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사회학

사회학 - 젠더 정체감 : 프로이트의 젠더 발달론, 초도로우의 이론

좀좀이 2017. 8. 31. 07:18
728x90


프로이트의 젠더 발달론


- 유아기와 어린 아동기 때 학습되는 젠더 차이는 남근의 존재 또는 부재에 근거.

- 여기에서 관건이 되는 것은 단지 해부학적 구분만을 의미하지 않음. 남근의 존재 여부는 남성성과 여성성의 상징.

- 4~5세 경에 남자 아이는 아버지가 자신에게 요구하는 훈육받기, 자율성 정립에 대해 자신이 말을 듣지 않으면 아버지가 자신의 남근을 거세할 것이라는 위협적 환상에 빠짐. 부분적으로는 의식 수준이나, 거의 대부분 무의식 수준에서 남자 아이는 어머니의 사랑을 놓고 아버지와 라이벌 관계에 있음을 깨달음.

- 이때 남자 아이는 어머니에 대한 성애 감정을 억제하고 아버지를 우월적 존재로 수용하면서, 아버지와 적극적인 동일시 과정을 거쳐 남성 정체감의 실체를 깨달음.

- 남자 아이는 아버지에게 거세당할 수 있다는 무의식적 두려움으로 어머니에 대한 사랑을 포기.

- 여자 아이는 남자 아이들을 상징하는 가시적인 신체 부분을 소유하지 않기 때문에 '남근 선망'에 빠짐.

- 어린 소녀의 눈에 어머니는 평가절하된 존재가 됨. 어머니 역시 남근이 결여된 인물이고, 자기에게 결여된 신체의 일부를 부여해줄 수 없기 때문.

- 소녀가 어머니를 동일시할 때가 되면 자신은 '두 번째로 잘난' 존재라는 인식 속에서 복종적 태도를 받아들임.

- 이 단계가 끝나면 아동은 성적 감정을 절제하는 법을 학습함.

- 프로이트는 5세부터 사춘기에 이르는 기간은 잠재기의 일종으로, 사춘기 때의 생물학적 변화로 인해 성 에너지가 직접적으로 되살아날 때까지 성 에너지는 잠재됨.

- 아이들이 취학하면서 초등학교 중저학년기에 해당하는 잠재기는 동성 또래 집단이 아동의 삶에 가장 중요하게 부각되는 시기.


- 페미니스트들과 그 밖의 여러 다른 학자들은 프로이트의 설명 틀에 결정적인 반대 및 다른 의견 제시.

01. 프로이트는 젠더를 과도하게 남근과 관련된 논리로 깊이 결부시키고 있음. 그러나 실제로는 그 밖의 더욱 미묘한 요인들도 포함되어 있음.

02. 프로이트의 논리는 남근이 여성 생식기 질보다 더 우월하다는 의식에 기반. 하지만 이에 대한 과학적 근거 부족.

03. 프로이트는 아버지를 자녀 양육의 일차적 담당자로 설정하고 있으나, 현실의 여러 문화권에서는 어머니가 이러한 훈육에서 더 중요한 역할을 수행.

04. 프로이트는 젠더 학습이 4~5세 경에 집중된다고 설명하나, 프로이트 이후 등장한 대부분의 학자들은 젖먹이 시절 때 초기 학습의 중요성을 강조.


낸시 초도로우 Nancy Chodorow 의 이론


- 남자 아이인지 여자아이인지에 대한 학습은 아주 어려서부터 신생아가 부모와 애착 관계에 빠지면서 비롯.

- 프로이트가 강조했던 아버지의 중요성보다 어머니의 중요성에 훨씬 더 주목.

- 어린 아이는 어머니의 존재가 유년기에 가장 강력한 영향력을 지니기 때문에 어머니와 정서적으로 훨씬 더 친밀하게 됨.

- 그러나 이러한 애착심은 삶의 어느 시기에 독립된 자아 의식을 구축하는 과정에서 어린 아동이 덜 의존적 존재가 될 것을 요구받기 때문에 결별되어야 함.

- 이 결별 과정은 남녀별로 다른 방식으로 전개.

- 여자 아이는 어머니와 친밀한 관계에 안주할 수 있음. 어머니와의 갑작스러운 단절 과정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어린 소녀 (성장 후 성인 여성)는 타인과의 보다 지속될 수 있는 자아 정체감을 개발시킬 수 있음.

- 한 여자로서 정체감은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또는 타인과 의존하면서 (처음에는 어머니와, 나중에는 한 남성과) 진척시킬 수 있음.

- 이것이 여성적 특성인 민감함과 정감 어린 애정을 풍요롭게 하는 것에 기여.

- 소년들은 보다 급격한 방식으로 초기의 어머니와의 밀착 관계를 청산하고, 여성적 자질과 구분되는 남성다움을 개발시키는 가운데 자아 정체감을 획득.

- 남자 아이들은 '여자 같은 사내', '마마보이'가 되지 않아야 함을 학습.

- 그 결과 남자 아이들은 타인과 가깝게 어울리는 것에 상대적으로 서툴게 되고, 세상을 보는 방식에서 보다 분석적인 견해를 개발.

- 남자 아이들은 성취를 강조하는 한편, 자신의 솔직한 감정이나 타인의 느낌을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억누른 채 자신의 삶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태도를 취함.

- 초도로우는 프로이트와 달리 여성성이 아니라 남성성이야말로 어머니의 지속적인 친밀한 애착심을 포기한 결과이기 때문에 하나의 상실로 정의.

- 남성 정체감은 격리를 통해 이루어지며, 그렇기 때문에 성장 후 남자들은 타인과 긴밀하게 감정적 관계에 빠지게 되면 자신의 정체감이 무의식적 수준에서 위험에 처하게 된다고 인지.

- 여자들은 타인과의 밀착된 관계의 부재가 자신의 자존감에 위협이 된다고 느낌.

- 이러한 유형은 아동의 초기 사회화에서 담당하는 여성의 일차적 역할 때문에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대물림됨.

- 여자들은 스스로의 정체감을 타인과의 관계 정립과 연관지어 정의.

- 남자들은 이러한 욕구를 억제하며, 세상에 대해 좀 더 작위적인 자세를 취함.


- 초도로우의 저작은 많은 비판을 받음.

01. 현대 사회에서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존재가 되기 위해 투쟁하는 여성들을 초도로우는 설명하지 않음.

02. 초도로우의 이론이 제시하는 것보다 사람들의 심리적 정황은 더 이율배반적. 여성스러움은 공격적 성향이나 독단적 성향을 감출 수 있는데, 이러한 기질들은 아주 미약하게 또는 특별한 경우에만 표출되기 때문.

03. 초도로우는 가족의 개념을 백인, 중산층 모델에 기반하는 등 협소하게 규정. 한 명 이상의 성인에 의해 양육되는 홀부모 가구나 가족의 경우에는 어떠한 현실이 전개될 지에 대한 설명 부족.


- 초도로우의 설명은 여성성의 본질에 대해 알려주는 바가 많으며, 남자들이 자신의 감정을 남에게 드러내는 것에 겪는 어려움인 남성 무표현성의 단초를 이해할 수 있게 해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