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사회학

사회학 - 사회적 배제의 형태 : 주거와 이웃, 청년층, 시골 지역

좀좀이 2020. 5. 14. 01:29
728x90

사회학 - 사회적 배제의 형태  주거와 이웃, 청년층, 시골 지역


주거와 이웃


- 사회적 배제의 성격은 주거 영역에서 명확히 관찰됨.

- 산업 사회의 많은 사람들이 편안하고 넓은 집에서 거주하는 동안 어떤 사람들은 비좁고, 난방이 안 되고, 구조적으로 안전하지 못한 주택에서 거주.

- 주택시장에서 사람들은 현재 또는 미래에 벌어들일 수 있는 자원을 근거로 주택 구입.

- 이는 자녀가 없는 맞벌이 부부가 좋은 지역의 집을 획득할 가능성을 더 크게 만듦.

- 반면, 가족 중 성인이 실직했거나 저임금 직장에서 일하는 경우에는 전세나 공공 주택 등으로 선택 범위가 제한됨.

- 주택 시장에서의 만족은 가정과 공동체 차원 모두에서 발생.

- 주거 공동체는 사회가 평균적으로 갖는 기회와 활동들로부터 배재될 수 있음.

- 배제는 공간적 차원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서 안전, 환경적 조건, 각종 편의 시설과 공공 시설의 이용 가능성이 지역마다 차이남.

- 어떤 지역은 은행, 식료품점, 우체국 같은 기본적인 편의 시설이 타 지역에 비해 적음.

- 공원, 운동장, 도서관 같은 고유 공간 또한 제한적.

- 그러나 열악한 지역 거주자들은 그나마 부족한 편의 시설에 의존. 하지만 이들 지역은 교통 시설 또는 돈이 부족해서 다른 곳으로 물건을 사러 가거나 편의 시설을 이용하러 가기 힘듦.

- 사람들은 곤궁한 공동체 안에서 배제를 극복하고 사회에 더 많이 참여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음.

- 사회적 연결망 취약 -> 직업에 대한 정보나 정치적 활동, 공동체 행사에 대한 정보 획득이 어려워짐.

- 가족의 생활은 고실업률과 낮은 소득 수준에 짓눌리게 됨.

- 범죄와 청소년 비행은 그 지역의 전반적인 삶의 질을 떨어뜨림.

- 수요가 적은 주거 지역에서는 사람들이 더 나은 주거지를 찾아 떠나기 때문에 이사를 가는 사람이 빈번 -> 새로운 빈곤층이 유입됨.


청년층


- 청소년과 청년들은 직업과 가족을 갖고 미래를 설계하며 인생의 가장 중요한 시기에 들어섬.

- 그러나 어린이에서 성인으로의 이행은 쉽지 않으며, 많은 청년들이 사회에 통합되려 노력하나 다양한 방법으로 배제되고 있음.


- 최근 몇 가지 변화로 인해 청년층의 배제가 중요한 문제로 부각됨.


01. 노동 시장의 변화

-> 과거에는 성인으로의 이행은 한 사람이 직업을 가짐으로서 시작됨.

-> 그러나 젊은이의 노동 시장이 과거보다 불안정하기 때문에 독립적인 성인으로의 전환이 확실하지 않음.

-> 많은 청년들이 취직에 어려움을 겪는 중이며, 미숙련 직업은 숙련이나 새로운 기술을 필요로 하는 전문가에 의해 대체중.


02. 복지 수당의 변화

-> 청년들은 정치적 권리와 지위를 부여받으나, 취직과 교육, 주택 공급에 대한 사회적 권리는 줄어들고 있음.

-> 이는 청년들이 가족에게 더 많이 의존하게 만듦.

-> 과거 젊은이들은 성인으로의 이행기 동안 소득 지원과 복지 수당에 의존할 수 있었음.

-> 많은 청년들이 소득 감소와 더불어 복지 예산 삭감으로 인해 더욱 큰 불안을 느끼게 됨.


03. 교육 제도

-> 많은 사람들이 교육 제도가 증가하는 청년들 수를 감당하지 못해 이들을 공식, 비공식적으로 배제한다고 우려중.

-> 채용 방식의 변화는 많은 청년들이 받은 교육을 쓸모 없는 것으로 만들어버림.

-> 학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 현재의 정책은 이미 사회의 주변부에 위치하게 되는 청년들을 더욱 불리하게 만들고 있음.


04. 무주택

-> 청년층에서 무주택자가 증가중.

-> 주거 분야가 청년층의 이동 패턴의 변화를 수용하지 못하고 있음.

-> 과거에 비해 청년들은 현재 일찍 가정을 떠나 다른 도시에서 교육을 받거나 새로운 가정을 꾸리거나, 직업을 얻거나 또는 부모로부터 독립하려고 함.

-> 그러나 많은 청년들이 제한된 자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자신의 경제적 능력으로 거주할 주택을 구입하기 어려움.

-> 가계 지출 조사 연구에 의하면 여러 명의 청년들이 함께 쓰는 호텔 방이나 공동 주택 같은 과도기적 대용 주택 증가.

-> 그러나 청년들이 필요로 하는 경제적으로 부담할 수 있는 주거 시설은 반드시 주택 시장에서만 제공되는 것이 아님.

-> 비싼 주택 시장을 피해 집으로 돌아가는 청년들도 존재하나, 길거리에 나앉게 되는 청년들도 존재.


시골 지역


- 시골 지역에 사는 사람들도 배제를 경험.

- 몇몇 사회사업가들과 활동가들은 시골 지방에서의 배제가 도시 지역보다 광범위하다고 주장.

- 작은 마을이나 인구가 희박한 지역에서는 인구가 많은 지역보다 상품이나 재화, 편의 시설들을 접하기 어려움.

- 대다수 산업화된 사회에서 의사, 우체국, 학교, 교회, 도서관, 행정 업무에의 근접성은 활동적이고 충만하고 건강한 삶을 위한 필요 조건으로 여겨짐.

- 그러나 시골 거주자들은 종종 이러한 서비스에 대한 접근이 제한적이며, 지역 공동체 안에서 이용 가능한 사람들에만 의존.

- 교통은 시골의 배제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요인 중 하나.

- 개인 소유의 교통 수단이 없는 시골 지역 거주자들은 공공 교통 수단에 의존 -> 시골 지역에서는 이러한 서비스가 제한적으로 제공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