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촌락지리학

촌락지리학 - 관광 매력물로서의 촌락 상품과 시골 문화 유산의 상품화

좀좀이 2018. 3. 27. 20:24
728x90

촌락지리학 - 관광 매력물로서의 촌락 상품과 시골 문화 유산의 상품화


관광 매력물로서의 촌락 상품


- 생산기반경제에서 소비기반경제로의 전환은 시골 마을 전역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개별 기업이 사업을 실행하면서 진행됨.

- 많은 농장이 농업 의존도를 완화하고 수입원을 다각화하기 위해 관광 산업에 진출.

- 가장 흔한 형태 : B&B (bed and breakfast room)를 제공하거나, 직접 취사가 가능한 코티지 cottage나 캠핑장을 대여해주는 민박 시작.

- 농장 상점, 자연 산책, 승마시설, 호수 낚시도 시도 -> 이 경우 농장은 일차적으로는 여전히 농업 기업.

- 농장이 스스로를 '농장 파크'로 재고안하게 되는 추상화 단계에 이르게 되면, 농장 작업은 농장의 대중적인 이미지를 크게 반영해서 목가적으로 변하게 됨.

예) 잉글랜드 윌트셔에 있는 '파머 길리스' -> 광고지에서 가족이 전통적이고 현대적인 농장일을 배우면서 즐길 수 있는 안전한 환경으로 묘사.


- 동일한 방법으로 농장 파크는 촌락적 목가로 깔끔하게 처리된 농장 이미지를 보여줌.

- 숲도 상품화 -> 산림 경관은 대중적인 촌락 담론에서 높은 가치가 있기 때문.

- 최근까지 산림은 목재 생산을 위해 식목되고 관리되었고 대중적 접근은 매우 제한적이었음.

- 그러나 산림 관리자는 숲이 목재 수확이라는 사용가치 뿐만 아니라 레크리에이션 활동으로 개척될 수 있는 교환가치도 지니고 있음을 깨달음.

예) 영국 포레스트 엔터프라이즈 : 영국의 국유림을 관리하는 반공공적 성격의 기업. 그 자신을 관광지로 적극 판촉하고 있으며, 방문객 센터, 피크닉 장소, 산책로의 도로 표지, 예술 장치, 산악자전거 코스 개발중.

- 특히 포레스트 엔터프라이즈는 자연, 경관, 고요함, 야생성이라는 일반적인 주제를 자연보존, 산림관리, 임업 등 교육적 요소와 결합시켜 산림을 판촉.


시골 문화 유산의 상품화


- 촌락은 자연과 환경, 경관이라는 모티브가 강조되면서 상품화 되었음 -> 사회적으로 구성된 촌락의 전원성의 핵심 요소.

- 촌락의 전원성의 다른 특징은 향수, 그리고 촌락이 도시보다 덜 변화되었고 덜 타락했다는 느낌.

- 이러한 믿음에 호소하며 촌락의 문화유산은 상품화되고 관광지화됨.

- 그중에는 전통적인 경제기반이 붕괴된 뒤 재생을 도모하기 위해 과거를 기념하는 전략을 채택하는 장소도 있음.


- 때로는 관광객에게 직접 과거를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역사적 촌락을 '재구조'하는 시도도 제기됨.

- '한때 사람들은 이렇게 살았고, 촌락 생활은 단순했지만 건전했다. 더이상 촌락 사람들이 이러한 방식으로 살고 있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은 상관없음. 방문객을 매혹시키는 것은 바로 인위적인 것' 이라는 생각으로 재구조 시도.

- 전통을 이용해 현재에 대한 도덕적 비전을 안내해주고 정당화하고자 하며, 이를 경관에 반영해 물질적으로 표현하려는 시도도 존재.

- 이러한 경우, 과거 시골의 삶을 경험하는 것으로 묘사해 놓았지만, 실제로는 모호한 시공간의 재현을 체현해 놓은 것에 불과.

- 한편, 스스로를 세상에서 가장 진정하고 완벽한 시골 생활의 모형으로 광고하며, 다른 무엇보다도 진정성을 추구하며 사람이 계속 산 것 같은 느낌을 전달해주기 위해 박물관 내에 인위적으로 배치된 '진짜' 시골 오두막 시설을 설치하는 경우도 있음.

- 또한 진정한 진정성을 위해 주민이 모두 떠난 마을에 대해 몇 가지 예전 생활 양식을 재현하기 위해 남겨 놓는 경우도 있음. 빈 오두막집과 헛간, 학교, 교회, 대장간, 방앗간이 순환도로 투어의 정류소로 사용되는 경우. 건물에는 배치된 가구도 없고, 안내원도 없으며, 해설 안내판도 없음. 당국에 의해 적절히 잘 관리되고 있지만, 거기서 살던 사람들이 무엇을 했고 어떠한 어려움에 직면했는지에 대해 거의 전달해주지 않음. 그 대신 건물은 무채색 용기처럼 세워져 있어서 방문객은 자신의 목가적인 산악생활에 대한 편견을 마음껏 채워넣을 수 있음. 이에 반대하는 서사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


- 촌락 문화 유적지라는 상품은 글로벌화와 동질화에 맞서는 지역적 특수성의 상징으로 여겨짐.

- 지방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 촌락의 문화유산을 사용하는 사례는 곳곳에서 발견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