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관광지리학

관광지리학 - 관광의 제약을 받는 계층과 여가 및 관광에 대한 국가의 역할

좀좀이 2017. 3. 8. 03:23
728x90

여가 및 관광에 대한 국가의 역할


관광의 제약을 받는 계층


- 대부분 자본주의 사회에서 인구의 상당수가 여러 사정으로 휴가 여행을 떠나지 못함.

- 호클랜드 Haukeland 는 휴가 여행을 떠나지 못한 집단을 제약적, 비제약적 집단으로 유형화했는데, 전자의 제약적 집단은 불리한 조건을 가진 관광객으로 규정 가능. 이 제약적 집단에는 대부분 경제적 문제로 제약을 받거나 신체장애로 제약을 받음.


- 스미스와 휴스는 휴가가 사회경제적으로 소외된 계층에게 영향을 준다고 주장. 이들은 불리한 입장에 있는 가족을 표본으로 한 조사에서 휴가는 일이 없는 사람에게도 의미가 있다는 점을 밝힘.

- 이들의 주장에 따르면, 일상의 삶 어디에서나 흥미있고 구경거리가 많다는 개념은 일상 환경을 평범하게 생각하는 이들에게 맞지 않음. 그리고 휴가의 의미는 일상에서의 탈출과 장소의 바뀜을 의미하고, 정신적, 물리적 복지 향상과 더불어 가족의 연대를 강화하기 위해서도 중요. 아울러 이러한 의미는 많은 사람에게 평범한 것이나 혜택받지 못한 가족들에게는 특별한 의미가 있음.

- 경제적으로 어려운 가족은 성별, 종족, 자녀 양육 등에 의해 제약을 받음. 많은 경우 이러한 제약요인은 경제적 변수와 겹치지만 정도의 차이는 있으며, 질병과 신체장애로 인한 제약도 있음.

- 여성 노동자도 혜택받지 못한 관광객이 지닌 문제를 갖고 있음.


여가와 관광에 대한 국가의 역할


- 여가는 개인생활의 일부이며, 일에 대한 보상, 집단과 가족 유대관계의 강화, 일상이 주는 중압감에서의 탈툴과 관련한 사회의 집단적 욕구.

- 여가의 가치는 좀 더 많은 정부와 노동조직에 의해 점점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음.

- 정부기관에서는 휴식, 여가, 휴가에 대한 개인의 권리에 대해 국제 선언문의 기초 자료를 만들고 있음.

- 인권에 관한 유엔헌장에서 모든 사람이 휴식과 여가를 즐길 권리가 있다고 명시되어 있으며, 휴가의 권리에 대한 구체적 진술은 1948년 선언 이래로 계속 있어왔음.


- 휴가권리의 부여는 대개 복지관광과 관련 있음.

- 이는 사회적으로 불리한 입장에 있거나 경제적으로 가난한 사회 집단이 어떻게 휴가를 취할 것인지의 내용과 연관.

- 아직 많은 사회에서 여가 활동은 사치라고 여겨짐과 동시에 개인의 기본권으로 받아들여지는 등 이중적 의미를 가짐. 하지만 어떤 의미에서는 관광의 중요성을 부각시켰다 해도 과언이 아님.

- 휴가에 대한 지원은 모든 임금노동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저렴한 비용의 편의시설과 더욱 값싼 패키지 상품을 개발함으로써 이루어지고 있음.


- 국제적 선언의 효과는 아직 복지 관광의 형태로 보기에는 어려우나 개별적인 정부의 조례에 일부 나타나고 있음.

- 복지 관광의 목적이 철학적으로는 단일하나 정부 개입이나 자원 봉사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를 띰.


- 정부는 휴가 참여를 증진시키기 위해 휴가비를 직접 지급하기도 하나 대체로 간접 지원을 하는 편.

- 정부가 복지관광 프로그램에 직접 개입하지 않는 방향으로 정책을 운영한다면 일반적인 여가정책을 편다고 볼 수 있음.

- 일반적인 여가정책에는 농촌지역으로서의 접근성 향상, 스포츠 및 여가 프로그램의 개발,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보조금 지원 등이 있음.

- 그러나 정치, 사회적으로 중립적이지 못한 여가 정책에 대해서는 여전히 논쟁의 여지가 많음. 정치적 긴장과 지역 간 차이, 사회경제적 차이와 무관하지 않음.


- 여가 참여의 계층분화를 연구한 연구자들은 대부분 여가활동 보조금이 여가활동을 하지 못하는 중산계층에게 이익이라 결론을 내림.

- 이에 따라 대다수 중앙정부는 전통적으로 예술, 유적지, 문화 부문을 보조하고 있으며, 지방정부는 여가활동참여를 증진시키기 위해 노력중.

- 지역 차원에서는 청소년과 실업자의 여건 향상을 위해 도시 여가정책을 개발함과 동시에 차별적인 정책을 펼치는 중.


- 실제로 지방정책에 의한 여가시설 증가는 상업적인 시장 운영에 어려움을 줌.

- 실업자 간에도 계층 차이가 크며, 실업자 중 상대적으로 교육을 더 받은 집단이 취미를 재생산하는 경향이 있음.

- 이러한 견해는 지방 여가정책이 기존 지역생활방식을 반영하고, 모든 '여가의 빈곤' 문제를 해결하는 데 목적을 두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

- 그러나 이러한 것이 시행되기 전에 여가를 구성하는 모든 개념과 여가에 대한 동의와 이해가 필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