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촌락지리학

촌락지리학 - 상향식 농어촌 재생 및 소도시 재생

좀좀이 2018. 3. 25. 15:24
728x90

촌락지리학 - 상향식 농어촌 재생 및 소도시 재생


- 촌락 개발이 상향식으로 전환되면 촌락 개발의 관리 방식과 개발 내용이 바뀜.

- 국가 주도의 하향식 관리와 대조적으로 상향식 촌락 개발은 지방 공동체가 스스로 주도.

- 공동체는 그들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를 평가하고, 적절한 해결책을 모색하고, 재생계획을 디자인하고 실행하도록 권장됨.

- 그들은 보통 프로젝트에 사용할 공공기금을 신청 -> 이를 위해 때로는 경쟁하고 때로는 파트너십을 취하며 협력.

- 국가의 역할은 촌락 개발의 공급자에서 촌락 재생의 촉진자로 바뀜.


- 촌락 개발의 유형과 중점도 변화.

- 대부분의 경우 외부 투자 유치를 더 이상 강조하지 않음.

- 오히려 지방의 자생적인 자원을 개발하거나 향상시키는 내생적 발전 endogenous development 가 중시되고 있음.

- 프로젝트의 목표도 경제 개발이 아니라 공동체 개발로, 경제 재생이 가능하도록 공동체 스스로의 능력을 구축하는 것.

- 공동체 개발은 촌락 개발의 필수요소로 여겨짐.

- 이는 공동체가 국가에 의존하지 않고 재생에 책임을 질 수 있도록, 나아가 경제적 개발이 촌락 내부에서 사회적 양극화를 초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

- 상향식 접근은 촌락 개발 전문가와 더불어 신자유주의적 성향을 지닌 정치인의 지지도 얻고 있음.

- 촌락 개발 전문가는 지방 공동체에 권한을 이양하고, 지방의 수요와 환경에 적합한 재생 전략을 수립하고자 상향식 접근을 지지.

- 신자유주의 정치가는 국가의 재구조화를 요구하며, 대대적인 '국가 역할의 축소'에 발맞추어 상향식 접근을 통해 촌락 개발의 책임을 국가에서 시민으로 전가시킴으로써, 촌락 개발에 대한 국가의 지출을 줄이고자 함.


음식 관광과 농산물 직거래 장터


- 내생적 촌락 개발에서 공통적인 주제는 기존의 촌락 경관과 환경, 생산품에 '가치를 더하는' 것.

- 한 가지 방안은 관광객을 끌어들이기 위해 지방의 전통과 유산을 강조하면서 촌락의 지역성을 '재포장'하는 것.

- 다른 방안으로는 농업에 새롭게 접근해서 농업의 근대화가 아니라 전통적인 식품을 강조하거나 직거랠르 통해 경제 개발을 진흥하는 방안도 있음.

- 지방의 먹을거리는 촌락 관광에서 중요한 요소가 됨.

- 원산지 표시제나 촌락개발기금이 지워하는 마케팅 계획 등을 이용해 특별한 먹을거리를 만들어 냄으로써, 스스로를 시장화해 관광객에게 제공.

- 게다가 지방 음식의 생산 장소인 농장이나 목장, 치즈공방, 포도밭, 맥주 공장 등을 관광 매력지로 제공하면서 이차적인 수입을 올림.


- 농산물 직거래 장터는 점차 내생적 촌락 개발에서 흔히 등장하는 요소가 됨.

- 직거래 장터는 세 가지 차원에서 촌락 재생에 기여.

01. 직거래 장터는 음식 관광 활성화에 기여.

02. 지방의 소규모 식품 가공업에 기여.

03. 도매상과 소매상에게 지불해야 하는 수수료를 제거함으로써 농부의 수입 증대.

- 직거래 장터는 로컬리즘, 좋은 품질, 진정성, 공동체 등의 사고에 호소.

- 따라서 직거래 장터는 슈퍼마켓이나 글로벌 농식물 기업의 독점에 도전하는 '대안적 공간'이자 촌락의 전원성이라는 개념을 대변하는 '반동적 또는 향수적 공간'으로 독해될 수 있음.

- 그러나 직거래 시장의 성공에 대해서 세 가지 경고가 존재.

01. 시장 가판대의 총매상은 매월 변동이 심함.

02. 직거래 장터에서는 특정 상품에 대한 선호도가 큼.

03. 직거래 장터는 공간적으로 집중되어 분포해 있음.

- 직거래 장터 사례를 통해 상향식 촌락 재생에서 아이디어의 확산은 중요하나, 내생적 발전이란 지역의 문제에 적합한 해결책을 찾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동일한 전략이 다른 모든 곳에서도 유효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음.


소도시 재생


- 소도시 재생은 촌락 개발에서 특별하고 중요한 도전.

- 소도시는 촌락 경제에 있어서 핵심적인 거점.

- 역사적으로 소도시는 촌락 지구에게 서비스를 공급하는 센터로서의 역할을 해왔음.

- 최근 촌락의 노동 시장이 토지 기반에서 제조업 및 서비스 부문으로 전환되면서 소도시는 촌락 노동력의 주요 고용지가 되었음.

- 또한 소도시는 인구 성장과 새로운 주택 개발이 이루어지는 장소이고, 시골에서 사회적 투자 - 교육, 보건 등 공공 서비스 및 예술과 문화시설, 이벤트 등이 이루어지는 장소.

- 그러나 많은 소도시도 경제적으로 상당한 어려움을 겪는 중.

- 제조업 공장이 문을 닫고 전통 산업도 쇠퇴하면서, 일부 소도시는 인근 촌락보다 더 많은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음.

- 소도시의 상점과 서비스도 교외 상업 중심지나 대도시와의 경쟁이 심화되면서 축소.

- 이러한 이유로 소도시 재생의 필요성이 인정되고 있으며, 소도시가 재생되면 더 넓은 촌락 지역의 경제가 활성화되는 트리클 아웃 trickle-out 효과가 나타날 거라 여겨지고 있음.


- 소도시의 성공적인 재생 전략은 지역 자원과 외부 지원의 적절한 결합으로 달성됨.

- 소도시 재생 프로젝트 성공을 위한 핵심 요소 : 타이밍, 지역 사회 계획 기법의 활용, 열정적인 지역 리더십, 도시의 미래에 대한 긍정적인 믿음, 지역 사업가, 기꺼이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지역 주민, 새로운 아이디어를 활동적으로 지지하는 새로운 커뮤니티 네트워크, 지역의 젊은이 등

- 대부분의 사례에서 소도시 재생 계획의 핵심은 건조환경의 쇄신 또는 혁신에 놓여 있음.


- 미국 내셔널 메인 스트리트 프로그램

- 1979-1989년동안 200개가 넘는 소도시의 재생 지원.

- 650여개의 외관 개선사업과 600여개의 정비사업 포함.

- 고용된 프로젝트 매니저를 통해 운영.

- 매니저는 마을의 이해당사자인 상인, 은행, 시민단체, 지방정부, 미디어, 주민과 함께 작업.

- 프로그램은 세 가지 차원으로 실행.

01. 도심 지역 다각화 -> 유휴 상태인 상층부를 주거용 숙박시설과 오피스로 전환하거나 새로운 상점을 모집하는 전략이 도모됨.

02. 주요 거리 - 특히 역사적 건물의 물리적 개선 -> 이 사업은 신축 건물에 디자인을 적용하는 정책과 함께 진행.

03. 소도시 중심부가 쇼핑, 일, 새왈의 중심이 되게끔 진흥하는 활동 -> 이러한 활동은 특정 도심 로고가 그려진 쇼핑 가방의 배포부터 도심 비즈니스에 대한 안내책자 출판 또는 공예 축제, 직거래 장터, 노상할인판매 등의 이벤트 후원까지 매우 다양.


상향식 촌락 개발의 과제


- 상향식 내생적 개발은 촌락 경제의 문제를 다룰 때 유행하는 접근이 되었으나 여전히 과제는 남아 있음.

- 상향식 개발에는 지역 주민의 다양한 이해를 조정하고 대변하면서 계획을 주도하는 '핵심집단'이 존재 -> 핵심 집단이 공동체 전체의 이해를 대표하지는 않음.

- 책임과 권력의 문제, 실행에 참여하는 '공동체'의 이질성 문제.


- 촌락 개발의 책임을 국가에서 지역 공동체로 이양하는 것이 지역 재생의 불평등 지리를 심화시키는 징후도 나타남. 일부 공동체가 다른 공동체보다 프로젝트를 더 잘 착수하거나 정부 펀드를 더 잘 획득하기 때문.

- 게다가 어떤 공동체는 이미 전통적인 경제활동이 쇠퇴했거나 사라져서 아예 재생이 불가능하게 된 곳도 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