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사회심리학

사회심리학 - 실험연구 - 인과관계 연구 : 변인 조작, 무작위 배정, 실험 윤리

좀좀이 2018. 2. 25. 20:17
728x90

사회심리학 - 실험연구 - 인과관계 연구


- 대부분의 사회심리학자들은 상관 관계를 갖는 사건들의 인과 관계를 찾는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기 때문에 실현 가능하거나 윤리적으로 문제가 없는 경우 일상생활에 대한 실험적인 시뮬레이션을 만들어냄.


통제 - 변인 조작

- 사회심리학자들은 사람들의 일상생활의 중요한 특징을 시뮬레이션해서 사회적 상황을 만들어냄.

- 한 가지 또는 두 가지 요인을 동시에 변화시켜서 실험자들은 어떤 영향력이 있는지에 관한 특징을 보여줌.

- 독립 변인 independent variable : 연구자가 조작하는 실험 요소

01. 비만인에 대한 편견의 상관관계 연구와 실험 연구

-> 비만인에 대한 편견에 관한 실험.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뚱뚱한 사람은 느리고, 게으르고 나약하다고 생각.

-> 통계를 보면 실제로 비만인 여성의 수입은 정상 체중 여성보다 적음.

-> 얼핏 보면 차별이 비만과 낮은 사회적 지위의 상관을 설명하는 것처럼 보임.

-> 여러 남성들에게 비만이라고 알려준 여성들과 정상체중이라고 알려준 여성들에게 전화통화를 시켰을 때, 남성들이 비만이라고 여겨진 여성에 대해 덜 다정하고 덜 행복하게 이야기함.

-> 편견과 차별은 영향력이 있음.

02. TV 폭력물 시청의 상관관계 연구와 실험 연구

-> 폭력물을 더 시청할수록 어린이는 더 공격적인 성향을 지님.

-> 어린이들에게 폭력물과 비폭력물을 보여준 후의 행동 관찰로 증명 가능.


무작위 배정 random assignment


- 무작위 배정 : 모든 사람이 주어진 조건에 할당될 기회가 동등한 것처럼 실험의 조건에 참가자들이 배정되는 절차. 실험은 무작위로 사람들을 처치를 받은 실험조건이나 처치를 받지 않은 통제조건에 배정.

- 서베이 연구자들은 측정하고 통계적으로 가능한 적절한 요인들을 추출하고, 상관관계가 여전히 존재하는가를 관찰.

- 그러나 정상인과 비만인, 폭력물 시청 경험자와 비경험자를 구별하는 모든 요인을 통제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 : 연구자가 미처 고려하지 못한 여러가지 방식에서 차이가 존재할 수 있음.

- 무작위 배정은 이런 모든 이질적 요소를 단번에 배제함.

- 무작위 배정으로 각각의 개인은 독립변인에 대해 동등한 기회를 갖게 됨.

- 이처럼, 이러한 두 집단에 속하는 사람들은 가족 상황, 지능, 교육, 초기 공격성 등의 일반적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면에서 평균에 가까움.

- 무작위 배정을 할 경우, 두 집단은 동등 집단이 되기 떄문에 실험 후 생길 수 있는 차이가 독립 변인으로 인한 것이라 주장 가능.


실험 윤리


- 사회심리학자들은 종종 강도 높은 사고와 감정이 요구되는 실험을 계획할 때 윤리적으로 애매모호한 상황을 위험을 무릅쓰고 감행.

- 실험에 일상의 현실성 mundane realism 이 필요한 것은 아님.

- 일상의 현실성 : 실험이 외견상 일상적 생활과 유사한 정도.

- 즉, 실험행위는 일상적인 행동과 전적으로 똑같을 필요가 없음.

- 그러나 실험은 실험상의 현실성 experimental realism 이 기본적으로 바탕이 됨.

- 실험상의 현실성 : 실험에 참가자가 빠져들고 관여되도록 하는 정도.

- 실험상의 현실성이 참가자들에게 존재해야 함.

- 실험자들은 실험 참가자들이 의식적으로 연기를 하거나 건성으로 하는 것을 원하지 않음.

- 가끔은 그럴싸한 이야기를 꾸며내어서 사람들을 속여 실험상의 현실성을 만들어내기도 함.

- 실험자들은 실험참가자들이 좋은 피험자가 되고 싶은 나머지 기대 행동을 하거나, 또는 그 반대 행동을 하지 않도록 실험자들의 예측을 드러내지 않음.

- 실험자들은 단어, 목소리 톤, 행동 등의 미묘한 방식으로 원하는 대답을 끌어낼 수도 있음. 그러한 특정 행동에서 '요구'처럼 보이는 행동은 요구특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실험자들은 일반적으로 그들의 지시사항을 표준화하거나 컴퓨터를 이용해 지시사항이 나타나게 하기도 함.

- 연구자들은 윤리적인 문제가 수반될 수 있는 실험을 계획하는 데 있어 위험성을 감수.

- 누군가에게 상처를 준다고 믿거나, 강한 사회적 압박을 받고 있다면 피실험자는 잠시나마 불편함을 느낄 수 있고, 그러한 실험이 정당하게 마무리될 수 있는지에 대해 오래전부터 의문점이 제기되어 왔음.

- 사회심리학자들의 기만은 보통 실제 생활에서 생길 수 있는 많은 잘못 전해진 말들이나 텔레비전의 몰래 카메라 리얼리티 쇼보다 간단하고 무난한 편.


- 실험에서 피험자들을 인간답게 대접하는지를 확신하기 위해 사회심리학 연구를 대학 윤리위원회에서 심의.

01. 잠재적 실험참가자들이 통보 후 동의할 수 있을 정도로 실험에 관해 충분히 설명할 것.

02. 진실될 것. 반드시 필요하고 중요한 목적이 있는 정당한 경우에만 속임수를 사용하고, 기꺼이 실험에 참가하고자 하는 태도에 영향을 주는 요소가 있는 경우에는 금지할 것.

03. 피해와 심각한 불쾌감으로부터 실험참가자들을 보호할 것.

04. 실험참가자 개인 정보의 비밀을 유지할 것.

05. 실험참가자에게 사후 해명할 것. 향후 실험이 전개될 상황을 기만도 포함해서 충분히 설명할 것. 실험참가자가 자신의 우둔함이나 잔인함을 깨닫게 하는 것과 같이 피드백을 통해 괴롭게 만드는 경우는 예외로 함.

- 사호해명 debriefing : 사회심리학에서 실험참가자에게 실험 후에 하는 연구에 대한 설명. 사후 해명은 어떤 기만이 종료된 후에 통상적으로 이루어짐. 종종 참가자의 이해와 느낌에 대해 질문하기도 함.

- 실험자는 실험참가자들이 최소한 실험실에 도착했을 당시 만큼 좋은 감정을 갖고 떠날 수 있도록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사려깊게 행동해야 함.

- 피험자들이 실험을 통해 무언가를 배워 보람을 느낀다면 더욱 좋은 일.

- 피험자들이 존중받으면 기만을 당하는 것에 대한 불쾌감을 느끼는 사람은 거의 없음.

- 실제로 사회심리학 옹호자들은 교수들이 학생들로 하여금 학과 시험을 치게 하고 점수를 주는 것으로 야기되는 불안이나 고통이 실험자들이 실험에서 야기하는 것보다 훨씬 더 크다고 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