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문화심리학

문화심리학 - 문화와 인종, 성격, 대중문화

좀좀이 2018. 7. 13. 13:00
728x90

문화심리학 - 문화와 인종, 성격, 대중문화


문화와 인종


- 많은 사람들이 인종과 문화를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하고 있기는 하나, 인종이 문화는 아님.

- 인종이 갖고 있는 문제 : 인종의 정의를 둘러싼 상당한 논란이 존재한다는 점.

- 오늘날 많은 연구자들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대표적인 인종이 존재한다고 제안 - 백인계, 몽골계, 흥깅계.

- 그러나 인종의 기원에 관한 과거 연구들은 많게는 37종류 인종을 제안.

- 일반인들은 전형적으로 피부색, 머리카락, 다른 신체적 특징을 사용해 인종을 정의.

- 그러나 대부분의 형질인류학자들은 전집의 유전자 빈도를 사용.

- 인종을 정의하는 것에 어떤 생물학적 특성이나 신체 특성을 사용하든 간에, 인종이란 개념 자체는 과거에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불명확함.

- 어떤 연구자들은 인종 간의 구분이 임의적인 것이며 기껏해야 애매모호한 것일 뿐이라 제안.

- 혈액형, 혈청 단백질, 효소를 포함한 유전자 시스템 연구조차도 집단 간 변산보다는 집단 내 변산이 훨씬 크다는 사실을 보여줌 -> 인종으로 정의한 집단들이 실제로는 차이점보다 유사점이 더 크다는 점을 시사.


- 인종의 기원에 관해서도 논란 존재.

- 과거 이론들은 20만년 전 아프리카에서 기원한 공통 조상의 후손들이 세계 곳곳으로 이주했다고 제안.

- 이 이론들의 증거는 형질인류학과 고고학에서 나온 것.

- 그러나 다른 이론들, 그리고 일련의 부정적 증거들은 인류가 이미 200만년 전에 세상의 여러 지역에 존재했으며, 지역간 혼합이 일어난 것이라 제안.


- 오늘날 많은 심리학자들은 인종이 사회적 구성체이지 생물학적 본질은 아니라는 점에 동의.

- 허쉬필드 : 사람들이 범주를 만들려는 선천적 소인을 갖고 있으며, 특히 인간의 특성을 다루는 것에 있어 그렇다고 제안.

- 이러한 범주 형성 과정에서 흔히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신체적 특징들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렇게 순진한 이론들에서 '인종'이 중심에 위치하게 되며, 인지적, 사회적 의미와 중요성을 갖게 됨.

- 인종이 생물학적 구성체로서는 의심의 여지가 있으나, 사회적 구성체로서는 실재하는 것.


- 사회적 구성체로서의 인종은 여러 문제점을 갖고 있음.

- 사회적으로 구성된 인종들 간의 범주 경계가 모호하며 사회적 맥락에 따라 변함.

- 상이한 문화의 사람들은 인종의 정의에서 차이를 보임.

- 어떤 문화에서는 인종이 범주적이거나 명목적인 실체가 아니라 하나의 차원에서 변하는 연속적인 것.

- 대부분의 브라질 사람들은 인종이 유전적이지 않으며 경제적이거나 지리적 유동성에 따라 변하는 것이라 믿음.

- 어떤 국가에서는 사회경제적 유동성이 피부색과 머릿결 같은 신체적 특성을 어떻게 지각하느냐와 관련되어 있음.


- 과학적이든 현실적이든 '인종적' 차이는 아무런 효용성이 없음.

- 그 원인들은 필연적으로 문화를 수반. 기능적이고 심리적인 현상으로서의 문화는 상이한 인종에 있어서 심리적으로 의미심장하고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결정하기 때문.

- 문화가 바로 인종에 의미를 부여하는 것이며, 심리학자들이 관심을 기울여야 하는 것은 바로 인종이 아니라 문화임.


문화와 성격


- 문화는 거시적이고, 사회적이며 집단 수준의 구성체.

- 성격 personality : 집단내에서 개인들 간에 존재하는 개인차.

- 문화는 개인들이 거주하는 사회심리적 틀.

- 성격은 이러한 틀 내에서 거주하는 개인들의 특질, 속성, 자질, 특성들의 독특한 합체를 지칭.

- 개인들은 문화에 대해 자신만의 특별한 심적 표상을 갖고 있으며, 그 표상은 사람들마나 다를 수 있다는 것을 '참'으로 받아들임.

- 그러나 거시 사회적 수준의 문화에 대한 개인 수준의 심적 표상이 거시 사회적 수준의 문화는 아님.

- 더욱이 문화는 개인들 간에 공유하며 세대를 통해 전달되는 의미 시스템과 정보 시스템을 수반.

- 성격과 개인차는 공유하는 것이 아님.

- 문화는 개인들에 걸쳐서 비교적 안정적인 것인 반면, 성격은 상당한 차이를 보임.


문화와 대중문화


- 때로는 나타났다가 사라지는 유행을 '문화'로 지정하는 것이 시의적절하기도 함.

- 대중매체와 일상 대화에서는 이것을 '대중문화'라 부름.

- 대중문화 popular culture : 일반적으로 한 집단의 사람들 간에 인기를 얻게 되는 음악, 예술, 다른 표현방식의 경향.


- 대중문화와 일반적으로 정의하는 문화는 몇 가지 유사점을 공유.

- 가장 중요한 것은 한 집단의 사람들이 공유하는 표현 방식과 그 가치.


- 그러나 중요한 차이점도 존재.

- 대중 문화는 다양한 심리적 영역에 걸쳐 심리적 속성들을 광범위하게 공유하지 않음.

- 일반적인 문화는 태도, 가치, 견해, 신념, 규범, 행동을 관통하는 규칙 시스템을 수반.

- 대중문화가 특정 유형의 표현에 대한 가치의 공유를 수반할 수는 있으나, 필연적으로 삶의 방식을 수반하지는 않음.

- 또한 세대에 걸친 문화 전달에서 문화와 대중문화는 차이 존재.

- 대중문화는 몇 년 사이에 유행이나 경향으로 퍼졌다가 사라지는 가치나 표현방식을 지칭.

- 문화는 오랜 기간 - 심지어 여러 세대에 걸쳐 비교적 안정적.


- 문화와 대중문화는 몇 가지 유사점을 갖고 있기는 하나, 중요한 차이점들도 존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