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사회지리학

사회지리학 - 레저 공간의 사회적 구조화와 사회적 관계, 정체성

좀좀이 2017. 6. 13. 21:37
728x90


레저 공간의 사회적 구조화


- 모든 레저 공간은 독특한 사회 지리를 갖고 있음.

- 레저공간은 공식적인 지방정부의 계획과 의사 결정의 결과든 비슷한 생각을 가진 개인으로 구성된 집단의 비공식적인 행위의 결과든 간에 사회적으로 구조화됨.

- 산업혁명 동안 '이성적인 레크리에이션'의 새로운 형태는 노동 규율과 사회적 규범을 저해하고 사회적 무질서를 유발함으로써 산업적 이해관계에 위협을 준다고 여겨졌던 전산업시대의 대중적 형태의 레저 (사냥, 음주, 격투기, 정기시장, 철야놀이 등)를 대체하기 위해 도입.

- 이성적인 레크리에이션 운동은 인류애적 사회 개혁가와 교회, 지방정부 산업계의 연합에 의해 보건위생의 표준과 새로운 도시 노동자 계급의 도덕 수준을 높이려는 목적으로 장려.

- 전통적인 대중적 레크리에이션은 형사 법령과 경찰 활동을 통해 억압, 새로운 레크리에이션은 공적인 보급과 도덕적 리더십에 의해 장려.

- 레저공간은 사회적으로 구축됨.

- 레저 공간의 공급에 있어서의 변화에 대한 이해는 그 구축에 연관된 과정에 대한 조사를 필요.

- 그러나 개인과 그 사회적 활동 및 태도 (인간 주체)도 레저 공간을 구조화함.

- 레저 공간은 단지 자본주의적 개발이나 지방정부의 계획에 의해서만 창조되는 것이 아니라 개인의 행동과 지각에 의해서도 만들어짐.

- 그러므로 레저 공간은 구조와 주체 간의 상호 작용의 산물.


레저공간과 사회적 관계, 정체성


- 레저 공간은 사회적 관계를 담는 그릇. 이러한 현장에서 개인과 집단은 상호작용하고 경쟁하고 갈등함.

- 레저는 다른 사람들과 교제하고 동일시하면서 사회집단을 창조하는하나의 수단이나, 동시에 우리 자신을 문화적으로 구축된 '타인'과 구분하고 차별화하고 거리를 두기 위해 사용.

- 레저공간의 공급에 관한 그 어떤 지도라도 잠재적으로 특정한 사회가 기능하는 방식에 대해 알려줌.

- 특정한 레저 환경의 사회지리는 시간에 따라 변화 가능.

- 레저 공간의 이용상의 변화와 이용자 변화는 특정한 날, 주, 연도 등 서로 다른 시간에 발생. 몇몇 이러한 변화는 시간에 따른 공간 자체의 효용 가치의 변화와 연관되어 있음.

- 그러나 여타 이용상의 변화는 이용자 자체 및 그들의 사회적 행태와 관련될 수 있음.

- 특정한 레저공간에서 어느 한 집단의 특별한 행동은 일정 시간에 다른 사람들을 배제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음.


레저공간을 둘러싼 갈등


- 레저공간은 항상 사회적 갈등의 중요한 현장이었음.

- 그 어떤 사회에서도 레저가 어떤 형태로든 사회적 통제를 갖지 않는 경우는 거의 없음.

- 사회적 통제는 많은 형태와 서로 다른 변용된 모습으로 등장.

- 우리가 어디에 가고, 언제 가고, 누구와 가고, 거기에 도착했을 때 무엇을 하는지는 모두 공식적, 비공식적 규제와 조절의 대상. 그러나 레저는 사회적 통제의 영역인 것과 마찬가지로 대중적 저항의 현장이기도 함.

- 일부 갈등은 사회적 통제와 레저 공간의 조절에 대한 대중적 저항의 결과로 발생함.

- 예를 들어 종교 축제와 같은 국지적인 문화적 실천 행위는 관광소비의 목적을 위해 변형되고 재연출되고 상품화되며, 결과적으로 그 원래의 의미와 고유성을 상실하게 됨으로써 대중적 관광 목적지는 종종 관광객과 지역주민들 간의 문화적 갈등의 현장이 됨.


레저와 사회 계급의 정체성

- 피에르 부르디외 : 레저활동의 패턴과 사회 계급의 성원 간의 관계를 검토하는 광범위한 연구 수행.

- 한 개인이 레저활동을 선택하는 데 특정한 가족과 계급 내에서의 양육이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

- 부르디외의 관심사는 단지 레저활동 자체가 아니라 그들이 특정한 레저활동을 추구함에 있어서 사회 계급에 의해 채택되는 '스타일', '취향', '성향' 등에서의 차이.

- 부르디외는 서로 다른 사회 계급 간의 참여율 차이의 배후에 소득과 고용 수요에 있어서의 단순한 차이점보다 훨씬 많은 것이 존재한다고 주장.

- 그의 주장에 의하면 몇몇 레저활동에의 참여는 '문화적 역량', 즉 일정한 지식과 전문적 식견과 아울러 특정한 기술이나 예절, 행동 규범을 획득하거나 소유하기를 요구.

- 그런데 이러한 문화적 역량은 손쉽게, 빠르게 습득될 수 있는 것이 아님. 대부분의 것들은 일정 유형의 교육과 훈련, 양육의 여부에 달려 있음. 이러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은 부르디외가 말한 '문화적 자본'을 소유하고 있는 것임.

- 부르디외는 일정한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통해서뿐만 아니라 참여하는 활동에서의 예절이나 스타일을 통해 우리가 속한 사회 계급의 성원을 확인한다고 주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