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관광지리학

관광지리학 - 관광과 도시재생, 장소 마케팅

좀좀이 2018. 1. 27. 17:20
728x90

관광지리학 - 관광과 도시재생, 장소 마케팅


- 역사적 대도시를 관광하는 일은 예전부터 있어왔던 일.

- 그러나 통계 자료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도시 관광의 규모와 중요성을 비교해서 연구하기는 어려우며, 한정된 자료에 의거해 국제적으로 유럽 도시에 대한 연구가 우위를 차지.

- 전통적으로 관광 현상은 매력 있는 역사 도시에 집중되었고, 1980년대까지 대도시와 산업 중심지에서는 그 중요성이 무시되었음.

- 그러나 그 이후 관광은 경제와 환경 개선에 중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인식이 개선됨.

- 국제적으로 도시 재생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관광의 역할에 대한 쟁점은 매우 중요함 -> 특히 영국 같은 국가는 관광을 통해 사상을 전파하거나 강한 정치적 함의를 담을 수 있다고 생각.

- 정치적, 환경적 재생의 견인차로 관광을 이용하려는 생각은 원래 북미에서 시작.

- 1970년대 후반, 미국의 많은 도시들이 도심지의 쇠퇴를 겪었고, 경제 기반도 약해졌음. 정치적, 경제적 주목을 받으며 사무용 건물 개발, 관광, 주택가의 고급화를 목표로 일련의 새 정책들이 수립되었고, 그 중에 과광이 도시 변화의 주요 동인이라는 인식이 생김.

- 도시 재생을 위해 관광이 선택된 이유는 관광이 일자리를 제공하는 성장 산업이자 환경의 변화를 주도할 수 있기 때문.

- 주드 Judd : 미국의 도시에서 물리적 기반 시설을 재개발한 것에 대해 '1950-1960년대의 대규모 도시 쇄신 사업계획에 의해, 규모 면에서 도심 경제와 토지 사용에 활기를 불어 넣을 수 있다'고 주장.

- 북미에서는 1976-1986년 사이 250여 개의 컨벤션 센터와 문화 예술 시설물이 건축됨. 회의 공간 또한 이 시기 급격히 확장. 이는 방문객이 매혹을 느끼는 도시는 직업 창출과 수입 증대를 얻을 수 있다는 전제하에 세워진 전략. 또한 관광 개발이 진행되면 새 시설물로 인해 도시 환경이 좋아지고, 지역 주민도 시설물의 혜택을 볼 수 있으며, 미래의 투자가는 그 도시에 더 좋은 인상을 받을 것으로 여겨졌음.


- 관광에 근거한 지역 개발 전략 사례 : 미국 볼티모어

- 1964년에 쇠락한 내부 항구 쇄신 계획에 자본을 투자.

- 전체 계획은 사람들이 해변으로 직접 찾아갈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첫 단계는 이 지역을 공유지로 조성.

- 첫 단계를 위해 도시 당국은 토지를 매입하고 버려진 땅을 정비해 수변 공원 조성.

- 1977년 세계무역센터, 1979년 컨벤션 센터, 1980년 하버플레이스 축제 쇼핑센터, 1984년~1987년 과학박물관과 호텔 12곳 오픈 -> 관광은 더 중요한 자원으로 인식됨.

- 볼티모어의 이런 개발로 인해 관광과 컨벤션 무역이 성공적으로 발달했고, 도심지 일부를 경제적, 환경적으로 개선하는 것도 성공함.

- 볼티모어의 방문객 숫자 및 방문객 지출 증가, 일자리 창출.

- 볼티모어 사례의 성공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음.

01. 볼티모어는 연방 정부 보조금을 지원받았고, 도시개발기금에서 미국의 다른 도시보다 더 많은 지원을 받음. ->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매우 중요한 사실.

02. 야심찬 장기 계획을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강하고 안정된 정치적 지도력의 존재.


- 새로운 형태의 도시 관광 개발 과정은 대체로 도시 마케팅의 출현과 함께 나타남.

- 1980년 이후, 후기 산업도시를 촉진시키는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의 중요성이 많은 연구에서 강조되고 있음.

- 워드 : 1970년대 말에 보스턴과 뉴욕 시가 제시한 초기 방법에 주목, '나는 뉴욕을 사랑한다' 캠페인이 도시 재생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주장. 당시 대부분의 도시가 마케팅 조직을 새로 만들었고, 방문객을 매혹할 캠페인을 개발하고자 했음.


- 브람웰, 로딩 Bramwell & Rawding : 이런 마케팅 노력의 목적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도시재생에 대한 자극, 경제-환경적 이익, 도시 이미지 개선과 관련 있는 공통 개념 강조.

- 마케팅 조직이 가장 중요한 목표로 보는 것이 무엇인지에 따라 위의 개념이 다양한 모습으로 바뀜.

- 코틀러가 명명한 '전략적 장소 마케팅'은 용어 자체는 모호하나, 지속적인 도시 개발 전략의 모습을 보여줌. 이러한 맥락에서 코르시코는 도시 마케팅이란 도시를 하나의 시장이나 상품, 또는 기업으로 다루는 은유적 표현이라 함.


- 관광을 도시 재생의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에 전념한다는 사실은 1989년 영국 관광청이 '도시에 비전을 Vision for Cities' 라는 5년 계획 캠페인을 시작한 것에서 재확인 됨.

- 이 캠페인은 도시 관광 개발을 위한 네 가지 주요 요소를 도입했고, 중앙정부의 '도시에 활력소를 Action for Cities' 프로그램과 연결되어 실행되었음.

- 공기업과 사기업 간 동반자 정신이 크게 강조 - 관청과 민간 기업 간 협력이 크게 강조됨.

- 이와 더불어 많은 관광 개발 실행 프로그램 Tourism Development Action Programmes : TDAPs 가 만들어짐 -> 관광개발 촉진을 목표로 하는 국가기구(관광위원회), 지방도시 행정 당국과 민간 부문 간 협력단체의 동반자 정신을 내세우는 것.

- 관광은 비주류 산업이라는 미신을 깨뜨림.

- 영국관광청 '도시에 비전을' 캠페인 주안점

01. 주요 공적, 사적 주제의 동반자 정신 고양

02. 이해와 동의를 통한 개발의 틀 마련

03. 합의된 틀 안에서 중요 개발프로젝트 추진

04. 환경과 기반시설 개선 문제가 조화를 이루며 실행 프로그램 착수

- 이 단계에서 정부 주도 사업들이 추구하는 것에 대한 분명한 청사진을 보여주려면 도시 재생을 위해 관광이 주는 이득을 강조해야 함.

- 도시 저소득 지역이 관광개발에서 얻을 수 있는 잠재적 이익은 세 가지.

01. 정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경제적 이득 - 특히 새로운 일자리 창출.

02. 도시 저소득 지역의 자연적, 환경적 개선.

-> '도시에 비전을'이라는 캠페인 홍보 자료는 관광 역할의 능동적 이미지를 만드는 것. 그 반면 자연적 관점에서 볼 때, 경관, 광장, 가두풍경, 수변 지역은 방문객을 위해 보전, 개방되어야 함. 그런 관점에서 보면 수많은 산업도시에서 지리학자들이 중앙관광지구라고 말하는 지역이 저소득층 주거지의 한 부분과 겹치는 것을 알 수 있음.

03. 관광 개발로 인해 지역 주민이 이용할 여가 시설을 개선하고 이용하기 쉽게 만들 수 있음.

-> 이러한 개발은 대부분 소매상점이나 여가시설과 새로운 호텔, 관광자원, 회의시설들을 통합시킴.


- 관광은 모든 정책 입안자에게 도시 재생의 주요 촉매제로 알려져왔음.

- 그러나 관광을 통해 높은 이상을 실현할 수 있을지는 불확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