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사회학

사회학 - 서양 선진 사회의 가족 변화 : 재혼, 재결합 가족

좀좀이 2017. 11. 16. 03:26
728x90

사회학 - 서양 선진 사회의 가족 변화 : 재혼, 재결합 가족


재혼


- 재혼은 다양한 이유로 발생.

- 20대 후반~40대 초반에 재혼하는 커플의 경우 초혼 때에 태어난 한두 명의 자녀를 재혼할 때 함께 데려오는 경우가 있음.

- 이보다 더 늦은 나이에 재혼하는 경우 성인 자녀들은 재혼 부모가 꾸민 새집에서 아예 함께 기거할 필요가 없을 수 있음.

- 또한 재혼 이후에 또 다시 새로운 자녀가 태어날 수 있음.

- 재혼 커플의 한쪽 배우자는 이전에는 독신, 이혼 상태 또는 홀아비, 미망인이었을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조합이 이론적으로 가능.

- 그러므로 몇 가지 일반적 요점은 지적할 만 하나, 재혼에 대한 일반화에는 상당한 주의를 기울여야 함.


- 이혼율 상승과 더불어 재혼율 역시 높아짐.

- 재혼 커플의 많은 비율은 이혼한 배우자들이 주도.

- 오늘날 서구 사회에서 적지 않은 수의 결혼에서 배우자 한 쪽이 기혼자로 구성됨.

- 35세가 될 때까지 대다수 재혼은 이혼 경력자들에 의해 주도.

- 35세를 지나가면 배우자 사별로 인한 재혼율 증가.

- 55세경이 되면 그러한 재혼율은 이혼으로 인한 재혼율보다 더 많아짐.


- 남녀 불문하고 결혼할 기회를 극대화하는 최선의 방법은 이전에 이미 결혼을 해 버리는 것에 있음.

- 과거에 이미 결혼 또는 이혼 경력이 있는 사람들의 경우 같은 연령대에 있으나 초혼조차 해본 적이 없는 미혼의 독신자들보다 결혼할 확률이 높음.

- 전체 연령대에 걸쳐, 이혼남이 이혼녀보다 재혼 가능성 높음.

- 통계 수치로 보면 재혼 실패율은 초혼 실패율보다 높게 나옴 -> 두 번째 결혼이 파경으로 끝나는 비율이 초혼 때보다 높기 때문.

- 그러나 이 현실이 두 번째 결혼은 파경으로 끝나도록 운명지어진 것이라 해석해서는 안 됨.

- 이혼한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결혼에 더 높은 기대치를 가질 수 있음. 따라서 초혼 상태에 있는 사람들보다 재혼은 더 쉽게 해체 가능.

- 재혼 생활을 지속한다는 사실은 평균적으로 초혼보다 더 만족감을 주고 있다고 말할 수 있음.


재결합 가족 reconstituted family


- 이전 결혼이나 동거 생활에서 태어난 자녀를 가진 성인들이 다시 만나 가족을 구성한 경우.

- 흔히 계부모 가족 step family 로 알려져 있음.

- 재결합 가족의 증가, 그리고 이러한 경우가 만들어내는 확대 가족의 기쁨과 이로운 점 존재.

- 그러나 동시에 몇 가지 어려움 역시 발생.

01. 결정적으로 미성년 자녀에게 아직도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생부 또는 생모가 그 어디엔가 존재하고 있다는 점.

02. 이혼해서 갈라섰으나 협동적 관계를 지속했던 과거의 부부들이 한쪽 또는 모두가 재혼할 경우 균형 관계가 깨짐.

03. 재결합 가족이란 상이한 배경을 지닌 자녀들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이들 중에는 가정에서의 적절한 행동에 대한 다른 기대치를 가지고 있을 수 있음. 대개의 계자녀들은 두 군데의 가구에 소속되기 때문에 습관이나 외형에서 발생할 충돌 가능성이 상당한 수준에 이름.


- 계부모와 계자녀간의 관계를 규정한 기존의 규범은 거의 존재하지 않음.

- 계자녀가 새롭게 맺어진 계부모를 애칭 이름으로 불러야 하는지, 아니면 '아빠', '엄마'로 호칭하느 것이 더 적절한지에 대한 지침은 없는 상황.

- 계부모는 생부모가 하듯 자녀 양육을 엄격히 통제해야 할지, 계부모가 아이들을 만날 때 전 배우자의 새 파트너를 어떻게 대처해야 할 지도 의문.


- 재결합 가족은 아주 최근 현대 서구 사회에 등장한 친인척 관계로, 새로운 정립이 요구되는 가족 형태.

- 이혼 후 재혼에 의해 제기도니 어려움 역시 새로운 현상.

- 이들 가족원은 스스로 생각하기에 이는 비교적 규격화되지 않은 상황 속에서 적응 방법을 나름대로 모색하고 개발 중.

- 오늘날 학자들 중에는 이원 핵가족 binuclear family 를 언급하는데, 이는 이혼 후에도 지속되는 자녀들과의 연결 고리 때문에 두 가구가 여전히 하나의 가족 제도를 구성한 경우를 지칭하는 용례로 사용중.


- 결호닝 이혼으로 해체되더라도 대체로 가족은 해체되지 않음.

- 특히 미성년 자녀가 개입된 경우, 재혼으로 재결합 가족이 결성되더라도 이전의 여러 인간 관계는 지속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