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관 패러다임의 전환
(전통적 도서관)인공조형물(도서, 잡지, 시청각자료 등) -> (미래도서관)문화적 자산의 탈재료화(dematerialization)
(전통적 도서관)서고지기로서의 사서 -> (미래도서관) 게이트 키퍼로서의 사서
(전통적 도서관)물리적 소장 -> (미래도서관)사이버 접근
(전통적 도서관)소장패러다임(Just-in-Time) -> (미래도서관)접근패러다임(Just-in Case)
(전통적 도서관)critical information care -> (미래도서관)managed information care
(전통적 도서관)Ptolemaic(library as center) -> (미래도서관)Coperican(use at center)
전통적 도서관
- 인쇄매체
- 실물소장
- 사서
디지털(전자) 도서관
- 전자매체
- 원격접근
- 정보전문가
미래도서관
- 인쇄매체+전자매체
- 소장+접근
- 사서+정보전문가
도서관 시스템의 변화
전통적 도서관->자동화 도서관->디지털 도서관으로 변화 예측
인쇄매체>AV자료, 마이크로 자료 -> 전통적 도서관 <- 구성원, 제한적 외부이용자
- 특징 : 단위도서관 중심의 장서 및 봉사체계 구축
- 장서개발 : 인쇄매체 중심의 필연적 장서구성
- 업무처리 : 수작업 처리방식
- 봉사내용 : 대출봉사, 참고봉사, 독서공간의 제공
- 패러다임 : 거대한 실물자료의 소장 및 제공공간
인쇄매체+AV자료>서지DB, 원문DB -> 자동화 도서관 <- 구성원, 외부이용자
- 특징 : 단위도서관 중심의 장서 및 봉사체제 구축
- 장서개발 : 인쇄매체 중심의 합목적적 장서구성과 개발
- 업무처리 : 수작업 방식의 기계화 및 전산화
- 봉사내용 : 대출, 정보접근 및 검색, 복사, 공간제공
- 패러다임 : 실물자료의 소장 및 정보접근의 공유공간
디지털정보+서지DB, 원문DB>인쇄매체+AV자료 -> 디지털 도서관 <- 구성원, 외부이용자, 네티즌
- 특징 : 국가적, 국제적 접근 및 검색봉사체제 구축
- 장서개발 : 인쇄매체와 전자매체의 선택적 개발과 분담
- 업무처리 : 토탈시스템화, 정보전산화
- 봉사내용 : 접근 및 검색과 원문제공, 대출, 게이트웨이
- 패러다임 : 네트웍 정보자원의 접근 및 중개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