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질적 연구 방법 - 내러티브 연구 글쓰기 구조


전반적인 수사적 구조


- 내러티브 연구자는 형식을 실험하면서 내러티브 연구를 기록하도록 사람들을 격려.

- 연구자들은 읽을 거리 (회고록, 소설 등)에서 자신이 선호하는 것을 가장 우선적으로 찾고, 내러티브 연구를 결론 없는 저술, 과정으로 바라보며, 다른 내러티브 논문이나 책을 읽으며 자신들의 내러티브 형식을 만들 수 있음.


01. 연대기적 내러티브를 보여 주기.


02. 개요, 문헌검토, 방법론 이후 참여자와 함께한 저자의 경험을 이야기하는 구성.


03. 3차원적 탐구 공간 반영 ->  회고와 전망을 하고, 내면과 외부를 살피고, 경험을 장소 안에 두는 텍스트.


삽입된 수사적 구조


- 거대 서술구조는 실험성과 융통성을 견지한다는 것을 가정할 때, 더 미시적인 수준의 서술구조는 저자가 내러티브 연구를 구성하며 사용하게 되는 서술 전략의 여러 요소와 관련됨.


01. 내러티브를 서술하는 것은 어떤 목소리를 침묵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것보다 특정 목소리에 대해 더 많은 공간을 제공하는 것.


02. 전기 저자가 참여자의 삶에 있어 핵심 사건을 중심으로 사건의 전후 시기를 작업하는 순행-역행 방법 progressive-regressive method 와 같이, 서술에는 공간적 요소가 존재할 수 있음. 또한 연구의 견고한 현장에 대해 큰 맥락을 기술하고 다시 미세한 것을 살피는 것과 같은 '줌 인', '줌 아웃'도 있을 수 있음.


03. 글쓰기는 사람들의 삶을 특징짓는 경험과 상호작용적인 순간으로 정의되는 '핵심 사건'이나 '발현' epiphany 을 강조. 이는 네 가지 유형으로 구분 가능.

-> 01. 개인의 인생구조와 관련된 주요 사건

-> 02. 누적적이거나 대표적인 사건과 오랫동안 지속되는 경험

-> 03. 개인의 인생에서 한순간을 대표하는 사소한 발현

-> 04. 경험을 완화시키는 것을 포함한 에피소드나 완화된 발현


04. 주제는 내러티브 서술에서 보고될 수 있음.

- 기록된 인생의 발달을 이끄는 주제를 발견할 것. 연구자는 종종 부수적인 주제와 중요한 주제를 구분하는 것에 어려움을 겪기도 하나, 이 주제는 사전 지식이나 전 생애에 대한 검토를 통해 획득됨.

- 연구자는 주제 안에서 공통의 줄거리나 참여자들의 의견과 다른 요소를 찾아내는 '아래로 줄여나가는 것'으로 구성된 접근 - 즉 범위를 축소함으로써 서술연구 텍스트를 참조.


05. 다른 삽입된 수사적 장치에는 전기 저자가 탁월한 능력을 발휘하는 전환사용 포함.

- 저자들은 단어나 구, 질문을 통해 내러티브를 삽입하고, 앞뒤로 행동을 옮기는 시간과 공간의 변화도 삽입.

- 전환에 덧붙여, 전기 저자들은 예시를 사용하기도 하는데, 다가올 일이나 사건들에 대한 서술적 힌트를 빈번히 사용하거나 나중에 전개될 주제를 보여주는 것.


06. 내러티브 연구자들은 은유 사용.


반응형

Posted by 좀좀이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