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촌락지리학

촌락지리학 - 젠더와 촌락, 여성과 시골

좀좀이 2018. 3. 28. 05:51
728x90

촌락지리학 - 젠더와 촌락, 여성과 시골


- 주류 촌락 연구에서 주변화된 가장 규모가 큰 '타지화된' 집단은 여성.

- 실제로 전통적인 촌락 연구에서 여성에 대해 관심을 기울인 것은 농가에 대한 소수의 사회학적 연구였음.

- 이와 같은 연구에서 여성의 삶은 가사 일이나 육아를 수행하는 것과 같은 선입견에 의해 정해진 보조적 역할이나 부차적인 경제 활동을 통해서만 드러났음.

- 촌락의 여성들에 대한 수많은 미디어의 재현에서 이와 같은 젠더 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이 지속되었음.

- 촌락의 가족은 개인 - 즉 남성중심적으로 정의된 농민 또는 가장에 의해 대표되고 접근이 가능한 유기적 실재로 다루어져 왔으며, 이는 촌락의 삶에 대한 학문적 설명에서 여성들이 드러나지 않도록 만들었음.


- 인문지리학과 사회과학 분야에서 페미니즘 이론이 일반화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촌락 연구에서 이 이론을 적용시키는 것에는 제한적이었음.

- 페미니즘 관점은 촌락 여성, 노동 시장, 공동체의 삶, 환경 보호를 위한 행동주의에 적용되었으나, 일종의 '탈주자의 연구'로 유지됨.

- 그러나 이와 같은 연구들은 젠더를 촌락의 변화에 대한 분석에 포함시킬 필요성을 보여줌.


- 촌락의 재구조화와 관련된 이해관계는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젠더 관계를 재구성함.

- 젠더 관계의 재구성은 특정 지역에서 서로 다른 방식으로 여성에게 권력을 부여하거나 빼앗는 것이었음.

- 촌락에서의 젠더 관계는 특히 계층, 인종, 민족성에 대한 사회적 권력 관계의 다른 축들과 상호작용함으로써 복잡해짐.


- 리틀, 오스틴 : 잉글랜드 남서부의 이스트 하프트리 마을을 사례로 촌락의 목가적 성격이 여성들의 일상생활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살펴봄.

- 이들은 특히 촌락의 전원성에 있어서 '커뮤니티'와 '가족'에 대한 중요성에 초점을 맞춤.

- 커뮤니티에 대한 느낌은 촌락에서 여성들에 의해 강하게 표현되었으나, 커뮤니티를 유지하고 기능하는 것에서는 여성들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냄.

- 촌락의 수많은 조직들을 여자들이 운영했으나, 전적으로 여자들만 운영한 것은 아님.

- 가족을 돌보는 데 촌락이 '훨씬 더 좋은' 환경이라는 믿음은 아이들을 돌보고, 아이들을 이동 및 통학시키는 일이 특히 전일제 취업여성들에게 어려움을 초래했음에도 불구하고 모든 여성들이 공통적으로 언급하는 것.

- 촌락에서 많은 여성들이 전업주부가 되며, 일부 여성들은 촌락에서 그들의 삶과 정체성이 어머니의 역할로 고정됨.

- 촌락에서 아이가 없는 여성들은 공동체 화동으로부터 배제되고 있다고 느낌.

- 촌락에서 여성은 아이가 없으면 고립된 느낌을 받게 됨. 모든 것이 아이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아이들이 정당한 존재감을 주기 때문.

- 리틀과 오스틴은 촌락의 목가적인 측면들이 커뮤니티 내에서 모성애와 여성들의 중심성을 포함해 전통적인 젠더 관계와 역할을 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주장.

- 리틀과 오스틴은 여성들이 촌락의 생활방식에서 가장 가치있다고 평가하는 것들은 전통적인 역할이 아닌 부분을 선택할 수 있는 기회가 거의 없는 측면들인 것 같다고 결론 내림.


- 리틀과 오스틴의 연구는 촌락 사이에서 젠더 차이의 구조적 측면에 초점을 둔 연구로부터 젠더 정체성과 촌락적 특성이 어떻게 서로 상호작용하여 형성되는지에 대한 연구로 전환되엇음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중요.

- 이렇게 변화된 연구 주제는 젠더와 촌락에 대한 연구가 1990년대 중반 이후 증가하면서 훨씬 중요해짐.

- 촌락 연구 분야에서 젠더를 다룬 연구들을 살펴보면 젠더 연구가 증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촌락 자체가 젠더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갖도록 고무시키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음.

- 이는 성적 정체성에 대한 연구, 그리고 젠더 정체성과 신체의 관계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촌락의 장소 및 문화와 연관된 의미들이 새로운 통찰력을 제공하기 때문.

- 다양한 범위의 촌락 연구 주제 내에서 젠더의 측면을 고려하는 것은 매우 유용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