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촌락은 아동 문학 작품에서 인기 있는 공간적 배경.
- 고전 작품에서 현대 작품에 이르기까지 아동 문학 작품은 촌락의 목가적인 성격을 묘사함과 더불어 촌락이 유년층으로 하여금 평화롭게 전원의 삶을 누릴 수 있는 곳으로 그려옴.
- 이런 작품들에서 촌락은 흥미, 모험, 자유를 누릴 수 있는 장소이자 위험이 없는 안전한 곳으로 재현됨.
- 이런 문학적 재현은 촌락의 유년층에 대한 대중들의 생각에 영향을 주는 강력한 문화적 담론을 형성.
- 촌락이 아이들을 키우기에 안전한 장소라는 생각은 촌락으로 이주하게 되는 주요 이유로 제시되며, '안전함'이 촌락에서 유년기를 보낸 성인들의 내러티브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요소.
- 아동들이 촌락에서의 삶에 대해 직접 기술한 바에서도 이와 같은 믿음이 반영되는 경향이 있음.
- '안전함'이란 여러 가지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짐.
- 그 의미는 자동차로부터의 안전, 도시 공간과 관련이 있는 환경적 위험으로부터의 안전, 범죄의 위험으로부터의 안전을 포함.
- 또한 바람직하지 않은 문화적 영향력으로부터의 안전도 포함 - 명품 운동복을 입어야 한다는 압력도 없고, 최신 비디오 게임을 해야 할 필요도 없다.
- 촌락이 아이들에게 안전한 장소로 지각되는 것은 부모들이 자녀가 가고 싶은 곳에 가도록 허락할 수 있는 자율성의 정도를 지리적으로 표현한 것.
- 따라서 촌락 아동들에 대한 지리적 특성은 다수의 모순적인 주장을 담고 있는 이중성을 보임.
- 한편으로 촌락은 아동들의 자유와 독립성을 보장하는 공간이나, 이는 성인들의 규제가 이루어지는 틀 속에서만 가능.
- 또 한편 촌락은 의존성의 공간으로 아동들이 이동하기 위해서는 부모에게 의존해야만 하나, 통학 같은 공간에서의 이동은 교류와 정체성 형성을 위한 독립적 장소를 형성시킴.
자유와 규제의 공간
- 문학 작품 속에서 목가적인 전원과 함께 한 유년기를 묘사한 것과 대중들이 촌락에 대해 상상한 바에는 촌락 공간을 마음대로 다닐 수 있는 자유가 내포되어 있음.
- 존스 : 아동들이 공간적 범위가 좁은 곳에서도 촌락 경관의 자연적, 인공적 특징들을 자신들의 놀이에 이용함을 관찰.
- 촌락 아이들은 어른들의 감시를 받지 않는 공간을 찾아 정원의 울타리에서부터 사유지에 함부로 들어가면 안 된다는 원칙에 이르기까지, 물리적-은유적 경계를 잘 알게 됨.
- 이따금 어른들이 촌락에 만들어놓은 공간적 질서를 어기는 것도 포함.
- 워드 : 경작지와 숲에 울타리를 치는 것과 주거지와 공업 단지가 증가하는 것을 비롯해 촌락 공간에서 아동들의 이동성을 제한하는 과도한 질서와 규칙을 만드는 것에 대해 애석해함. 그는 모든 곳을 말끔하게 정돈해야 하며, 모든 잡초를 제거하고, 모든 곳을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곳으로 바꾸어야 한다는 행정 기관의 생각에 촌락 어린이가 희생당한다고 주장.
- 그러므로 어린이들은 자신들에 대해 이야기한 내용에는 어른들 - 즉 어린이들이 돌아다니는 것을 성가신 것이나 문화적 위협으로 여기는 토지 소유주와 주민들에 대항한 것도 종종 포함되어 있음.
- 어린이들이 촌락에서 공간을 이용하는 것은 부모들이 갈 수 있는 곳을 정한 규칙에 영향을 받음.
- 부모들이 좋은 삶이라 생가하는 바가 실제 마을의 물리적인 실체를 넘어선 것으로서 촌락 어린이들이 동반자 없이 다닐 수 있는 실제 거리는 도시 어린이들보다 상당히 짧을 가능성 존재.
- 실제로 다른 마을에서 통학하는 아이들의 경우, 통학에 소요되는 오랜 시간, 그리고 저녁, 주말, 휴일에 운영되는 공동육아 협동조합에 의해 더 많은 규제가 만들어짐.
촌락에서의 보육
- 촌락에서의 전통적인 젠더에 대한 담론은 가정에서 여성의 역할과 가족의 중요성을 육아의 틀로 제한.
- 그러나 여성들이 촌락의 노동 시장에서 일자리를 얻고, 촌락 인구가 재구조화되면서 확대 가족과 이웃에 의존해 이루어진 육아 네트워크 분절.
- 그로 인해 더 많은 공동육아협동조합에 대한 수요 창출.
- 촌락의 부모들은 도시 부모들보다 비공식적인 공동육아모임에 의존하는 경향이 높음.
- 또한 촌락에서는 적절한 보육 서비스를 받기 위해 상당한 거리를 이동해야함.
- 보육의 유형은 아동들의 놀이를 하는 방식에도 영향을 끼침.
- 교외의 클럽들이 다른 아이들을 만나 놀고, 촌락 공동체가 아닌 곳에서는 제공 받을 수 없는 놀이 기회를 제공해주는 장소.
- 일부 사례에서는 목초지에 들어가볼 수 있고 농장을 방문할 수 있는 거처럼 촌락 환경을 접할 수 있는 명백한 활동들도 포함.
- 그러므로 어린이들이 '목가적인 촌락의 보육'을 경험할 수 있는 것은 자신들의 비구조화된 놀이에 의해서라기보다는 통제되고 감독된 활동에 의해서임.
의존의 장소
- 목가적인 촌락에서 유년기를 보낸다는 믿음은 촌락 어린이들의 거주지가 공간적으로 집중되어 있음을 가정.
- 그러나 촌락 학교가 폐교되고, 촌락 서비스가 감소하며 쇼핑과 레저를 즐기는 패턴이 변화되면서 촌락 아동들의 사회적 공간은 확대되어 왔음.
- 촌락 아동들이 학교에서 사귀는 친구들은 서로 다른 마을에 거주.
- 자녀가 장거리를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하는 것을 부모들이 꺼리는 것과 동시에 촌락 아동들은 친구들을 만나고 싶어하고, 상점, 유스클럽, 영화관과 같은 곳을 가고 싶어하므로 부모들과 자동차로 이동하는 경우가 증가중.
- 부모에 의존해 이동하는 것은 촌락 지역에서 대중교통 서비스가 제한되어 있음을 반영.
- 아동들과 청소년들이 독립적으로 대중교통 수단을 독립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곳에서는 버스와 기차가 사회적인 교류의 중요한 장소가 될 수있음.
- 촌락의 청소년들이 주변의 읍으로 가고 싶어하는 것은 부분적으로는 부모와 이웃의 시선으로부터 벗어나 시간을 보낼 공간을 찾기 위한 곳.
- 인접한 읍들이 교육과 여가 활동의 장소이기 때문에 촌락에서 청소년들이 진정 얼마나 성장하는지 의문을 가질 필요 존재.
- 성장하면서 독립적으로 이동하려는 욕구로 인해 청소년들은 운전면허를 취득할 수 있는 연령에 이르자마자 운전을 배우고 자신의 차를 마련하게 될 것이라 기대.
- 운전면허 취득과 자동차 구입은 모두 비용이 드는 일.
- 일반적으로 교통비는 촌락에서 아이를 키우는 데 도움이 되는 요소의 하나이며, 그로 인해 촌락 공동체에서 사회적 양극화 발생.
- 클럽이나 단체에 가입하고 방과 후 활동을 위해 지불하는 비용 역시 이동을 제한하는 요인이 되며, 저소득 가구의 자녀들은 다른 소득 계층의 촌락 아동들과는 매우 다른 유년기 경험.
- 더구나 이와 같은 차이는 도시에서 더 가시적이고 현저할 수 있음. 왜냐하면 촌락에서는 사회적 집단에 대한 공간적 분리의 정도가 낮기 때문이며, 그로 인해 촌락 아동들은 다양한 사회적 배경을 가진 친구들을 사귈 수 있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