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 여행기/미분류

2025년 라마단 일정 및 금식 시간표 - 대한민국 서울

좀좀이 2025. 3. 19. 09:20
728x90

2025년 라마단 기간은 2025년 3월 1일부터 3월 29일이에요. 이제 라마단은 오늘을 제외하면 열흘 남았어요.

 

라마단은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체감이 안 되는 이슬람 종교 의무이자 문화에요. 과거에 비해 이슬람이 우리나라 일반인들의 삶에서 더 중요해지기는 했어요. 외국인 노동자와 외국인 유학생 중 무슬림인 사람들이 꽤 있기 때문이에요. 과거보다는 확실히 무슬림이 우리나라에 많아졌어요. 그렇지만 아무리 우리나라에 무슬림이 많아졌다고 해도 우리나라 전체 인구 대비로 보면 매우 극소수에요.

 

하지만 과거처럼 라마단이 교과서에서나 존재하는 수준은 절대 아니에요. 바로 위에서 언급했듯이 외국인 노동자와 외국인 유학생, 다문화 가정의 증가로 인해 국적을 따지지 않고 '무슬림'으로 보면 관심을 갖고 찾아보면 찾을 수 있는 정도는 되거든요. 그리고 이렇게 외국인 노동자나 외국인 유학생, 다문화 가정을 상대해야 하는 사람들이라면 라마단이 더욱 중요할 거구요.

 

이슬람 종교 의무인 라마단은 단순히 종교 의무에 그치지 않고 이슬람 문화이기도 해요. 이슬람력으로 한 달간 낮 시간에 단식을 해야 하기 때문에 이슬람 문화와도 상당히 관련있어요. 한 달 동안 라이프 스타일에서 최고로 중요한 기준이 되니까요.

 

라마단은 매해 열흘 정도 앞당겨져요. 왜냐하면 라마단은 이슬람력을 따라 행하는데, 이슬람력은 음력으로, 1년에 354.3일이에요.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사용하는 양력 - 그레고리력과 비교하면 매년 열흘씩 앞당겨져요. 이와 더불어 우리가 사용하는 음력과 이슬람력은 상당히 큰 차이가 있어요. 우리가 사용하는 음력은 계절과 달력의 차이가 너무 달라지는 것을 막기 위해 윤달을 끼워넣어서 계절과 달력의 차이를 일정하게 맞춰요. 하지만 이슬람력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달력과 계절이 안 맞아요. 이 때문에 라마단도 길게 보면 여름일 때도 있고 겨울일 때도 있어요.

 

2025년 라마단은 매우 큰 특징이 있는 라마단이에요.

 

춘분이 들어가 있는 마지막 라마단

마지막 봄의 라마단

 

2025년 라마단 기간은 맨 앞에서 언급했듯이 2025년 3월 1일부터 3월 29일까지에요. 춘분은 3월 20일이에요. 그렇기 때문에 올해 라마단은 춘분이 포함되어 있는 라마단이에요. 내년 라마단은 봐야 알겠지만, 춘분이 포함될 수도 있고 포함 안 될 수도 있어요. 일단 현재 2026년 라마단을 검색해보면 2026년 2월 17일~3월 19일이라고 나와 있지만, 국가에 따라 이슬람 중앙성원이 공지하는 라마단 기간에 미세한 차이가 있기 때문에 3월 20일 춘분이 라마단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어요.

 

춘분이 들어가 있는 라마단이라는 점은 의미가 꽤 있어요. 보통 3,4,5월 봄, 6,7,8월 여름, 9,10,11월 가을, 12,1,2월 겨울이라고 계절을 구분해요. 춘분은 3월 20일, 하지는 6월 21일, 추분은 9월 23일, 동지는 12월 22일이구요. 즉, 자세히 보면 흔히 3월부터 봄이라고 하지만, 봄의 시작은 춘분부터라고 보는 게 오히려 더 맞는 편이에요. 춘분이 되어야 확실히 봄이 온 느낌이 나니까요. 물론 올해는 춘분 다 되어서 대설특보 내리고 꽃샘추위 강하게 찾아오고 난리이지만요.

 

올해는 춘분이 들어가 있는 마지막 라마단이에요. 내년 해외 각국의 이슬람 중앙성원이 공지하는 라마단 기간을 확인해야 확실하겠지만, 현재 인터넷 검색상 나오는 기간을 보면 내년 라마단은 춘분이 포함 안 될 확률이 높아요. 우리나라도 올해 라마단 종료일이 3월 29일이고, 이슬람력이 양력에 비해 매해 10일 정도 앞당겨지는 점을 고려하면 3월 19일에 라마단이 종료될 거라 보는 게 일반적이에요.

 

이는 올해가 한동안 마지막 봄철의 라마단임을 의미해요. 내년부터는 아무리 3월의 절반 이상이 라마단이라 해도 사실상 겨울의 라마단이에요. 정확히는 늦겨울의 라마단이에요. 춘분이 지나지 않았고, 3월초에는 꽃샘추위가 있으니까요. 올해처럼 꽃샘추위가 대설특보까지 내리며 아주 화려할 지는 모르겠지만, 꽃샘 추위가 지나가야 봄이에요. 그 꽃샘 추위가 사실상 3월 상반기를 차지하고 있구요.

 

이와 같은 올해 라마단의 특징은 튀르크 문화권 및 페르시아 문화권에서 의미가 상당히 커요. 튀르크 문화권에 속하는 국가들과 페르시아 문화권에 속하는 국가들은 전통적인 신년맞이 명절인 나브루즈 바이람이 있어요. 나브루즈 바이람부터 봄이에요. 올해는 나브루즈 바이람이 포함된 마지막 라마단이에요. 내년부터는 라마단 종료와 함께 나브루즈 바이람이 시작될 확률이 높구요. 다시 한 번 말하지만, 라마단은 각국의 이슬람 중앙성원에서 날짜를 확정하며, 국가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미래의 라마단에 대해서는 정확히 언제라고 하는 것이 아니라 확률이라고 하는 거에요. 시작일과 끝나는 날은 하루 이틀 차이가 있을 수 있거든요.

 

대한민국 서울 2025년 라마단 일정 및 금식 시간표는 이슬람 서울중앙성원 홈페이지 들어가면 볼 수 있어요.

 

 

이슬람 서울중앙성원 홈페이지에서 예배 시간표를 다운로드 받은 후, 라마단 기간을 찾으면 되요.

 

 

한국 서울 2025년 라마단 일정 및 금식 시간표는 다음과 같아요.

 

날짜 금식 시작 금식 종료
3월 1일 새벽 5시 37분 저녁 6시 26분
3월 2일 새벽 5시 35분 저녁 6시 27분
3월 3일 새벽 5시 34분 저녁 6시 28분
3월 4일 새벽 5시 32분 저녁 6시 29분
3월 5일 새벽 5시 31분 저녁 6시 30분
3월 6일 새벽 5시 30분 저녁 6시 31분
3월 7일 새벽 5시 28분 저녁 6시 32분
3월 8일 새벽 5시 27분 저녁 6시 33분
3월 9일 새벽 5시 25분 저녁 6시 34분
3월 10일 새벽 5시 24분 저녁 6시 35분
3월 11일 새벽 5시 22분 저녁 6시 36분
3월 12일 새벽 5시 21분 저녁 6시 37분
3월 13일 새벽 5시 19분 저녁 6시 38분
3월 14일 새벽 5시 18분 저녁 6시 39분
3월 15일 새벽 5시 16분 저녁 6시 40분
3월 16일 새벽 5시 14분 저녁 6시 41분
3월 17일 새벽 5시 13분 저녁 6시 42분
3월 18일 새벽 5시 11분 저녁 6시 43분
3월 19일 새벽 5시 10분 저녁 6시 43분
3월 20일 새벽 5시 8분 저녁 6시 44분
3월 21일 새벽 5시 6분 저녁 6시 45분
3월 22일 새벽 5시 5분 저녁 6시 46분
3월 23일 새벽 5시 3분 저녁 6시 47분
3월 24일 새벽 5시 2분 저녁 6시 48분
3월 25일 새벽 5시 저녁 6시 49분
3월 26일 새벽 4시 58분 저녁 6시 50분
3월 27일 새벽 4시 58분 저녁 6시 50분
3월 28일 새벽 4시 57분 저녁 6시 51분
3월 29일 새벽 4시 53분 저녁 6시 53분

 

만약 서울 용산구 이태원 이태원역 근처에 있는 모스크인 이슬람 서울중앙성원으로 라마단 풍경을 보러 가고 싶다면 위 표에서 저녁 예배 시각을 보고 그 시각에 맞춰서 가면 되요.

 

다른 나라의 라마단 금식 시간표를 알고 싶다면 각국의 이슬람 예배 시간표를 구한 후에 새벽 기도 시각 - FAJR 시각과 저녁 기도 시각 - MAGHRIB 시각을 확인하면 되요. FAJR부터 MAGHRIB까지가 금식 시간이거든요.

 

올해는 아주 오랫동안 한동안 다시 경험 못 할 봄철의 라마단이에요. 내년 - 2026년부터는 우리나라에서 늦겨울의 라마단이에요. 달력상으로는 3월 중순 끝날 때까지 라마단이라 달력상으로는 내년이 마지막 봄철의 라마단이겠지만, 실제 날씨와 계절 변화 고려하면 내년부터는 늦겨울 제일 끝자락의 라마단이에요.

 

참고로 라마단 기간은 한국에서 이슬람 문화권 음식들 - 파키스탄 식당, 우즈베키스탄 식당 등을 갈 때 알아두는 것이 매우 좋아요. 라마단 기간 때는 낮에 이슬람 문화권 식당을 가는 것보다 밤에 가는 것이 좋아요. 왜냐하면 요리사들이 라마단 기간에는 낮 동안 음식 맛을 보지 않고 조리하기 때문에 낮 시간 동안에는 평소에 비해 맛이 조금 떨어지거나 불규칙할 수 있기 때문이에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