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연구들은 사람들이 우선적으로 주의와 관심을 기울이는 것에도 문화가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입증해왔음.
- 대부분의 연구는 마수다와 동료들의 연구에서 유래.
- 마수다 : 미국과 일본 대학생들에게 물고기가 헤엄치는 똑같은 동영상을 20초씩 두 번 보여줌.
- 장면을 본 직후 가능한 한 많은 대상들을 회상해보도록 요청.
- 이후 참가자들은 회상한 대상들이 장면에서 초점이 되는 주요 대상인지 아니면 배경 대상인지로 범주화함.
- 연구자들은 미국과 일본 대학생들 간에 장면의 초점 대상을 회상하는 것에 차이가 없으나 일본 대학생들이 배경 대상을 더 많이 기억했다는 사실을 발견.
- 마수다는 두 번째 과제에서 참가자들에게 자극을 보여줌. 그 자극이 원래의 물고기 장면에서 보았던 것인지 물어봄.
- 어떤 자극은 원래의 장면에 실제 있었던 것이고, 어떤 자극은 없었던 것이었음.
- 연구자들은 어떤 자극은 원래의 배경을 포함하고, 어떤 자극은 새로운 배경을 포함하며 어떤 자극은 배경이 전혀 없도록 하는 방식으로 배경도 변화시킴.
- 마수다는 일본 대학생들이 배경 변화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 발견.
- 일본인이 새로운 배경을 보거나 배경 없는 장면을 볼 때의 재인율은 원래의 배경을 볼 때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아졌음.
- 미국인들에게는 배경이 영향을 끼치지 않았음.
- 다른 연구에서 마수다는 미국인과 일본인 관찰자들에게 사람 집단의 그림을 보여줌.
- 이 그림에서 초점에 해당하는 중앙에 위치한 사람이 나머지 사람들의 정서와 일치하거나 불일치하는 정서를 표현하고 있었음.
- 관찰자들에게 초점 인물이 표현하고 있는 정서를 판단하도록 요청.
- 미국인들은 흔히 초점 인물이 표현하고 있는 정서를 보고.
- 일본인들은 나머지 사람들이 표현하고 있는 정서가 초점 인물의 정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 집단이 표현하고 있는 정서를 보고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많았음.
- 마수다는 일본인이 집단의 표현에 더 피암시적인 이유가 그것에 주의를 더 많이 기울이기 때문이고, 미국인들은 집단에 주의를 덜 기울이고 초점 인물에 초점에 맞춘다고 주장.
- 니스벳과 동료들은 이 차이가 환경의 차이로 인해 발생한 것이라 주장.
- 일본 환경은 미국 환경보다 더 모호하고, 더 많은 요소들을 포함.
- 미야모토, 니스벳, 마수다는 환경 특성에서의 차이가 지각 차이에서 일익을 담당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미국인에게 일본 환경 사진을 보여주고 일본인에게 미국 환경 사진을 보여줌.
- 이후 참가자들에게 문화 중립적인 장면 쌍을 보여주면서 두 장면 간의 차이점을 지적하도록 함.
- 그 결과, 미국인과 일본인 모두 일본 장면을 본 후 중립 장면에서 더 많은 맥락 탐지.
- 이 결과는 환경이 지각과 주의에서의 문화 차이에 기여한다는 사실을 시사.
- 일련의 연구는 문화가 총체적 지각 holistic perception 을 촉진시키는지, 분석적 지각 analytic perception 을 촉진시키는지에 있어 상이한 문화의 사람들이 차이를 보일 것이라는 흥미진진한 통찰로 이끌어감.
- 서구 문화 사람들은 현저한 대상(또는 인물)이 내포되어 있는 맥락과는 독립적으로 그 대상이나 인물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맥락 독립적이고 분석적이라는 지각처리를 하는 경향 존재.
- 동아시아 문화 사람들은 대상이 위치하는 맥락과 그 대상 간의 관계에 주의를 기울임으로써 맥락 의존적이고 총체적으로 지각 처리를 하느 ㄴ경향이 있음.
- 시아오, 코트렐 : 얼굴과 많은 특징을 공유하는 한자를 전문가 수준에서 처리하는 것에도 총체적 처리가 관찰되는지 여부를 살펴봄.
-> 중국어 문외한 (초보자)들은 중국어 사용자 (전문가)보다 한자를 더 총체적으로 지각.
- 중국어 사용자들은 한자의 성분들을 보다 잘 지각.
- 초보자들은 한자의 성분들이 명확히 분리되지 않았음.
- 총체적 처리는 보편적인 시각 전문성의 표지가 아님.
- 오히려 총체적 처리는 자극의 자질들과 그 자질들을 갖고 수행하는 과제에 달려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