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도시지리학

도시지리학 - 도시에서의 빈곤 및 근린지역 효과 논쟁

좀좀이 2018. 5. 4. 08:45
728x90

도시지리학 - 도시에서의 빈곤 및 근린지역 효과 논쟁


- 도시 내 근린지역에서 도시 빈곤층의 분포를 살펴보면 극도로 빈곤한 몇몇 근린지역으로의 빈곤의 공간적 집중 spatial concentration이 두드러짐.

- 도시 근린지역에서 빈곤의 증대된 공간적 집중이 모든 집단에 동일하게 영향을 준 것은 아님.


근린지역 효과 논쟁


- 학자들과 정책입안자들은 빈곤 집중의 변화하는 강도와 지리적인 패턴화를 어떻게 평가하고 대응할 것인지에 대해 의견을 달리 함.

- 어떤 학자들은 프로젝트 기반의 공공주택의 철거와 빈곤퇴치 정책의 성공 환영.

- 다른 학자들은 이러한 정책들은 빈곤한 가정의 희생을 대가로 특권층 (도심부 근린지역을 젠트리피케이션과 재개발을 위해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점에서)에게 혜택을 주는 도시 거버넌스의 보다 광범위한 신자유주의적 재구조화의 일부분이라 주장.


- 학자들은 정책 입안자들이 집중된 도시 빈곤의 원인 또는 이의 현재 경향에 대해서는 의견을 달리함.

- 그러나 집중된 도시 빈곤의 결과에 대한 관심은 비슷함.

- 니본, 네이도, 베루베는 집중된 도시 빈곤의 결과를 다섯 가지로 범주화해서 요약.

01. 교육 기회 제한

02. 범죄 증가 및 취약한 건강 상태

03. 부의 축적 저해

04. 민간투자 감소와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비용 증가

05. 지방정부의 비용 증가


- 빈곤한 근린지역에서의 생활 또는 성장은 부정적인 결과를 갖는다는 것이 기본적인 주장.

- 거주자들은 학교 성적이 안 좋고, 안정적인 일자리를 찾는 데 더 큰 문제를 가지며, 범죄 활동에 관여할 가능성이 더 높아짐.

- 이 분야의 많은 연구들이 집중된 도시 빈곤은 지속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주장한 윌슨의 The Truly Disadvantaged 라는 책에서 자극을 받음.

- 윌슨은 이러한 효과를 집중 효과 concentration effects 라 부름.

- 오늘날 많은 학자들은 이를 근린지역 자체가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인 근린지역 효과 neighborhood effects 라 부르고 있음.


동료 효과


- 근린지역 효과 이론은 특히 젊은이들의 경우 동료 효과의 중요성을 암시.

- 많은 동료들이 문제적인 행동에 관여하는 근린지역에서의 성장은 한 젊은이가 이러한 행동에 관여할 가능성을 증가시킴.

- 이러한 사고방식이 근린지역을 평가하는 '상식적인' 방법인 것처럼 보이고, 일반인의 이미지 형성과 정책 결정을 특징짓는 것처럼 보일지라도 이러한 생각은 지나치게 단순하기 때문에 큰 문제 있음.

- 가장 심하게 과밀한 근린지역에서만 동료 효과가 발생하는 등 한정된 경험적 증거만이 이러한 개념을 뒷받침함.

- 다른 연구들은 부유한 근린지역의 존재 또는 부재가 가난한 근린지역의 집중보다 더 중요하다는 의견 제시.


사회적 통제


- 보다 광범위한 연구 주제는 가난한 근린지역에서 지배적인 사회적 관계의 본질.

- 역할 모델링과 공공 행동의 감시가 사회적 통계의 두 가지 핵심 메커니즘.

- 역할 모델 role model 주장은 극단적으로 빈곤 근린지역에 사는 젊은 사람들은 노동 시장이 보상하는 행동과 가치를 갖도록 이들을 사회화하는 데 도움을 주는 관습적인 활동에 종사하는 어른들을 보지 못함을 의미. 즉 어른들이 매일 일어나 일을 하러 가는 환경에서 성장하면 직업을 얻는 데 필요한 절제력을 배움. 일을 하러 가는 어른이 없으면 젊은이들은 긍정적인 역할 모델을 박탈당하게 되고, 이로 인해 직업을 찾고 유지하는 것에 필요한 작지만 중요한 행동의 가치를 결코 경험할 수 없게 됨.

- 집합적 효능 collective efficiency : 역할 모델링의 심리학에 덜 초점을 두는 대신, 근린지역 내에서 발생하는 행동을 직접적으로 감시하고 추적 관찰하는 지역 사회의 능력에 보다 초점을 맞춤. 역사적으로 보면 빈곤한 근린지역에는 어떤 이는 가난하고 어떤 이는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혼재되어 있었음. 사람들이 쇼핑을 하고 주유를 하는 등 거리에서 상당한 행동이 이루어짐. 이러한 맥락에서 거리에는 행동을 추적 관찰하는 '눈들'이 존재. 젊은 사람들은 근린지역에서 잘 알려져 있고, 만약 이들이 곤경에 빠지면 가게 주인이나 이웃이 그들 부모에게 말할 것임. 젊은 사람들은 집에 들어가면 그들 행동의 결과를 마주할 것이라 알고 있음.

- 그러나 특히 대규모 공공주택 단지로 재개발된 지역에서 빈곤이 보다 집중되면서, 비공식적으로 이러한 행동을 추적 관찰하는 것이 더욱 어렵게 됨.

- 때로 이러한 문제는 근린지역의 물리적인 디자인과 관련됨.

- 모더니즘 건축 디자인 원리에 따라 지어진 대규모 공공주택은 넓은 공공용지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어 있고 크고 고층인 건물들로 구성됨.

- 이러한 디자인은 모든 사람들에게 공공용지에 대한 접근을 제공하는 대신, 이웃끼리 서로 아는 것을 어렵게 만들었고 근린지역 거주자의 행동에 대한 비공식적인 감시를 어렵게 만듦.

- 집중된 빈곤이 나타나는 현대 근린지역에서 행동을 감시하는 것을 어렵게 함드는 또 다른 이유는 가난한 거주자들은 매우 유동적이라는 점.

- 이들은 이사를 자주 함.

- 대부분의 도시에서 부담 가능 주택의 위기가 증가하면서, 빈곤층을 위한 적절한 주택이 주요한 문제.

- 가난한 거주자들은 종종 한 해에도 수 차례 이사해야 함.

- 주거 불안정성이 증대되면서, 비공식적인 사회적 유대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것이 더욱 어렵게 되었고, 이 때문에 비공식적인 추적 관찰과 근린지역에 부정적인 효과를 가져다주는 행동을 근절하는 것이 어려워짐.


기회와 자원


- 근린지역 효과 접근의 또 다른 변형은 사회적 관계보다는 근린지역의 경제적 기회에 보다 많은 초점을 둠.

- 이러한 접근은 경제 재구조화와 탈산업화 논의와 연결.

- 20세기 후반 도시화의 가장 큰 아이러니 중 하나는 가난한 사람들이 어디에 사는지와 직업 기회가 어디에 위치하는지 사이의 공간적 분리 spatial disjuncture.

- 탈산업화에 의해 중심 도시에서 직업이 줄어드는 동시에 새롱누 직업이 교외 지역에서 만들어지거나 교외로 재배치.

- 고용을 필요로 하는 대부분의 인구는 점차 그들이 원하는 기회로부터 멀어진다는 것이 아이러니.

- 이로 인해 많은 중심도시 근린지역들은 기록적으로 높은 실업과 실직을 경험하고, 동시에 교외 고용주들은 심각한 노동력 부족에 직면.


- 심화된 지리적 분리 때문에 중심도시 거주자들이 교외의 직업 기회를 활용할 수 없다는 이러한 주장을 종종 공간적 불일치 가설 spatial mismatch hypothesis 라 함.

- 공간적 불일치 가설은 공공정책 분야와 학계에서 엄청난 관심을 받음.

- 연구 결과는 엇갈림.

- 어떤 연구는 일을 하고 있다면 빈곤층이 거주하는 곳과 그들이 일하는 곳 사이의 공간적 분리 정도가 심화되고 있다는 기본 개념을 뒷받침.

- 다른 연구는 더 나아가 공간적 분리는 가난한 중심도시 거주자들이 비용이 더 드는 장거리 통근을 보상해줄 수 있는 충분한 임금을 지불하는 직업을 찾는 것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있다는 것을 증명.

- 동시에 주택 시장 연구는 가난한 소수집단은 주택을 확보하는 데 있어 지속적으로 벅찬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줌.


- 그러나 경험적인 결과들은 빈곤층의 거주지와 직접 위치 사이의 공간적 분리 정도는 대도시권 내에서 상당히 다르다는 것을 보여줌.

- 더욱이 고용과 다른 노동시장 결과에 대한 공간적 불일치의 영향은 일관되지 않고, 결코 가장 중요한 요인처럼 보이지 않음.


정부기관, 학교, 상업


- 정부기관들이 빈곤한 근린지역에 대응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의 차이를 둘러싸고 또 다른 논쟁이 일고 있음.

- 경찰 및 다른 응급 서비스 기관들은 빈곤한 근린지역으로부터 온 요청에 대해 덜 빠르게 대처.

- 가난한 근린지역에서 위생 관리 서비스는 부유한 근린지역에서만큼 청결하게 유지되지 않음.

- 레크리에이션 시설 관리국은 부유한 근린지역에 하는 만큼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음.


- 가장 심한 혹평은 학교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 도심 학군은 교외 근린지역에 비해 심각하게 재정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음.

- 학군 내에서조차 가난한 소수인종 근린지역에서는 거의 수리가 되지 않은 가장 낡은 건물이 학교로 이용되고, 가장 뒤처진 교사들이 근무하며, 행정적 지원을 거의 받지 못함.


- 가난한 내부 도시 근린지역은 적정한 소매 기회에 대한 접근도 부족.

- 거대 포장 단위로 판매하는 유통점 대부분이 교외에 위치한 대규모 단지 내에서 찾아볼 수 있음.

- 중심도시 근린지역은 저가 제품에 관심 있는 대규모 소비자 기반을 제공함에도 불구하고, 가치 추구형 유통업자들은 종종 이러한 지역에 입지하지 않음.

- 결과적으로 거주자들은 단지 적정 가격의 식료품을 구매하기 위해 장거리 이동을 해야 함.

- 중심도시 근린지역에 입지한 유통업자들은 절박한 거주자들에게 터무니없이 높은 가격으로 바가지를 씌우고, 질 떨어지는 제품을 제공한다고 비난받기도 함.


낙인과 차별의 공간


- 여러 분야에서 제시된 이론에 의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근린지역과 이곳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에 대한 인식과 고정관념을 갖고 있음.

- 가난한 도시 근린지역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고용주들은 이러한 곳에 사는 사람들의 특성에 대한 매우 특별한 인상을 갖고 있음.

- 특히 취업 지원자가 어떤 고정관점에 박힌 근린지역의 주소를 명시했으면, 고용주들은 지원자가 불성실한 업무 습관, 낮은 학업 성적, 나쁜 태도를 갖고 있을 거라 가정함.

- 그래서 지원자가 이러한 특성을 전혀 갖고 있지 않다 하더라도, 지원자는 단순히 자신이 살고 있는 장소에 대한 평판 또는 고정관념 때문에 일자리를 찾는 데 더 큰 어려움을 겪게 됨.


근린지역 효과 증거와 논쟁


- 빈곤 - 특히 특정 근린지역에 집중된 도시 빈곤은 항상 공개 토론회의 비판의 대상.

- 빈곤의 근원과 표출에 대한 이러한 쟁점들은 여러 모로 우리 스스로가 사회를 정의하는 방법에서 중심이 됨.


01. 도덕성과 책임감


- 빈곤을 둘러싼 가장 지속적인 논쟁 중 하나는 개인의 책임감 문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음.

- 강력한 정치 강령들은 상반된 관점에 의존.

- 어떤 강령은 개개인들이 그들 자신의 행동에 책임이 있고 그래서 그들 자신의 빈곤에 책임이 있다는 가정에 초점을 맞춤.

- 다른 강령은 개개인들이 그들 자신의 빈곤에 책임이 없거나 또는 적어도 전적으로 책임이 있는 것은 아니라는 가정에 초점을 둠.

- 이러한 근본적인 구분은 빈곤에 대한 모든 논의를 만들어내고 있음.


- 모든 개개인들은 그들이 선택한 것에 책임이 있음. 그렇기는 하나 모든 개개인들이 동일한 선택을 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사람들이 직면하는 선택에서의 차이는 사회 구조와 경제와 관련되어 있음.

- 한편, 자본주의에서 시장 경제는 어느 정도의 빈곤을 필요로 한다는 의견에 많은 장점이 있음.

- 노동자 계급을 훈육하는 것에 유용한 빈곤층 집단이 없다면 자본주의 체제는 지속적으로 기느하지 못할 것.

- 누가 빈곤층이고 언제 어디에서 빈곤에 빠질지가 그 다음 이어지는 질문.

- 이러한 틀 내에서 사람들은 여전히 선택을 하고 그들의 선택에 대한 어느 정도의 도덕적 책임감을 떠안게 됨.

- 그러나 이러한 선택에는 빈곤에서 벗어나는 것이 포함되어 있지 않을 수도 있음.


02. 문화와 빈곤 대 빈곤의 문화


- 도시 빈곤에 대한 논쟁에서 화약고 중 하나는 항상 문화였음.

- 공통된 주장은 빈곤에 대해 개개인들을 직접적으로 비난하는 것에서 한 발짝만 물러서자는 것.

- 빈곤의 불균등한 분포에 대해 전체 문화가 비난받음.

- 중심도시 근린지역에 살고 있는 소수인종 집단이 불균등하게 빈곤을 경험한다면, '그들 문화'에 무엇인가 잘못이 있음. '그들'은 노동 윤리를 교육하지 않거나 '그들'은 그들이 해야 하는 것보다 더 높은 기대를 갖고 있음. -> 조잡한 형태의 이러한 개념들은 문화적 편견을 의미하고, 기원국가, 인종, 지리 등을 포함한 기존의 사회 문화적 구분에 반영되곤 함.


- 문화적 주장이 항상 조잡한 것은 아님.

- 인류학자 Oscar Lewis 가 경제적 기회의 부족이 지역 사회 문화의 변화를 가져오는 지속적인 구조적 약점을 만들어 낸다고 주장한 때인 1960년대 치열한 논쟁을 불러일으켰던 한 가지 문화적 주장 출현.

- 이러한 문화적 반응 - 즉 가치와 행동은 지역 사회의 맥락을 규정한 구조적 환경에 적응한 것이나, 이러한 반응이 시장 경제에서 성공하고자 하는 개개인들에게 도움을 주지는 않음.

- 문화 적응은 지역 사회가 그들의 빈곤을 처리하는 데 도움을 줄 지는 모르나, 동시에 경제적으로 발전하고자 하는 지역 사회의 능력을 저해함.

- 문화 적응은 그 문화에 영구적으로 뿌리박게 될 수도 있다는 의견은 루이스의 주장의 독특한 점.

- 적응성 있는 문화적 반응은 내부화되고 세대를 걸쳐 전해짐.


- 루이스의 이론은 빈곤의 문화 culture of poverty 관점으로 알려짐.

- 강도 높은 비판을 받음.

- 비판가들은 루이스의 설명이 빈곤층의 문화에 너무 많은 초점을 두었다고 주장.

- 루이스가 지속된 부릴한 상황에 대응해 이루어진 적응은 그 문화의 영구적인 특성이 될 수 있다고 느낀 반면, 비판가들은 빈곤에 대한 문화적 반응이 아니라 빈곤을 만들어 내는 힘에 주목해야 한다고 주장.

- 비판가들은 빈곤의 문화 주장은 그들 자신의 빈곤 때문이라고 피해자들을 비난하는 결과를 초래했다고 주장.

- 또한 주류 인종/민족 중산층의 규범과 가치가 지나치게 소수 인종/민족 가족과 지역 사회에 부여되었다고 주장.


- 윌슨의 주장은 도시 빈곤의 맥락에서 문화에 대한 논의에 새로운 활력을 주고 재구성하고자 하는 시도.

- 윌슨은 문화 조정 adaptation 을 영구적인 문화 적응 adjustment 로 바라본 루이스를 비판.

- 윌슨은 빈곤의 문화 주장을 분명히 반대.

- 대신 윌슨은 경제 재구조화로부터 기인한 구조적 약점이 반생산적인 적응 반응이 나타난 환경을 만들었다고 주장.

- 그러나 이러한 반응은 구조적 약점의 지속적인 존재 여하에 달려 있음.

- 루이스와 달리 윌슨은 만약 개개인, 가족, 지역사회를 재배치하거나, 그렇지 않더라도 그들의 구조적 제약을 줄여준다면 적응성 있는 문화적 반응은 새로운 환경에 적응할 거라 봄.

- '문제적인' 문화적 반응은 상황적인 것이지 세대에 걸쳐 전해지는 것으 ㄴ아님.

- 윌슨의 주장은 추정상의 백인 중산층 규범을 문화를 측정하는 표준으로 계속해서 사용하는 등 여러 모로 문제가 있음.

- 그럼에도 그의 주장은 상당히 잘못 해석되고 있고, 많은 도시지리학자들에게 도시 빈곤을 바라보는 데 있어 본질적으로 불가피하게 결점이 있는 방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