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성의 정의 : 새로움+적절성
- 창의성 : 새롭고 적절한 것을 생성해낼 수 있는 능력.
- 창의적인 것은 사람들이 항상 보아왔던 것과는 상이한 어던 것을 의미한다는 생각.
-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어떤 것이라는 생각에는 새로움 novelty가 창의성의 본질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음.
- 이를 위해 다양한 사고의 필요성이 강조되기도 함.
- 다양한 생각을 통해 무언가 만들어내야 새로운 것을 만들 가능성이 높아짐.
- 창의적인 것이라 인정되려면 새로움 외에 적절성 appropriateness 가 필요.
- 창의성을 정의함에 있어서 적절성이 고려되지 않고 새로움만 강조된다면 단순히 이상한 것이 됨.
- 새로움이라는 측면만 강조할 경우, 창의성은 발현 과정을 알기 어려운 신비한 것으로 간주됨.
- 그러나 창의성은 새로움과 적절성을 필요로 하는 하나의 인지 과점.
창의성 연구의 범주와 내용
- 창의성 연구는 크게 네 범주로 나눠서 살펴볼 수 있음.
-> 창의적인 과정 process, 창의적인 산물 product, 창의적인 개인 person, 창의적 산물에 영향을 주는 환경 press : 창의성 연구의 4P
창의성 연구의 4P
01. 창의적인 과정 process
- 산출과정 연구.
- 어떤 시점에서 개인 내에 존재하는 사고 과정을 창의성으로 정의하며, 이러한 접근에서는 창의적인 사고나 문제 해결 측면과의 관계 등을 주로 다룸.
- 주요 학자 : Torrance, Wallas 등.
02. 창의적인 산물 product
- 산출물의 특징.
- 창의적인 산물의 특징에 관심을 갖음.
- 창의적이라고 판단되는 최종 결과물 (산출물)에 대해 관심을 갖는 연구들이 포함됨.
- 이러한 연구들은 창의적인 산물에 대한 객관적인 측정과 판단을 가능하게 함.
03. 창의적인 개인 person
- 성격 또는 행동 특성.
- 창의적인 개인의 특성에 초점을 맞춰서 창의성의 본질에 접근.
- 창의적인 개인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성격이나 태도 등에 주목.
04. 창의적 산물에 영향을 주는 환경 press
- 연구자들은 창의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환경에도 관심을 기울여왔음.
- 창의적인 환경에는 분위기 climate, 상황 situation, 장소 place 등이 포함됨.
- Tardif, Stemberg : press 라는 용어 대신 영역 domains, 분야 field, 상황 contexts 등을 포함하는 연구를 포함해서 환경 environment 로 분류하는 것이 더 유용하다고 제안.
창의성의 연구 방법
01. 심리측정적 연구 psychometric
- 상관적 설계를 이용.
02.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 준실험설계 및 실험설계를 통해 창의성 연구.
- 실험적 조작을 통해 창의적 산출물에 영향을 끼치는 원인을 규명하는 것에 관심을 둠.
- 주로 사용하는 검사 : 확산적 사고검사
03. 전기적 연구 biograpical
- 탁월한 창의적 인물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통해 창의성의 본질을 알아내고자 함.
- 창의적인 인물 사례를 연구함으로써 창의성에 접근하기 때문에 창의성에 대한 정의 자체가 다양하게 됨.
04. 역사측정적 연구 historiometric
- 한 생애를 쭉 연구.
- 일반적으로 산출되는 자기보고 또는 검사 측정치에 의존하지 않음.
- 역사적 고증을 통한 질적 자료를 바탕으로 창의성을 연구한다는 점에서 심리측정적 접근과 다름.
05. 생물측정학적 biometric
- 창의적인 사람들의 유전적 또는 신경생물학적 특징을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둠.
- 창의적인 사람들이 독특한 유전적 구조를 갖고 있는지, 또는 신경체계의 기능이나 구조에서 두드러진 특징이 존재하는지 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