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문화지리학

문화지리학 - 장애와 지리의 관계

좀좀이 2017. 3. 1. 23:48
728x90

장애와 지리의 관계


- 사람들이 장애와 신체적 차이에 의미를 부여하는 방식은 사회생활의 공간적 배치와 공간의 사회적 배치에서 핵심적 역할을 함.


- 장애인은 만성질환을 포함한 육체적, 정신적, 또는 지적 손상을 입은 개개인을 포함.

- 현대 사회에서 장애인에 대한 정의는 '장애인' 개인에 초점을 두는 경향이 있음.

- 현대에서 이러한 경향이 등장한 이유는 장애의 생리적 특성을 강조하면서, 장애를 겪는 사람들을 '고쳐줘야' 한다고 주장하는 의료기관과 전문가들의 영행이 매우 큼.

- 이러한 정의는 종종 '장애의 의료 모델' medical model of disability 라 불리는 것을 생산 및 재생산함. 장애인들이 사회생활에 참여하지 못하는 것을 개개인의 실패로 간주.


- 최근 행동주의자들과 학자들은 으료 모델의 헤게모니에 반대하며 대안을 제시.

- 이들이 제시하는 대안에서 손상 impairment 는 육체적, 정신적 또는 감각적 손상에 의한 기능의 한계를 일컫는 반면, 장애 disability 는 육체적, 사회적 장벽으로 인해 커뮤니티 생활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잃거나 제약을 받는 것을 지칭함.

- 장애의 사회모델 social model of disability 는 개개인들이 겪는 상황과 특정한 사회적 맥락에서 그들이 경험하는 어려움들을 구분함으로써 신체 부자유를 개인의 비극이라기보다는 사회적 억압의 한 양식으로 위치시킴.


- 사회모델은 정치적으로나 이론적으로 강력한 힘을 발휘. 그러나 이 모델의 초기 형성기에는 지나치게 물질적인 사회 조건에 초점을 두는 경향이 있었음.

- 빅 핑켈스타인 Vic Finkelstein : 서구사회에서 장애가 '생산'되는 핵심적 계기로서 장이인들을 임금 노동에서 배제시키는 산업화를 특별히 강조

- 마이클 올리버 Michael Oliver : 산업자본주의의 성장으로 인한 개인주의 이데올로기 중요성 강조. 물질적 변동을 육체적으로 장애를 입은 사람들의 신체 부자유 이면에서 작동하는 동력으로 간주.


- 최근에는 문화적 재현을 통해 장애의 물질적 생산을 지탱하는 방식이 크게 주목받고 있음.

- 학자들은 장애인들의 몸을 재현하는 방식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면서, 장애인들에 대한 사회적 대우에 영향을 끼치는 문화적 규범으로서의 '건강한 몸'에 대해 문제 제기.

- 아이리스 매리언 영 Iris Marion Young : '문화제국주의' 개념을 사용해서, 어떤 규범이 보편적이고 당연한 것으로 자리잡는 양식을 설명. 문화제국주의에 종속된 집단은 '그들 고유의 관점과 집단 특유의 경험 및 이해관계를 지닌 사람 - 즉 주체로서 부각되지 않음. 동시에 그들의 지배적인 규범에서 벗어난 타자 Other 로 낙인찍힘. 장애인들은 이로 인해 자신들을 재현할 수 있는 주체로 인정받지 못하고, 문화적으로 타자로서 자리매김됨.


- 장애를 타자로서 문화적으로 재현하는 것은 장애를 있는 그대로의 장애로 표현하는 것으로 그치지 않음. 오히려 은유적 수사를 통해 더 광범위한 의미의 장애를 부여.

- 학자들은 대중문화 내에서 장애는 종종 그 무엇보다도 사악한 것, 사회적 혼란, 도덕적 타락, 의존증에 대한 두려움을 의미하게 된다고 주장.

- 결국 장애에 대한 지배적인 문화적 재현은 장애 그 자체에 대한 소통보다는 그 반대로 사회적, 육체적, 정신적, 도덕적, 성적 측면에서 '선'하고 '정상적인' 것에 대한 정당화에 더 관심을 보임.

- 톰 세익스피어 Tom Shakespeare : 장애의 문화적 재현이 '부정하기 위한 쓰레기통'으로 간주될 수 있다고 주장.


- 정신질환자들을 통제 불가능하고 잠재적으로 폭력적인 존재로 재현하거나, 특정 질병 감염자들을 전염병 보균자로 취급하고 도덕적으로 더러운 자들로 재현하는 것은 사회공간을 이용하려는 그들의 노력을 가혹하게 구속하는 것.

- 보다 일반적으로 장애에 대한 문화적 규범은 장애인들을 일상의 장소에서 계속 배제시킴과 동시에 그러한 배제를 통해 재생산. 공공의 공간에서 형편없이 디자인된 환경은 장애인의 불편함을 부각시키며, 문화적 규범은 환경의 '정상성'을 재확인하면서 장애인 신체의 차이를 강조.

- 장애인들을 신뢰할 수 없고 비생산적인 사람으로 해석하는 것은 교육과 노동의 주류 공간으로부터 그들을 배제한 데서 유래한 것임과 동시에 그것을 정당화.


- 장애와 비장애에 대한 문화적 구성은 장애인들 뿐만 아니라, 육체적 매력과 젊음을 지닌 신체단련에 대한 현대의 문화적 규범에 근접하려고 노력하는 대다수의 사람들에게도 함의하는 바가 있음.

- 할란 한 Harlan Hahn : 장애와 죽음에 대한 근심으로 인해 매력적이지 않은 육체적 특성을 지닌 사람들을 멀리하려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으며, 근대 사회는 정상적 수준 이상의 육체적 완성을 추구하는 데 열정을 쏟아야 함을 지나치게 강조한다고 주장.


- 건강한 몸에 대한 문화적 구성에는 강한 도덕적 차원도 존재.

- 현대 사회에서는 건강과 젊음, 아름다움은 적절한 노력을 해야만 달성할 수 있다는 가정이 광범위하게 확산되어 있음

- 마이클 페더스톤 Michael Featherstone : 포스트자본주의 사회에서 몸을 소홀히 다루면 인간으로서 대접받기 어려우며, 게으름과 자기비하, 심지어 도덕적 실패를 드러내는 것으로 낙인찍히는 대가를 치르게 된다고 주장.

- 성형외과와 같은 '몸 만들기' 기법이 발달하면서 몸을 계속해서 변형시킬 수 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등장.


- 장애인들은 정신적, 육체적 차이를 이해하는 대안적 방식을 만들어내고 있음.

- 서구 국가들의 장애인 인권운동으로서 중요하게 등장한 것 중 하나는 '신체장애' crip 문화. '신체장애'문화는 지배적인 담론을 전유하고 그 의미를 재배치고자 함. 장애인의 몸과 마음에 대한 지배적인 재현방식에 대한 대안을 찾고자 함. 신체장애 문화는 과거의 역사에서 장애인들을 지우는 것에 저항하는 작업을 포함.


- 장애에 대한 지배적인 재현방식에 도전하는 것은 지리를 교정하르는 노력도 포함됨.

- 많은 지리학자들이 장애의 '장소'를 교정하고 있음.


- 건강주의자들의 문화적 재현은 장애인들의 주변적인 사회경제적 지위와 완전한 시민권의 결여를 재생산하고 정당화. 이러한 문화적 규범은 장애인들에 대한 일상생활의 공간적 배제를 존속시키며, 공간적 배제를 통해 그 규범을 계속해서 유지.

- 그러나 장애인의 배제가 결코 불가피한 것은 아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