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질적연구방법

질적 연구 방법 - 내러티브 연구 : 정의, 연구 유형, 연구 절차

좀좀이 2017. 10. 1. 04:41
728x90

질적 연구 방법 - 내러티브 연구 : 정의, 연구 유형, 연구 절차


- 내러티브 연구 Narrative Research 는 많은 형식을 갖고 있음.

- 문학, 역사학, 인류학, 사회학, 사회언어학, 교육학 등에 기원을 둠.

- 다양한 분석적 방법들을 사용.

- 상이한 사회과학과 인문과학 분야에 뿌리를 두고 있음.

- '내러티브'란 어떤 텍스트나 담론에 부여된 용어일 수도 있고, 개인들이 진술한 이야기에 특정하게 초점을 맞추면서 특정 질적 연구 접근의 맥락 안에서 사용되는 텍스트일 수도 있음.

- 내러티브는 방법일 수도 있고 연구하는 현상일 수도 있음.

- 방법으로서 내러티브 : 개인이 자신의 삶에 대해 말한 이야기들에 표현된 경험들을 갖고 시작.

- 내러티브는 연대기적으로 연결된 하나의 사건/행동 또는 일련의 사건/행동들에 대한 이야기들을 제공하느 음성 또는 문서 텍스트로 이해되는 질적 연구의 한 가지 구체적인 유형.

- 연구자는 참여자에 대한 광범위한 정보들을 수집해야 함.

- 연구자는 개인의 인생 맥락에 대해 분명히 이해해야 함.

- 인생이 다층적 맥락을 설명하는 '카펫 아래의 형상'을 드러내는 것이 중요.

- 연구 참여자와의 적극적 협력 필요.

- 연구자는 그들의 이야기를 '다시 이야기하는' 방법을 형성하는 자신의 개인적, 정치적 배경에 대해 반성하고, 연구참여자의 이야기를 논의해야 함.


내러티브 연구에서 고려해야 할 질문들

01. 누가 이야기를 가지고 있는가?

02. 누가 그것을 말할 수 있는가?

03. 누가 그것을 바꿀 수 있는가?

04. 누구의 이야기가 설득적인가?

05. 내러티브들이 경쟁할 때 어떤 일이 벌어지는가?

06. 하나의 공동체로써, 이야기는 우리들 사이에서 어떤 일을 하고 있는가?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절차

01. 한두 사람을 연구하는 것에 초점.

02. 그들의 이야기를 수집함으로써 자료 수집.

03. 개별적인 경험들들 보고.

04. 이러한 경험들의 의미를 연대기적으로 나열하거나 생애주기 단계를 사용하는 것으로 구성.


내러티브 연구의 유형


01. 저자들이 사용한 분석 전략을 갖고 내러티브 연구의 유형들을 구분하는 것.

- Polkinghome : 이야기 전반의 주제에 대한 기술이나 이야기의 유형에 대한 분류를 창출하기 위해 생각나는 패러다임을 사용하는 '내러티브에 대한 분석'과 연구자가 사건이나 사고에 대한 기술들을 수집하고 나서 구조를 활용해서 그것들을 하나의 이야기로 형성하는 '내러티브 분석'을 구분.

- Ghase : 연구자는 개인들이 어떻게 사회적 자원에 의해 힘을 갖게 되고 강제되며, 상호작용 수행에서 어떻게 사회적으로 위치를 갖게 되는지, 그리고 나레이터가 어떻게 해석을 전개시키는지와 같은 내러티브 연구를 위한 패러다임적 근거를 사용할 수도 있다고 제안.

02. 내러티브 연구 실천에서 발견되는 형식의 다양성을 강조하는 것.

- 전기 연구 biographical study : 연구자가 다른 사람의 인생 경험에 대해 기록하고 글을 쓰는 내러티브 연구의 한 유형.

- 자서전 Autobiography : 연구 대상인 개인들이 기록하고 저술.

- 생애사 life history : 사적인 경험 이야기가 단일한 또는 복합적인 에피소드나 사적인 상황들, 또는 공동체의 민속에서 발견되는 개인의 사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이자, 개인의 전체적인 인생을 그리는 것.

- 술사 oral history : 한 사람 또는 여러 사람으로부터 사건과 그것의 원인 및 영향에 대한 개인적인 반성들을 모으는 것으로 구성.


- 내러티브 연구는 교실에 있는 교사와 아동 또는 조직에 대해 진술된 이야기와 같은 구체적인 맥락적 초점을 가질 수도 있음.

- 내러티브는 이론적 렌즈나 관점에 의해 이끌릴 수도 있음.


내러티브 연구 절차


01. 연구 문제나 질문이 내러티브 연구에 가장 적합한지 결정.

- 내러티브 연구는 한 인생의 상세한 이야기나 생활 경험, 또는 소수 개인들의 생활을 포착하는 것에 적합.

02. 할 만한 이야기나 인생 경험을 갖고 있고, 많은 시간을 할애해서 복합적인 정보원들을 통해 자신의 이야기를 제시해줄 수 있는 한 명 이상의 사람들을 선택.

- 이야기는 '현장 텍스트'.

- 연구참여자들이 일지나 일기에 자신의 이야기를 기록할 수 있음.

- 연구자가 개인들을 관찰하거나 현장노트를 기록할 수 있음.

- 연구자는 사람들이 보낸 편지를 수집하거나 가족 구성원들로부터 그 개인에 대한 이야기를 조합하고, 개인에 대한 메모나 공식 서신과 같은 문서들을 수집하거나 사진, 보관함, 개인-가족-사회의 인공물들을 획득 가능.

- 이러한 원천들을 검토한 후, 연구자는 개인의 생활 경험을 기록.

03. 이러한 이야기들의 맥락에 대한 정보 수집.

- 내러티브 연구자는 개인의 이야기를 참여자들의 개인적 경험과 그들의 문화(인종 또는 민족), 그리고 그들의 역사적 맥락(시간 및 장소)에 놓음.

04. 연구참여자들의 이야기를 분석한 후, 그것들을 이해할 수 있는 틀로 '다시 이야기함.'

- 이야기 재구성 restorying : 이야기를 몇 가지 광범위한 유형의 틀로 제조직하는 과정.

- 이야기 재구성은 이야기를 수집하는 것, 그리고 시간, 장소, 구조, 장면 등 이야기의 주요 요소들로 분석하는 것, 그리고 연대기적 순서로 그것들을 배치하기 위해 이야기를 다시 쓰는 것등으로 구성.

- 종종 사람들은 자신의 이야기를 연대기적 순서대로 제시하지 않기 때문에 연구자는 이야기 재구성 과정 동안 아이디어들 간의 인과적 연결을 제공.

- Cortazzi : 연속성을 강조하는 내러티브 연구의 연대기는 내러티브를 다른 장르의 연구방법과 구분된다고 주장.

- 연대기의 한 측면은 이야기가 도입, 중반, 결말을 갖는다는 점. 이러한 측면에는 곤경, 갈등, 싸움, 주인공이나 주요 인물, 곤경이 몇 가지 방식으로 해결되는 함축적 인과성 - 즉 구조의 연쇄등이 포함됨.

- 연대기는 더 나아가 시간이 단선적 방향을 갖고 있다는 가정에 기반해서 과거, 현재, 미래의 아이디어로 구성 가능.

- 더 넓은 의미에서, 이야기는 시간, 장소, 장면처럼 소설에서 전형적으로 발견되는 다른 요소들 포함 가능.

- 이야기 구조나 줄거리도 세 가지 차원의 내러티브 탐구 공간 - 상호작용 (개인적, 사회적), 연속성 (과거, 현재, 미래), 상황 (장소)을 포함할 수 있음.

- 이 줄거리에는 연구참여자의 경험적 상황이나 맥락에 대한 정보들 포함 가능.

- 연대기를 넘어서, 연구자는 이야기의 의미에 대해 더욱 상세히 논의하기 위해 이야기로부터 나온 주제들을 자세하게 제시 가능.

- 질적 자료 분석은 그것에서 나타나는 이야기와주제 모두에 대한 기술이 될 수 있음.

- 후기근대주의 내러티브 저자들은 분석에 '이야기의 해체와 이분법을 노출하는 것, 침묵을 검토하는 것, 분열과 축소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 같은 분석 전략들에 의한 이야기의 변형과 같은 요소를 추가할 수도 있음.

05. 연구에 적극적으로 관여하도록 함으로써 연구참여자들과 협력.

- 연구자들이 이야기를 수집함에 따라, 그들은 관계를 협상하고, 번화를 부드럽게 하며, 연구참여자들에게 유용할 수 있는 방식들을 제공.

- 내러티브 연구에서는 양자가 만남을 통해 배우고 변화하게 되는 연구자와 피연구자 간의 관계가 핵심 주제로 바뀌어 왔음. 이 과정에서 당사자들은 분석에 대한 타당성 검증을 추가하면서, 이야기들의 의미 조정.

- 연구참여자의 이야기도 그 자신의 인생에 대한 통찰을 얻고 있는 연구자의 뒤섞인 이야기일 수 있음.

- 내부적인 이야기는 그 줄거리가 극적인 방향으로 바꾸게 되는 사건 epiphanies 또는 전환점일 수 있음.

- 내러티브 연구는 개인적, 사회적, 역사적 맥락에 놓인 그들 경험의 연대기를 털어놓고, 그 경험에서 중요한 주제를 포함하는 개인의 이야기를 전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