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 교과서 리뷰/키르기스어

키르기스스탄 러시아인 초등학교 4학년 키르기스어 교과서

좀좀이 2025. 5. 1. 03:52
728x90

이번에 소개할 교과서는 키르기스스탄의 러시아인 초등학교 4학년 키르기스어 교과서에요.

 

한국인들이 다민족 국가 교육 시스템에서 매우 생소한 것 중 하나가 학교가 언어별로 구분되어 있다는 점이에요. 저 역시 우즈베키스탄에서 1년간 살며 처음 취미로 우즈베키스탄의 국어책을 수집할 때는 이 점을 전혀 몰랐어요. 그러다 나중에 가서야 러시아인 학교와 우즈베크인 학교가 따로 있다는 점을 알았고, 교과서도 따로 존재한다는 점을 알게 되었어요.

 

이 학교를 '러시아인 학교'라고 번역하는 것과 '러시아어 학교'라고 번역하는 것 중 원래 정확한 의미는 '러시아어 학교'에요. 러시아어로 수업을 진행하는 학교가 따로 있어요. 그리고 이 학교에는 반드시 러시아인들만 들어가는 것은 아니구요.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이 주로 입학하지만, 현지어나 다른 언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아이들도 러시아어 학교에 입학하기는 해요.

 

가장 큰 이유는 아무래도 러시아어로 진행되는 수업의 질이 현지어로 진행되는 수업의 질보다 높다는 인식이 있기 때문이에요. 그래서 러시아어로 수업을 진행하는 학교에 입학하는 현지인들도 있어요.

 

그러나 '러시아인 학교'라고 해도 그렇게까지 크게 틀린 건 아니에요. 왜냐하면 실제로 러시아인 학생들이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거든요. 원래는 러시아어가 모국어인 학생들 - 러시아인을 대상으로 하는 학교이기도 하구요.

 

여기에서 다룰 교과서는 키르기스스탄 러시아인 초등학교 4학년 키르기스어 과목 교과서에요.

 

모처럼 키르기스어를 공부하다가 과거에 제가 봤던 키르기스스탄의 러시아인 초등학교 리뷰 글을 쭉 보고 싶어졌어요. 그래서 제가 전에 글을 써서 블로그에 올려놓은 키르기스스탄의 러시아인 초등학교 4학년 키르기스어 교과서 리뷰를 쭉 보던 중이었어요.

 

"어? 4학년 어디 갔어?"

 

제가 써놓은 키르기스스탄의 러시아인 초등학교 키르기스어 과목 교과서 리뷰 글을 보다가 깜짝 놀랐어요. 키르기스스탄 러시아인 초등학교 4학년 키르기스어 과목 교과서 후기가 없었어요.

 

"왜 없지? 내가 안 썼나?"

 

처음에는 당황했어요. 제가 글을 안 썼을 리 없었거든요. 곰곰히 생각해봤어요.

 

'아, 안 썼을 수도 있겠다.'

 

그 당시에는 제가 글을 어떻게 쓰는지도 잘 몰랐고, 여러 국가의 교과서를 계속 보고 있었기 때문에 쓸 말도 별로 없었어요. 게다가 그 이후에 여행기에 치여서 살다시피 했구요. 그래서 나중에 리뷰를 쓰려고 미루다가 까먹었을 거에요.

 

"지금이라도 다시 보고 써야겠네."

 

다행히 키르기스스탄 러시아인 초등학교 4학년 키르기스어 교과서를 예전에 보고 정리해놓은 것이 있었어요. 책은 실물 그대로 갖고 있구요. 그래서 과거에 제가 공부했던 것을 참고하면서 빠르게 다시 읽기 시작했어요. 이렇게 보니 금방 다 봤어요. 과거에 공부해놓은 것을 잘 보관해놓기를 잘 했어요.

 

키르기스스탄 러시아인 초등학교 4학년 키르기스어 교과서 지문은 아래 링크로 들어가면 볼 수 있어요.

 

키르기스스탄 러시아인 초등학교 4학년 키르기스어 교과서 (링크)

 

키르기스스탄 러시아인 초등학교 4학년 키르기스어 교과서 표지는 이렇게 생겼어요.

 

 

책 표지 배경색은 초록색이에요. 그리고 책 상단에는 키르기스인 전통 모자를 쓴 소년과 일반적인 옷을 입은 소녀가 풀밭에 앉아 있는 그림이 그려져 있어요.

 

키르기스스탄 러시아인 초등학교 4학년 키르기스어 교과서 책 표지에서 하단을 보면 KbIPSbI3 munu 처럼 적힌 글자가 있어요. 이것은 키릴문자 필체 중 하나로 쓴 것으로, Кыргыз тили 에요. Кыргыз тили 는 키르기스어로 '키르기스어'라는 말이에요. 발음은 '크르그스 틸리'에요.

 

참고로 키르기스의 Кыргыз 에서 라틴문자로 쓸 때 ы를 y로 쓰면서 kyrgyz가 되었어요. 하지만 원래 키르기스어에서 ы는 '으' 모음이에요. 그래서 '크르그스'라고 읽어야 해요. 맨 뒤의 з는 원래 z 발음이지만, 어말에서는 무성음화되어서 s발음이 되요.

 

 

제가 갖고 있는 키르기스스탄 러시아인 초등학교 4학년 키르기스어 교과서는 2006년에 키르기스스탄 수도 비쉬케크에 위치한 Билим куту 출판사에서 출판된 교과서에요.

 

КЫРГЫЗ ТИЛИ 아래를 보면 Окутуу орус тилинде жүргүзүлгөн орто мектептердин 4-классы үчүн окуу китеби 라고 적혀 있어요. 해석하면 '교육이 러시아어로 진행되는 중등학교의 4학년을 위한 교과서'에요.

 

중앙아시아에서 특히 현지 국어책을 구할 때는 이 페이지를 매우 잘 봐야 해요. 러시아인 학교용 교과서인지, 현지인 학교용 교과서인지 반드시 확인해야 하거든요. 둘이 같은 학년이라고 해서 난이도가 같지 않아요. 오히려 난이도가 극단적으로 차이나요. 현지인 학교용 국어책 4학년이면 어지간히 공부해서는 읽지도 못 해요. 진짜 어려워요.

 

이는 전혀 이상할 것이 없는 것이, 초등학교 4학년이면 만 10세에요. 만 10세 아동이 아무리 꼬맹이라고 해도 10년을 24시간 내내 현지어를 학습하고 현지어를 훈련한 사람이에요. 초등학교 4학년 학생이 모국어를 말하는데 문법에서 막힐 일은 없어요. 그러니 난이도 차이가 극단적으로 큰 건 당연해요.

 

이 교과서 제일 상단에 있는 저자 중 С. Рысбаев는 키르기스어에서 상당히 유명한 사람이에요. 웬만한 국어책은 이 사람이 다 썼을 거에요.

 

 

그 후 본문이 시작되요.

 

 

키르기스스탄 러시아인 초등학교 4학년 키르기스어 교과서 삽화적 특징이라면 초반에는 컬러로 인쇄되어 있는데 몇 장 넘어가지 않아서 바로 완전 흑백으로 바뀌어요. 4학년이면 이제 초등학교 고학년이라는 거죠.

 

키르기스스탄 러시아인 초등학교 4학년 키르기스어 교과서 지문에서 새로 등장한 문법들은 다음과 같아요.

 

- '명사여격 туура кел' 은 '어떤 일을 실행하다'라는 의미다.

- 동사 теп 의 -Ып 형태는 тээп 이다.

- '동사어간+А жазда' 또는 '동사어간+А жаз'는 '~할 뻔하다' 라는 의미다. 여기에서 жазда, жаз는 보조동사다.

- '동사어간+ГИчА'는 1. '~보다', '~대신에', 2. '~할 때까지', '~하는 동안은'라는 의미다. 그리고 부정은 '동사어간+мАйЫнчА' 형태다.

- ыя 는 의문문 뒤에 쓰여서 놀람과 불만족의 뉘앙스를 나타낸다.

- '동사어간+ГЫ+дАй' 는 분사처럼 사용되며, '~할 가능성이 있는', '~할 수 있는' 이라는 의미다.

 

 

왜 이런 문법을 이제야 제대로 알려줄까?

 

위의 문법은 키르기스어의 소유인칭접미사를 다룬 문법이에요. 소유인칭접미사란 명사 위에 수와 인칭을 나타내며 소유의 의미를 표현하는 접미사에요. '~의 것'이라는 의미에요. 예를 들면 күч는 '힘'이라는 단어에요. 여기에 3인칭 단수 소유인칭접사 ү를 접미시키면 күчү가 되요. күчү의 뜻은 '그의 힘'이라는 의미에요.

 

이런 문법이 사용된 건 이미 훨씬 앞에서부터 계속 나오고 있었어요. 그런데 이제서야 이걸 제대로 문법으로 다루고 있어요. 이 교과서를 보면서 들었던 의문점은 바로 이 점이에요.

 

현지에서 사는 러시아인이라면 주워듣는 것이 있고 현지인들과 대화해야 하니 이미 알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도 있지만, 실제로는 거의 외국어 배우는 수준이에요. '거의 외국어 배우는 수준'이 아니라 정말로 외국어 하나 따로 배우는 거에요. 아무리 키르기스스탄의 국어가 키르기스어라고 해도, 키르기스스탄 국적의 러시아인들에게 키르기스어는 외국어에요. 그런데 이런 것이 꽤 있어요. 더욱이 이 책이 출판된 해는 2006년으로, 이때면 러시아인들이 현지어는 아예 배울 생각을 안 하던 때였어요.

 

키르기스스탄 러시아인 초등학교 4학년 키르기스어 교과서는 키르기스어를 혼자 독학한다면 처음부터 이 책으로 공부하기에는 수준이 높아요. 독학으로 공부한다면 키르기스스탄 러시아인 초등학교 1학년 키르기즈어 교과서부터 차근차근 읽어나가는 것이 좋아요. 이렇게 한다면 그렇게까지 힘들거나 어렵지는 않게 키르기스스탄 러시아인 초등학교 4학년 키르기스어 교과서도 읽을 수 있어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