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언어 사용은 언어 체계의 다양한 기능을 의미.
- 2개 언어 상용사회에서는 기능적 세분화 functional specialization 에 의한 모형이 나타남.
01. 지칭적 기능 referential
- 언어 외의 실재 reality를 지칭함으로써 정보가 전달됨.
- 지칭적 기능은 언어의 유일한 기능으로 간주.
- 어떤 언어에 대한 지식이 있다면 이는 이 언어 기능을 구사하는 능력이 있음을 의미.
02. 지시적 기능 directive, 통합적 기능 integrative
- 일반적인 인사, 말을 거는 관습적인 방식, 명령, 감탄, 의문문을 통해 타인과의 접촉이 이루어짐.
- 협력을 이루기 윟 충분한 상호작용적인 구조가 만들어짐.
03. 표현적 기능 expressive
- 자신의 감정을 알림으로써, 사람은 자신을 타인에게 독특한 존재로 표현 가능.
- 유창하지 못한 많은 화자들이 이러한 기능을 사용함에 있어 상당한 어려움을 겪음.
04. 교감적 기능 phatic
- 의사소통의 통로를 만들고 그 대화 통로를 계속 열어두기 위해 화자들이 관습화된 시작과 끝맺음, 자기 말 순서를 표시하는 방법.
- 필요하다면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집단 내에 속해 있음을 확인해주는 언어 형태들을 이용.
05. 상위언어적 기능 metalinguistic
- 언어를 사용함으로써 언어 사용과 언어 기준에 대해서 화자가 갖는 태도 및 인식이 알려짐.
06. 시적 기능 poetic
- 농담, 말장난, 언어유희, 의식적인 스타일과 언어사용역의 전환 register shifts를 통해 언어는 유희됨.
- 언어의 사용은 하나의 목표가 되면서 본질적으로 기쁨의 원천이 됨.
- 서로 다른 언어들이 2개 언어 상용자의 생활 속에서 서로 다른 기능 수행 가능.
- 2개 언어 상용 대화에서 한 특정 언어의 선택은 그 순간에 알맞는 그 특정 언어의 주요 기능들을 나타낼 수 있음.
- 비록 외국어로 아주 편안하게 비즈니스 대화를 할 수 있다 하더라도 그 외국어로 문학 작품을 집필하거나 농담하기 어려움.
- 상위언어적 기능에서도 이는 똑같이 적용됨.
- 언어의 다양한 기능들이 한 언어의 다양한 구사 요구에 따라 위계적으로 배열됨.
- 그러한 기능들은 자주 요구되는 영역에서도 차이가 나타날 수도 있음.
공식적 (formal) |
기관 |
지시적 |
↑ ↓ |
직장 |
지시적/통합적 |
거리 |
표현적 |
|
문화생활 |
교감적 |
|
친구들 |
상위언어적 |
|
비공식적 (intimate) |
가족 |
시적 |
- 2개 언어 상용 사회에서 언어 사용에 있어서 기능적으로 분류되어 있음은 쉽게 확인 가능.
- 공식적 상황인 기관, 학교 등에서 사용하는 언어와 비공식적 상황인 친구, 가족들과 사용하는 언어가 다른 경우가 상당히 흔히 목격됨.
- 2개 언어 상용 사회의 현상이라 해서 단일언어 사용 상황과 거리가 너무 동떨어진 것은 아님.
- 표준어와 방언의 기능도 비슷하게 나타남.
- 한국의 경우, 표준어와 방언 간의 관계에서 비슷한 현상이 목격되기도 함.
- 기능들이 영역보다 더 추상적이기 때문에 이러한 평행구조는 완벽하지 않음.
- 그러나 영역 부문의 낮은 쪽으로 움직이면 움직일 수록 낮은 쪽에 있는 기능들이 더 많은 역할을 하게 됨.
사회규범은 어떤 기능적 분리를 의미 (영역/2개언어상용사회)
-> 개인은 재량에 따라 서로 다른 기능에 다양한 언어 사용
-> 사회적 사건은 특정 기능에 특정 언어를 요구 (상호작용중심)
- 기능이라는 개념은 언어선택의 결정론적 접근방식과 상호작용에 중심을 둔 접근 방식을 연결시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