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 알뛰세, 애플, 카노이의 학교의 재생산 기능에 대한 갈등주의 시각 분석

좀좀이 2019. 12. 7. 15:05
728x90

교육사회학 - 알뛰세, 애플, 카노이의 학교의 재생산 기능에 대한 갈등주의 시각 분석


- 학교 교육의 재생산 기능은 알뛰세에 의해 다시 정리됨.


알뛰세 Louis Althusser


- 알뛰세는 국가의 중요성을 강하게 부각시킴.

- 알뛰세는 전통적 마르크스 이론에서 상부구조의 한 부분 정도로 취급했던 국가를 국가기고 state apparatus 라는 개념으로 확대시킴.

- 국가기구 : 억압적 국가기구 repressive state apparatus 와 이념적 국가기구 ideological state apparatus 로 구성.


01. 억압적 국가기구 repressive state apparatus, RSA

- 마르크스가 '국가'라고 할 때 주로 의미하던 것.

- 사법제도, 군대, 경찰, 정부 등으로 구성.

02. 이념적 국가기구 ideological state apparatus, ISA

- 종교, 교육, 가족, 법률, 정치, 노동조합, 매스커뮤니케이션, 문화로 구성된 광범위한 것.

- 규범과 가치에 관련된 모든 것.


- 자본주의 사회가 존속 - 즉 재생산되기 위해서는 억압적 국가기구와 더불어 이념적 국가기구가 작동해야 함.

- 이념적 국가기구가 작동해야 무리없이 원만하게 재생산될 수 있음.

- 교육은 이념적 국가 기구의 한 부분이나 핵심적 기능 수행.

- 의무적 국민교육 제도는 가장 강력한 재생산장치.

- 이 장치를 통해 지배 이데올로기가 국민들에게 전파되고 내면화됨.


- 윌리스는 학교가 자본주의 사회구조를 충실히 재생산한다는 점에는 동의.

- 재생산이 무리없이 원만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

- 하류층 자녀들이 학교에서 문제를 일으키는 것은 자신들의 노동계급의 문화와는 이질적인 학교 문화에 적극적으로 저항함으로써 스스로 노동자의 길을 택하는 것이라 설명.

- 학교가 자본주의 사회에서 수행하는 경제 구조 및 사회 구조의 재생산 기능은 인정.

- 학교는 저항과 대항 문화의 존립이 가능한 열려 있는 공간이라 주장.

- 윌리스의 저항이론 resistance theory 는 기본적으로 마르크스의 자본주의사회 재생산이론을 수용하면서 학교가 사람들이 각자의 생각과 주장을 갖고 살아 숨쉬는 사회적 공간임을 확인시켰다는 점에서 주목받음.

- 윌리스 저항이론의 한계 : 보편적인 이론으로 받아들이기에는 무리가 있음.


애플 Michael Apple


- 자본주의 사회의 재생산에 학교 교육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연구.

- 학교의 교육과정, 교과서,교사에 대한 분석을 통해 학교가 재생산의 고리임을 정면으로 부정하지 않았으나, 교사들이 각성하고 사회 각 부문의 민주적 좌파들과 연대함으로써 교육의 민주화를 쟁취할 수 있다고 주장.

- 계급 환워주의와 경제 투쟁 제일주의를 배격해야 한다고 주장.

- 아직도 교육을 경제구조 재생산론의 테두리 밖으로 끄집어내지 못했다고 비판.

- 애플은 학교 교육 과정에 관한 논의에서 시야를 넓혀 문화의 생산과 유통, 문화정치학에 관한 논의로 확장.


카노이 Martin Carnoy


- 교육의 국제적 관계를 제국주의 imperialism 관점에서 파악.

- 국가간의 갈등현상이 교육에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분석.

- 문화적 제국주의로서의 교육 : 식민지의 교육이 식민지 국민의 의식을 어떻게 왜곡시켜 지배자들에게 복종하게 만들었는지 서술.

- 식민통치자들은 학교 교육을 통해 지배의 바탕을 마련하고 이를 강화해나가고 있다고 주장.

- 오늘날 아시아, 아프리카 많은 국가들이 정치적으로는 독립했지만 문화적으로는 여전히 식민지 상태에서 못 벗어났으며, 교육이 이런 문화적 종속을 더욱 부채질하고 있다고 주장.

- 교육사회학자, 사회과학자, 역사학자들이 제3세계에서의 서양 교육의 역할을 잘못 해석했다고 주장.

- 서양의 학교 교육은 제국주의적 지배의 한 부분을 담당했고, 이는 한 나라의 지배계급이 다른 나라의 국민을 경제적, 정치적으로 통치한다는 제국주의의 목표와 일치.

- 제국주의와 식민주의는 모두 사라졌으나 식민지 시대의 교육제도는 여전히 제3세계에 그대로 남아 있음.

- 교육과정, 언어, 교사들까지도 식민지 시대의 사람들이 그대로 영향력을 끼치고 있음.

- 여러 면에서 전식민지와 식민통치국 사이에는 경제적 및 문화적으로 식민지 시대보다 더 강한 관계가 유지중이라 주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