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문화인류학

문화인류학 현지 조사 방법 - 문화사 발굴

좀좀이 2017. 5. 29. 07:50
728x90


- 오늘날 우리가 과거에 대한 봗 완전한 상을 가지고 있는 것은 상당 부분 인류학적 조사 연구의 결과.

- 그러나 역사적 시각을 어느 정도 높이 평가할 것인가에 관해서는 인류학자들 사이에도 의견이 일치하지 ㅇ낳음.

- 예를 들어 일부 사회인류학자들은 거의 전적으로 동일한 시간의 차원에 존재하고 있는 여러 문화들을 비교하는 데 관심을 집중.

-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류학의 4대 분과 (형질인류학, 고고학, 언어인류학, 사회문화인류학(민족학))는 모두 과거를 이해하는 데 기여중.

- 사회문화인류학은 전 연령층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삶에 대해 인터뷰를 함으로써 조상의 삶에 대한 그들의 기억을 수집함으로써, 이를 통해 현지조사지에서 또는 중앙의 문서보관소에서 이용 가능한 문서와 기록들을 연구함으로써, 또한 기타 방법으로 자신들의 연구에 시간적 깊이와 폭넓은 관점을 독특하게 불어넣고 있음.


- 고고학자들은 특히 인간의 과거를 발견하는 작업에 몰두. 고고학은 인간의 과거의 재발견, 연구, 그리고 재구성을 포함하고 있는데, 이러한 과정들은 과학적으로, 또한 이와 동시에 상상력을 동원해 수행되어야만 함.

- 인류학적 고고학자들은 기록된 역사가 존재하지 않는 아득한 과거의 기나긴 시기에 속하는 문화 유물들을 발굴하고 해석하는 데 관심을 기울여옴.


- 고고학적 현지조사 기술은 이와 관련된 독서를 통해서가 아니라 이를 직접 실습하는 데에서 획득됨.

- 여기에 특기할 매우 중요한 주의사항으로는, 유물이 발견되는 장소를 알고 있다면 이를 지방자치단체의 고고학자에게 보고해야만 한다는 사실. 유적지를 발견한다는 것은 곧 이를 파괴하는 것이기 때문에 발굴을 수행할 수 있는 사람들이란 고고학적 테크닉에 잘 숙달된 사람들 뿐.

- 오직 훈련받은 학자들만이 발굴을 진행하면서 토양과 그 속에 묻혀 있던 유물들의 상호 배열 상태에 대한 정보가 담겨진 꼼꼼한 기록을 해낼 수 있기 때문.

- 유물 뿐만이 아니라 주위에 있는 토양과 기타 다른 것들 모두, 또한 유물들 상호간의 연관 방식은 고고학자가 그 유물의 연대를 측정하고 나아가 당대 사회에서의 그 기능을 파악하는 데 실마리를 제공해 줄 수 있음.


- 선학들은 막대한 노력을 기울여 유적지에서 발견된 유물들을 더 잘 보존하고 발굴시 유물들의 발견 위치와 모습을 더 정확히 기록하기 위한 체계적인 테크닉을 발전시켜옴.

- 그러나 이들 각각의 유물들은 개별적으로는 그 문화에 대해서 극히 적은 것밖에는 알려주지 못함.

- 따라서 단편적인 사실보다 전체적인 맥락이야말로 고고학자가 문화를 재구성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해주는 것임.

- 물론 고대 문화에 관한 그의 최종 결론은 그가 얼마나 주의깊고 과학적인 발굴을 수행하는가에 달려 있음.

- 고고학자는 그의 분석에서 식물학자나 동물학자 등 다른 분야의 과학자들의 도움을 받을 수 있는데, 식물, 꽃가루, 뿔, 조가비, 뼈, 기타 등등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은 전체적인 상을 만들어내는 데 필수적일 수도 있음.


- 고고학자들은 연구 대상이 되는 사람들에게 직접 접근할 수 없기 때문에 상당한 지식과 기술을 사용해야만 함.

- 유기물질의 보존에 가장 나쁜 환경은 덥고 습한 정글로서, 고고학자들은 이런 곳에서 유기물질의 모든 흔적이 불과 5년 내에 사라져 버린다는 사실을 알고 있음.

- 보존의 조건이 무엇이든 간에 고고학자란 자신이 발견할 수 있는 것을 가지고 연구를 해야만 함.


- 고고학자들은 인류의 과거에 관한 타당한 증거라면 그 어떠한 것에도 관심을 갖고 있지만, 대부분의 증거는 지표 밑에서 발견됨.

- 지층 strata을 관찰하는 지층학 stratigraphy 은 과거의 연구에 중요한 기초가 됨. 고고학에서 지층학의 사용은 18세기 후반~19세기 초의 지질학자들의 개척자적인 연구에서 시작됨.

- 지층학이란, 어떠한 것이든 상부층은 하부층보다 나중에 형성된 것이라는 단순한 원리에 기초를 둠.

- 이는 상대적 연령측전 relative dating의 예. 지층이 커다란 교란을 겪지 않은 지역에서는 고고학 발굴자가 땅을 파내려가면서 하부층에서 발견되는 유물일수록 상부층의 유물보다 연대가 오래된 것이라고 가정할 수 있음.


- 이상적인 조건하에서 문화변동의 증거의 순서 sequence 는 명백히 구별가능한 유적지의 지층에서 발견될 수 있음. 그러나 전혀 이상적이지 못한 조건에서는 어떠한 지층의 층위도 발견될 수 없는 경우도 많음. 또 어떤 경우에는 시계열로 배열할만한 유물들이 토양 속에서 전혀 발견되지 않는 경우도 있음.


- 지층학적 증거가 불명확하거나 발견되지 않은 경우 문화변동을 알기 위해서 고고학자들은 연속배열 seriation 이라는 방법을 사용.

- 연속배열 방법이란 문화가 오랜 시간에 걸쳐 변동한다는 사고에 입각.

- 고고학자들은 도기나 분묘의 양식을 유사성의 정도를 기초로 순차적으로 배열함으로써 그 시간적 계기(연속)을 알 수 있음.

- 이 방법은 다수의 고대 분묘들을 시간적 계기로 배열하고자 노력했던 이집트학 전공자에 의해 1902년에 발전됨.

- 유형의 등장 순서가 어떠한 것이었는지는 알기 어려움. 유형의 등장 순서를 도출해내는 것은 연속배열에 있어 단지 한 단계에 불과함. 그 다음 단계는 유물이 발견된 각 유적지에서 각 유형의 빈도를 도출해내는 것. 하나의 유형의 빈도가 증가하고 이것이 물질문화의 커다란 부분을 형성하게 됨에 따라 다른 유형은 그 빈도가 줄어듦. 각각의 유형별로 증감의 패턴을 도출해내고 나서 고고학자는 그가 표본을 수집한 각 유적지의 상대적인 연대를 추정할 수 있음.


- 발굴에 직접 참여할 수 없고 발굴된 유물들을 가지고 조사연구를 행할 수 없다 해도 문화사에 대한 조사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이미 출판된 문헌 자료들을 이용할 수도 있음.


- 일반인은 전단지들 속 상품들의 역사를 추적해보고, 변화를 추리해보는 식으로 훈련해볼 수 있음.

- 위에서 조사한 종류의 물품들에서 나타난 변화를 해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문화변동의 맥락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볼 것. 예를 들어서 '맥락에 대한 자료'는 기술적인 변화, 경제적 호황 및 불황, 전쟁 및 평화의 시기, 전원 생활 또는 도시 생활에 대한 지향의 변화, 여가시간의 본질과 사용상의 변화, 사회 관계의 성격의 변화 등에 관한 실마리를 제공하는지 찾아보는 것임. 예를 들어 광고 전단 사진에 찍혀 있는 '가족 사진'은 가족 집단의 크기 등을 암시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