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조 conformity
- 실제적 또는 상상적 집단 압력의 결과로 행동이나 신념의 변화.
순종 compliance
- 사적으로 동의하지 않으면서 공적으로 암시된 요청이나 분명한 요청과 일치하게 행동하는 것과 관련된 동조.
복종 obedience
- 직접적 명령에 따라 행동하는 것.
수용 acceptance
- 사회적 압력과 일치하게 행동하고 믿는 것과 관련된 동조.
- 서구 개인주의 문화에서는 동조의 압력에 굴복하는 것이 칭찬받지 못하는 것일 때, '동조'라는 단어는 부정적 함축을 가짐.
- 개인주의 문화를 반영하고 있는 북미와 유럽의 사회심리학자들은 사회적 영향에 '공감, 반응성, 협동적 팀활동' 과 같은 긍정적 용어보다는 '동조, 굴복, 순종' 등과 같은 부정적 명칭을 부여.
- 일본에서는 타인과 행동을 함께 하는 것이 단점이 아니라 관용, 자기통제 및 성숙의 표시.
- 도덕적이라는 것은 서양인들이 자신들의 가치와 판단을 미화하기 위해 명칭을 선택한 것임.
- 그렇므로 이런 동조, 순종, 복종, 수용이라는 명칭의 의미를 분명히 해볼 필요가 있음.
- 동조는 단순히 다른 사람들의 행동을 따라하는 것이 아님.
- 동조란 다른 사람들의 행동에 영향을 받는 것.
- 사람들이 홀로 행동할 때와 다르게 행동하는 것이 동조.
- 동조는 다른 사람들을 따라 행동이나 신념에서 생기는 변화.
- 대중의 일부로서 승리 골에 환호하기 위해 일어난다면, 수백만의 다른 사람들을 따라 우유나 커피를 마신다면, 모든 사람들이 여성은 긴 머리가 짧은 머리보다 더 좋다는 것에 동의한다면 동조라 할 수 있는가? -> 동조일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음.
- 핵심은 자신의 행동과 신념이 집단의 그것과 일치하느냐의 여부.
- 여러 가지 동조의 변형이 존재.
- 때로 사람들은 자신의 행동에 대해 실제적 확신이 없어도 어떤 기대나 요청에 동조함.
- 예를 들어 사람들은 싫어도 출근을 위해 넥타이를 매고 양복으로 갈아입음 -> 이러한 피상적인 동조는 순종이라 함.
- 사람들은 주로 상을 받거나 처벌을 피하기 위해 동조함.
- 만약 우리 자신의 순종이 명백한 명령에 따른 것이라면, 이것은 복종임.
- 때로 사람들 개개인들은 집단이 자신에게 요구하는 행동이 정말로 옳은 것이라 믿음.
- 많은 사람들이 우유가 영양가가 높다고 확신하기 때문에 우유를 마심.
- 이와 같이 진정어린 내면적 동조는 수용임.
예)
01. 입기 싫지만 회사에서 정장을 권장하기 때문에 출근할 때 정장을 입음 -> 순종
02. 정장을 안 입으면 복장 위반으로 처벌이 내려지기 때문에 정장을 입음 -> 복종
03. 공적인 자리에서는 옷도 격식을 차려 입어야 한다고 믿기 때문에 정장을 입음 -> 수용
- 심지어 순종과 수용의 신경과학적 차이도 존재함.
- 공적 순종의 기초가 되는 보다 단기적으로 존재하는 기억은 보다 장기적인 사적 수용의 기초가 되는 기억과는 다른 신경학적 기초가 존재.
- 태도는 행동을 추종함.
- 사람들은 자신의 행동에 책임이 없다고 느끼지만 않는다면, 대개 지지했던 것에 공감하게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