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 Talcott Parsons 기능주의 교육이론 - 인지적 학습, 도덕적 학습

좀좀이 2019. 9. 11. 07:29
728x90

교육사회학 - Talcott Parsons 기능주의 교육이론 - 인지적 학습, 도덕적 학습


탈콧 파슨스 Talcott Parsons 1902~1979


- 미국 사회학자

- 행위이론 주창자

- 기능주의 이론을 사회에 대한 분석을 위한 일반적인 이론체계로서 포괄적인 사회학 이론으로 정립.

- 하버드대학에서 경제학과 사회학을 가르침.

- 1949년 미국 사회학회 의장으로 활동.

- 첫 번째 저작 The Structure of Social Action : 자발적인 워리에 기초한 사회적 행동의 체계적 이론을 발전시키기 위해 프로이트와 베버가 가정한 인간 내부의 영역이 아니라 사회에 의해 발전된 외부의 제도적 구조의 영역에서 사회학 이론의 자취 정리.

- The Social System : 거시적인 시스템과 사회적 질서의 문제, 통합과 평형상태를 바탕으로 분석 -> 구조기능주의 분석 주장.

- 제각기 고유한 임무를 수행하는 여러 사회구조의 단위들이 서로 연관되어 상호작용하며 그 사회시스템의 발전과 존속에 기여한다고 봄.

- 보다 전문화된 업무를 담당하는 여러 상호의존적 요소들이 그 체계를 이루고 있다고 봄.

- 이와 같은 사회의 고유한 특성 중 하나가 불평등 또는 계층의 존재.

- 불평등 또는 계층의 존재로 인한 갈등이 사회 현상을 해명하는 본질적인 요인이 될 수 없다고 봄.

- 사회질서 - 즉 규칙과 규범은 사회 성원들의 의식과 의무감이 내면화됨으로써 가능하다고 봄.

- 학교 교육의 사회화 기능 강조.

- 산업사회에서 학교는 자질과 능력에 따라 사람들을 선발하고 직업 구조에 배치시키는 사회적 선발기구라 주장.

- 능력에 바탕을 둔 선발 장치로서의 시험 제도는 보편주의 업적주의, 객관적인 평가로서의 감정중립성 등의 요소를 가지며 학교는 이러한 기능들을 수행하고 있다고 봄.


탈콧 파슨스 기능주의 교육이론 - 인지적 학습, 도덕적 학습


- 파슨스는 뒤르켐과 마찬가지로 학교 교육의 사회화 기능을 강조함과 동시에 산업사회에서의 인력 배치 manpower allocation 기능을 부각시킴 -> 사회적 선발기능 강조.

- 사회화와 사회적 선발을 사회 체계로서의 학교의 기본 기능으로 파악.

- 사회화 기능에 관한 파슨스의 설명은 뒤르켐의 설명과 비슷함.

- 개인들에게 그들이 장차 성인이 되어 담당하게 될 역할 수행에 반드시 필요한 정신적 자세와 자질을 기르는 것이 사회화라 요약.

- 학교는 이러한 정신적 자세와 자질을 길러주고 있음.


- 그러나 사람들이 사회에서 담당하는 역할은 서로 상이함 -> 누가 어느 역할을 담당할 지를 결정하는 일도 매우 중요.

- 기술 산업 사회에서는 각자의 능력과 소질에 적합한 역할을 담당시키는 것이 인력 자원의 활용을 극대화하는 방법.

- 개인의 입장에서 보면, 남들로부터 존경받을 수 있고 많은 경제적 수입을 얻을 수 있는 지위는 누구나 원하기 때문에 학교가 개개인의 능려고가 소질을 정확히 파악해 적절히 배치하는 것이 큰 중요성을 가짐.


- 파슨스는 초등학교에서 대학에 이르기까지의 선발과정을 비교적 자세히 묘사.

- 미국의 학교 교육이 가장 가치롭게 여기는 것은 성취지향성 -> 학생 개개인의 성적을 중시하고 성적을 기준으로 삼아 선발.


- 그러나 초등학교와 중등학교 사이에는 큰 차이 존재.

- 초등학교는 성적의 '크기'만을 따지나, 중등학교는 성적의 '크기'와 함께 '질'을 따짐.


- 성적은 '인지적 학습' cognitive learning과 도덕적 학습 moral learing 으로 구성.

- 인지적 학습 : 지식과 기술 등의 학습

- 도덕적 학습 : 교사에 대한 존경심, 급우들과의 협동, 질서 지키기 등의 학습


- 초등학교에서는 인지적 학습과 도덕적 학습을 나누지 않고 하나의 전체로 다루기 때문에 '우수한 학생'은 인지적 학습과 도덕적 학습에서 모두 우수한 학생을 의미.


- 그러나 중등학교에서는 성적이 질적으로 분화됨.

- 대학교육을 받기에 적합한 사람인지로 분류하고, 대학진학에 적합하지 않은 사람은 중등학교를 마치고 사회에 나가 담당할 직업의 종류에 따라 분류되어야 하기 때문.

- 대학진학에 적합한 사람과 아닌 사람의 선별은 대학 진학이 높은 사회적 지위를 획득할 수 있는 길이 되기 땜누에 모든 사람의 관심이 되고, 경쟁도 치열해짐.

- 높은 경쟁 -> 우수한 인재를 선별할 수 있는 계기로 작용.


- 교육 기회에의 접근 access to educational opportunity 가 공정하면, 성취수준 차이에 따라 학력 수준이 달라지고, 학력 수준에 따라 사회적 지위의 수준이 달라지므로 교육 선발은 공정함.


- 파슨스의 주장은 학교에서의 선발 과정이 실제로 공정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처럼 보이게 만든다는 비판을 받음.


- 사실상 수많은 연구 및 조사 자료들이 상급학교 진학에 학생의 능력과 함께 가정배경이 강하게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밝히고 있음.

- 고소득, 높은 직업지위를 갖고 있는 사람의 자녀들이 대학 교육을 많이 받음.

- 학교의 성적도 가정 배경이 낮은 아동들보다 높은 아동들이 높게 받고 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