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한국

강원도 정선군 신동읍 예미리 예미 미로 벽화마을

좀좀이 2023. 6. 3. 02:51
728x90

"여기 어딘가에 벽화 마을도 있다고 했는데?"

 

예미오일장을 다 둘러본 후였어요. 몇 시인지 봤어요. 2023년 5월 16일 오후 2시였어요. 아직 시간이 매우 많이 남아 있었어요. 아무리 예미리가 조그마한 시골 마을이라서 모든 것이 일찍 문 닫는 동네라고 해도 오후 2시는 사람들이 활발히 활동할 시각이었어요. 더욱이 숙소 체크인 시간은 오후 3시부터였어요. 아직 숙소 체크인 시간도 안 되었기 때문에 좋든 싫든 더 돌아다녀야 했어요.

 

"날씨 왜 이리 뜨거워!"

 

제가 예미리를 돌아다니며 여행하던 날, 예미리는 무지 더웠어요. 5월 중순답지 않은 한여름 날씨였어요. 마음 같아서는 백팩을 숙소에 맡기고 다시 나오고 싶었어요. 불가능한 일이었어요. 숙소에 짐 맡기고 다시 나오는 것은 불가능한 일까지는 아니었지만 매우 현명하지 못한 선택이었어요. 왜냐하면 예미리 숙소 세 곳은 모두 예미역 역전에 있고, 예미리 읍내는 예미역 뒷편에 있어요. 예미역 역전에서 예미역 읍내까지 거리는 태백선 철도 때문에 한참 돌아가야했기 때문에 한참 걸어가야 했어요.

 

백팩을 메고 다음 볼 곳을 찾아가기로 했어요. 다음 볼 곳은 예미 미로 벽화마을이었어요.

 

"예미 미로 벽화마을도 여기 어디께일 건데..."

 

예미리에 벽화 마을이 있다는 사실은 예미리에 처음 여행왔을 때부터 알고 있었어요. 그때 못 간 이유는 예미역 역전 풍경을 보고 너무 아무 것도 없어서 빨리 다른 곳으로 가야겠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었어요. 이번에는 달랐어요. 예미리를 하루 종일 돌아다니기로 했기 때문에 예미 미로 벽화 마을도 찾아가야 했어요. 신동오일장에서 그렇게 멀리 떨어져 있을 거 같지는 않았어요. 예미리가 그렇게 큰 마을이 아니었기 때문이었어요.

 

"가다 보면 나오겠지."

 

예미리는 조그마한 마을이니 길 따라 가다 보면 예미 미로 벽화마을로 가게 될 거였어요. 길을 따라 걸어갔어요.

 

 

"여기다."

 

예미 미로 벽화 마을이 나왔어요.

 

 

예미 미로 벽화마을 입구에는 순수하게 생긴 소녀 벽화가 있었어요.

 

 

예미 미로 벽화마을 지도가 있었어요.

 

 

예미 미로 벽화마을은 규모가 크지 않았고, 길도 단순했어요. 미로는 아니었어요. 어떻게 다녀도 길 잃어버릴 곳까지는 아니었으니까요.

 

 

 

"타일 모자이크라서 좋네."

 

벽화 마을의 가장 큰 문제점은 사람들이 벽화 제작을 한 후 관리가 전혀 안 된다는 점이에요. 벽화를 그리는 것까지만 하고 보존 작업은 관심 밖인 곳이 대부분이에요. 그래서 시간이 갈 수록 벽화가 매우 흉물스럽게 변해가요.

 

관리를 꾸준히 해주지 않을 거라면 차라리 예산 더 많이 써서 처음부터 타일 모자이크 벽화로 제대로 잘 제작하는 게 훨씬 나아요. 타일 모자이크 벽화로 제작하면 일반 벽화보다 훨씬 오래 좋은 상태로 보존되니까요.

 

 

강원도 정선군 예미리 예미 미로 벽화마을은 여행자의 길, 추억길, 아리랑길, 동강길, 연인의 길, 농부길, 꽃길, 시장길, 화가길, 광부길로 이루어져 있어요. 총 10개의 테마로 구성된 벽화 마을이에요.

 

저는 테마에 개의치 않고 가보고 싶은 대로 걸어다니며 감상하기로 했어요.

 

 

 

강원도 정선군 신동읍 예미리는 원래 강원도 평창군 동면 지역이었어요. 예미리는 1895년 고종 32년에 정선군에 편입되었어요.

 

예미리는 한자로 禮美里에요. 1914년에 행정구역을 통폐합할 당시 노일, 납돌, 유문동을 합쳐서 여미산 女美山을 예미산 禮美山으로 바꿔 부르면서 지명도 예미리가 되었다고 해요.

 

예미리가 속한 강원도 정선군 신동읍은 광복 직후까지 500가구 정도 만 거주중이었던 지역이었어요. 이 당시 신동읍은 정선군에서 인구가 가장 희박한 지역이었어요. 그러나 1948년에 대한석탄공사 함백광업소가 설립되면서 이 일대에서 석탄 개발이 시작되었고, 산업철도인 함백선이 개통되면서 신동읍은 신흥 탄광도시 지역이 되었어요. 이때 중심지가 바로 예미리와 조동리였어요.

 

예미리는 원래 농촌지역이었어요. 신동읍에서 탄광 개발이 시작되자 예미리에 광부, 철도 기술자 등이 몰려와 같이 거주했다고 해요. 예미리에도 탄광이 있었다고 하기는 하는데 이쪽 기록은 인터넷에서 예미에 '예미탄광'이 있었다는 딱 한 줄 외에 찾지 못했어요.

 

현재 예미에 탄광은 없지만 철광은 있어요. 공장도 있구요. 이와 더불어 한덕철광산업 신예미광업소 지하 1100m에는 예미랩 지하실험실이 있어요. 예미랩 지하실험실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심도 1000m에 위치한 세계 6위급 지하실험시설이에요. 예미랩은 암흑물질 발견 및 중성미자의 특징을 밝혀내는 연구가 목적이라고 해요.

 

 

 

예미리 읍내장은 1912년에 정선군 신동면 예미리 예미장이 4일과 9일로 끝나는 날에 장이 열리는 49장으로 개설되었어요. 오늘날 예미오일장 장날은 1일과 6일이에요. 언제 4일 9일 장날에서 1일 6일 장날로 변경되었는지는 모르겠어요.

 

예미 미로 벽화 마을은 한국광해관리공단에서 폐광지역 마을 환경개선사업의 일환으로 조성된 벽화 마을이에요.

 

 

 

예미 미로 벽화마을에는 농촌 소재의 벽화와 광산촌 소재의 벽화가 있었어요.

 

 

마을 풍경을 그린 벽화가 있었어요.

 

골목길을 계속 따라 걸으면서 동네를 구경했어요.

 

 

"우시장터? 여기 우시장 있었어?"

 

 

우시장터 자리를 알려주는 현판이 있었어요. 현판에는 다음과 같이 적혀 있었어요.

 

우시장은 쇠전, 쇠장, 소시장 등으로 부르기도 한다. 지금은 재래시장 또는 5일장으로 불리는 조선시대의 시장에는 각종 전을 벌여놓고 있었다.

쇠전을 비롯하여 곡물전, 어물전, 과일전, 철물전, 갓전 등의 좌판이 나름대로의 구역을 정해 자리잡고 있었다.

쇠전이라고 하면 장이 서는 날 소를 비롯한 가축들의 매매가 거래되는 곳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장시에는 쇠전이 있었다.

이곳은 과거 예미리의 쇠전이 열리던 우시장 터로서, 활기찬 우시장 풍경과 여유로운 장터 여인의 모습을 벽화에 담아 그 시절을 회상하고자 하였다.

 

 

우시장터 벽화는 지게를 메고 소를 몰고 가는 농부와 여인들 벽화였어요.

 

"여기는 벽화 관리 잘 되어 있네?"

 

예미 미로 벽화마을은 벽화 관리가 상당히 잘 되어 있었어요. 벽화가 조성된 지 얼마 안 된 것처럼 상태가 매우 좋았어요. 보통 벽화마을은 웬만해서는 안 가지만, 예미 미로 벽화마을은 가볼 만한 곳이었어요.

 

예미 미로 벽화마을은 지금도 사람들이 거주하고 있는 마을이었어요. 그렇기 때문에 돌아다닐 때 조용히 돌아다녀야 했고, 사진을 촬영할 때도 거주하시는 분들 사생활 침범하지 않도록 신경써야 하는 곳이었어요.

 

예미 미로 벽화마을은 벽화들도 꽤 괜찮았고 벽화 상태도 좋기 때문에 예미로 여행 간다면 동네 주민분들께 방해되지 않도록 조심하면서 벽화를 감상하고 사진 찍으며 추억을 만들면 좋을 곳이었어요. 지도를 보고 찾아갈 때는 예미4리공영주차장을 찾아서 가면 되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