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질적연구방법

질적 연구 방법 - 철학적 가정

좀좀이 2017. 8. 23. 18:00
728x90


- 질적 연구의 연구 설계 과정은 철학적 가정에서 시작.

- 연구자는 이러한 철학적 가정에 따라 질적 연구를 수행.

- 그리고 연구자들은 개인적 세계관과 패러다임 또는 연구에 대한 신념을 갖고 있고, 이들은 질적 연구의 수행과 저술 활동에 정보를 제공.

- 질적 연구에 대한 많은 접근 방식들에서 연구자들은 연구의 형태를 정하기 위해 이론적이고 해석적인 틀 활용.

- 좋은 연구는 연구 저작물에 이러한 가정과 패러다임. 틀을 명확히 할 것을 요구. 아니면 최소한 이것들이 연구 수행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알아야 함.


- 개별 연구자는 존재론적, 인식론적, 가치론적, 수사적, 방법론적 가정들에 따라 질적 연구 선택.

- 질적 연구자들은 이러한 가정 중에 하나를 선택하고, 이러한 선택은 연구의 수행과 설계에 대해 실제적인 함의를 제공.


질적 연구 방법에서의 철학적 가정들


- 질적 연구를 선택할 때, 연구자들은 특정한 가정을 함.

- 이러한 철학적 가정들은 실재의 본잴에 대한 태도 (존재론), 아는 것을 연구자가 인지하는 방법 (인식론), 연구에서 가치의 역할 (가치론), 연구의 언어 (수사적), 연구 과정에서 사용되는 방법들 (방법론)으로 구성.


철학적 가정들과 실천에 대한 함의

 가정

 질문

 특성

 실천에 대한 함의

 존재론적

 실재(reality)의 본질은 무엇인가

 실재는 연구참여자의 관점에서 볼 때, 주관적이며 복합적

 연구자는 참여자의 말로 인용과 주제를 활용하며, 상이한 관점들의 증거를 제공

 인식론적

 연구자와 연구 대상 간의 관계는 무엇인가

 연구자는 자신과 연구 대상 간의 거리를 좁히고자 함

 연구자는 참여자와 협력하며 현장에서 시간을 보내고, '내부인'이 됨

 가치론적

 가치의 역할은 무엇인가

 연구자는 연구가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편이 (bias) 가 존재한다는 것을 인정

 연구자는 내러티브를 형성하는 가치에 대해 개방적으로 논의하고 참여자의 해석과 함께 자신의 해석을 포함

 수사적

 연구의 언어는 무엇인가

 연구자는 개인적인 목소리를 사용해서 문학적, 비공식적 형식으로 글을 쓰며, 질적 용어와 제한된 정의들을 사용

 연구자는 내러티브라는 매력적인 스타일을 사용, 1인칭 대명사를 사용할 수 있음, 질적 연구의 언어 채택 가능

 방법론적

 연구과정은 무엇인가

 연구자는 귀납적인 논리를 사용, 맥락 내에서 주제를 연구, 하나의 드러나는 (emerging) 설계를 사용

 연구자는 일반화 이전에 특정한 (세부적인) 것들을 가지고 작업, 연구의 맥락을 상세하게 기술, 현장 경험에 의해 끊임없이 질문을 수정해감


- 존재론적 이슈는 실재의 본질 및 그것의 특성과 관련.

- 연구자가 질적 연구를 수행할 때, 그들은 다양한 실재에 대한 의견 채택.

- 각각의 연구자들은 상이한 실재들을 받아들임.

- 질적 연구자들은 개인을 연구할 때 이러한 다양한 실재들을 보고할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

- 질적 연구자들은 개인이 실제 사용한 언어에 기반해서 광범위하게 인용을 하거나 개인의 상이한 관점을 제시함으로써 다양한 실재를 입증 가능.

- 연구자가 현상학 연구를 할 때 이들은 연구참여자가 자신의 경험을 어떻게 다르게 보는지를 보고.


- 인식론적 가정에서, 질적 연구를 수행한다는 것은 연구자가 연구참여자와 가능한 한 가까워지기 위해 노력.

- 질적 연구자들은 참여자가 살거나 일하는 현장에서 연구 수행. 이것은 참여자가 하는 말을 이해하는 것에 중요한 맥락.

- 연구자가 참여자를 알기 위해 더 오래 '현장'에서 머물수록 직접적인 정보로부터 '그들이 알고 있는 것을' 더 많이 알 수 있음.

- 좋은 문화기술지 연구는 연구 장소에서 오랜 기간 체류할 것을 요구.

- 연구자들은 그 자신과 참여자들 간의 '객관적 분리' 또는 '거리'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


- 가치론적 가정에서 질적 연구자들은 가치를 명백히 제시하기를 원함.

- 질적 연구에서, 연구자는 가치개입적인 value-laden 특성을 인정.

- 현장으로부터 수집된 정보의 가치개입적인 특성 및 자신의 가치와 편견을 적극적으로 나타냄. 이것을 연구에 '자신을 자리매김' position themselves 라 함.


- 질적 연구 담화의 수사학은 시간을 두고 발전.

- 질적 연구자들은 저술이 개인적, 문학적 형태여야 한다는 수사적 가정을 채택하는 경향이 있음.

- 은유 사용.

- 1인칭 대명사 '나'를 사용해 자신을 지칭.

- 처음, 중간, 끝의 구성을 가지고 때때로 내러티브 연구에서처럼 연대기적으로 이야기 진행.


- 사례연구를 저술하는 질적 연구자들은 '내적 타당도 internal validity, 외적 타당도 external validity, 일반화가능성 generalizability, 객관성'과 같은 용어 대신 '자연주의적 일반화, 신빙성 credibility, 이전가능성 transferability, 의존가능성 dependability, 확증가능성 confirmability, 타당성 validation' 과 같은 용어 채택.

- '이해', '발견', '의미'와 같은 단어들도 질적 연구에서 등장하는 용어들. 이것들은 목적 서술과 연구 질문 작성에서 수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가짐.

- 질적 연구의 언어들은 개인적, 문학적이며, 연구자에 의해 정의되기보다 연구과정에서 전개되는 정의에 기초.

- 질적 연구에서는 포괄적인 '용어 정의'를 거의 찾아볼 수 없음. 왜냐하면 정보제공자가 정의하는 용어가 가장 중요하기 때문.


- 질적 연구 절차 또는 연구방법론은 귀납적이고 드러나는 것이며, 자료 수집과 분석에서 연구자의 경험에 의해 형성.

- 질적 연구자의 논리는 귀납적.

- 질적 연구자의 논리는 연구자의 관점이나 이론으로부터 전적으로 하향 전달되기보다는 하부에서 상부로 향하는 상향식으로 형성.

- 때때로 연구 질문들은 연구 문제를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더 나은 질문 유형들을 반영하기 위해 연구 도중에 변하기도 하며, 이에 따라 연구 이전에 계획되었던 자료 수집 전략은 새로운 질문에 따라 수정될 필요가 있음.

- 연구자들은 자료 분석을 하는 동안 연구 주제에 대한 더욱 상세한 지식을 개발하기 위해 자료 분석의 경로를 따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