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촌락지리학

촌락지리학 - 생산주의 농업과 농장 위기

좀좀이 2018. 2. 25. 17:34
728x90

촌락지리학 - 생산주의 농업과 농장 위기


생산주의 농업


- 생산주의 : 1940년대부터 1980년대 중반까지 농업의 지배적인 정책 경향. 핵심 목표는 농업 생산 증가. 이는 농장에서 농화학물, 기계화, 전문화 도입을 포함하는 농업의 집약화와 산업화를 수반.

- 2차 세계대전 이후 생산주의 농업의 등장은 집약화, 집중화, 전문화의 세 가지 구조적 측면으로 특징지어짐.

01. 집약화 intensification

- 농업의 상당한 자본화를 통해 높은 생산성 추구.

- 기계류와 농업 기반에의 투자, 농화학과 기타 생명 기술의 사용 증가.

- 선진국에서 제초제, 질소 비료 및 전체 무기질 배료 사용의 증가.

- 미국에서는 농기계의 급격한 진보에 따른 농업 변화가 발생.

02. 집중화 concentration

- 농장 규모를 크게 만들어 비용 효율성을 극대화하려는 목적.

- 선진국에서 평균 농장 규모가 크게 증가.

- 상품 사슬에서 집중화로 인한 효율성 향상.

- 농장은 정부 보증 기관 또는 식품 가공 기업과 소매업의 단일 구매자와 계약 체결.

03. 전문화 specialization

- 비용 효율성을 높이는 것에 도움을 줌.

- 특정 작물용으로 전문화된 고가의 기계에 투자하는 것은 계약 재배한 한 가지 작물을 한 구입자에게 판매하는 능력처럼 다양성 억제.

- 그러므로 특정 농산물의 생산은 소수의 거대 농장에 집중.

- 전문화는 다른 방식으로도 나타남.

- 농업 종사자의 재구조화, 한 고용주와 계약을 한 일반 노동자는 여러 농부의 몫을 담당하는 전문화된 농업 계약자로 대체.


- 농업 활동과 조직의 이러한 변화는 광범위한 촌락 경제, 사회, 환경에 다양한 영향을 미침.

01. 농토 규모가 증가하고, 나무 울타리가 제거되고, 초지가 경작되고 , 새로운 작물이 소개되며 경관에 물리적 영향을 끼침. 더욱이 심각한 환경적 결과로 오염, 토지 침식, 서식지 감소 등이 나타남.

02. 농업이 공동체로부터 사라지며 중요한 사회적 효과가 나타남. 기계화는 농업 노동의 감소로 이어졌고, 이로 인해 촌락 공동체의 취업 기회가 줄어듦. 농부들은 자신의 농산물을 지역 매장이나 시장을 통하기보다 식품 가공회사나 슈퍼마켓에 더 많이 팔기 시작하면서 농부들간 결속력 약화. 점점 더 많은 농토가 기업과 비거주 소유자 소유로 바뀜.

03. 전통적인 농업 지리의 변경은 공간적 영향을 미침. 농업 생산의 집중은 낙농과 과일 농업과 같은 생산 부문의 지역별 전문화로 나타났고, 다른 지역에서는 농업 전체의 균형이 정부의 보조금을 목표로 변경됨. 집약접이고 상업적인 농업이 확립된 지역이 나타났고, 이와 반대로 그다지 선호되지 않거나 압박을 받는 촌락 지역에서는 개별 농장들 스스로 세계화된 농업 시장에서 경쟁할 수 없다고 판단해 농업이 평균 이상의 비율로 감소.

04. 농업의 산업화는 개별 농부에서 상품 사슬의 다른 단계에 종사하는 기업으로 힘이 이동하며 정치적, 경제적 충격을 받음. 농업에서 기업의 증가는 생산주의, 자본주의 농업의 주요 특징. 기업적 토지 소유자는 점차 특정 생산 부문 (과일, 설탕 등)과 특정 지역에서 중요해짐. 다른 전문화된 기업은 토지 소유 고객을 대신해 계약 농사 사업자로 등장. 기업의 능력은 독립된 가족 농부들이 한정된 몇 개의 기업에 공급자, 구매자로 의존하며 가장 크게 성장. 반면, 농부들은 종자, 농화학품, 기계류 공급을 소수의 기업에 의존했고, 자신들의 생산물을 한정된 소수의 기업에 판매하는 의존을 보임. 이러한 종류의 수직적 통합은 자본 투자에 대한 수익을 극대화하고, 이를 위해 농부에게 지불하는 액수를 줄이는 것의 한 방법으로, 식품의 슈퍼마켓 가격 중 오직 적은 비율만이 생산자에게 돌아감.


농장 위기


- 농업의 생산주의 양식은 선진국의 촌락 경제, 사회, 환경에 심각하고 장기적인 영향을 끼침.

- 이 가운데 일부는 긍정적, 일부는 부정적이라고 판정할 수 있고, 일부는 의도한 목표였고, 다른 일부는 의도하지 않은 결과였음.

- 농업 생산량 증대를 가장 중요한 목적으로 보면 생산주의는 성공.

- 1961~1990 사이 선진국의 농업 생산은 62% 정도 증가.

- 오늘날 선진국 농산물은 시장에서 이윤을 위해 판매할 수 있는 양보다 많음.

- 과잉생산은 정부가 개입해 합의된 최소 가격으로 구매하는 가격 지원 방식으로 유지되어 왔음.

- 이 체계는 농부에게 안정된 소득을 보장하는 생산주의 정책의 핵심 요소이나, 과잉생산으로 사회 전체적으로는 재정적 부담을 안기기 시작.

- 1984년에 공동농업정책 CAP 은 유럽 공동체 전체 예산의 70%를 차지했고, 이 중 25%는 잉여 생산물의 저장에 사용됨.

- 과잉 생산의 압력을 줄이기 위한 시도로, 모든 주요 농업생산국들은 수출을 늘리며 새로운 시장을 찾기 시작.

- 그 결과 치열한 경쟁, 간헐적인 주요 경제공동체간의 무역 전쟁, 세계 상품 가격의 하락.

- 대규모 생산자는 효과적으로 경쟁할 수 있고, 정부 보조의 속성상 선호되어 이 기간 동안 재정적으로 이익을 얻었으나, 소규모 농부들은 가격 변동에 노출되고 국내 시장에의 수입품 증가로 취약해지며 농장 위기를 촉발.


- 미국에서는 과잉 생산의 문제가 가뭄, 이자율의 상승과 겹침.

- 신용은 농업 현대화의 촉매제였음. 특히 1960~1970년대에 농부들은 기계와 농장 개량에 투자하기 위해 돈을 빌리는 것이 권장되었고, 그 결과 미국의 농부 부채는 1970~1980년 사이 거의 2배가 됨.

- 이는 이자율이 낮게만 유지되고, 상품 가격이 안정되고 토지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한다면 지속 가능했음.

- 그러나 1980년대 전반 상품 가격의 붕괴는 재정 압력과 동시에 발생해 미국의 이자율을 2배로 올림.

- 그 후 10년간 20만~30만명에 달하는 미국 농부들이 채무 불이행이 되었고, 이들 중 다수는 아이오와, 미네소타, 위스콘신의 농장지대였음.

- 1986년 위기의 절정 때, 농부와 이들 가족 - 거의 100만명이 12개월 동안 농업에서 퇴출됨.

- 농장 위기는 근본적으로 미국 농업을 바꿈.

- 소규모 가녹농의 상업적 중요성 축소, 개인과 공동체에 심각한 개인적인 영향을 미침.

- 촌락 공동체에 스트레스와 자살률이 높아진 문제들이 관찰되었고, 정치적 소외 증가 -> 일부는 극단적 우익 민병대 지워을 부채질함.

- 농업 부문의 조정과 더불어 이자율의 축소는 결국 미국 농장 위기를 완화하는 것에 도움을 주었으나, 과잉 생산의 근본적 문제는 지속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