어느날 그는 그 아이들을 그의 집 문으로 부르고, 자신이 아이들에게 훨씬 큰 목소리를 좋아한다고 말하고 만약 다음 날에 온다면 각각 50센트를 주기로 약속.
- 다음날 오후 아이들은 달려와서 예전보다 더욱 활발하게 놀음.
- 노인은 돈을 주고, 다음 또 다른 보상을 약속.
- 이렇게 하면서 점차 금액을 줄여감. -> 나중에는 아이들이 금액이 적자 노력한 만큼의 가치가 없다고 생각해 오지 않음.
- 예기치 않은 보상은 내적인 흥미를 감소시키지 않음. 왜냐하면 사람들은 여전히 자신의 행위를 자신의 동기에 귀인시킬 수 있기 때문.
- 그리고 만약 좋은 직업에 대한 칭찬이 우리에게 더욱 유능하고 성공적이 되도록 해준다면 이것은 실제로 우리의 내적 동기를 상승시킴.
- 제대로만 다루어진다면, 보상은 또한 창의성을 드높일 수 있음.
- 과잉정당화 효과는 행동을 통제하기 위해 명백한 노력이 필요한 상황에서 미리 불필요한 보상을 사람들이 제공할 때 발생.
- 중요한 것은 보상이 함축하는 것. 사람들에게 성취를 알려주는 보상과 칭찬 - 그들에게 '나는 이 일에 대단히 솜씨가 좋다'라고 느끼게 하는 것은 내적 동기를 드높임.
- 사람들을 통제하려 하고 자신의 노력을 유발한 것은 바로 보상이라고 - '나는 돈 때문에 그 일을 했다'고 믿게 한 보상은 즐거운 과제의 내적인 매력을 감소시킴.
- 매력적이지 않은 과제를 사람들이 즐기도록 길러줄 방법으로는 바람직한 행동을 유발하기 위해 약간의 보상을 사용해야 함.
- 만약 인간이 학습과제를 수행하는 것에 꼭 맞는 정당화를 학생들에게 제공하고 스스로 유능하다고 느끼도록 보상과 표시를 사용한다면, 사람들은 자신의 흥미와 열정을 고양시켜 스스로 그 과목을 수행하게 할 수 있음.
- 너무 지나친 보상이 있을 때, 자기 주도적 학습은 줄어들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