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교육사회학

교육사회학 - 교육에 대한 기능이론, 갈등이론 비교 - 공통점, 차이점

좀좀이 2019. 12. 7. 16:27
728x90

교육사회학 - 교육에 대한 기능이론, 갈등이론 비교 - 공통점, 차이점


갈등주의 교육이론의 한계


- 갈등이론은 경제결정론에 빠져 있다는 한계가 있음.

- 교육이 결제구조에 의해 일방적으로 결정된다고 역설함은 물론이고 교육행위의 설명까지도 개인의 의지를 무시하고 사회적 조건만 지나치게 강조.

- 몇몇은 경제적 결정론을 배격하고 학교의 상대적 자율성을 입증하려 노력하기도 했음.

- 그러나 결국 이런 연구자들도 교육의 재생산기능론을 완전히 부정하지 못함.

- 구조주의적 관점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과 성과도 상당히 올리기는 했음.

- 하지만 행위자의 능력 - 즉 사회구성원의 기존 문제와 사회구조에 대한 비판적 학습 능력과 그에 기초한 사회 변혁 가능성에 대해서는 여전히 회의적 태도.


교육에 대한 기능주의, 갈등주의 비교


- 기능이론은 사회적 통합을 위한 교육의 기능 강조.

- 갈등이론은 자본주의 사회의 학교교육에 대한 비판에 주력해 불평등의 정당화와 지배문화 주입기능을 공격.


- 기능이론은 통합성과 합의성을 지나치게 강조한 결과 학교교육이 기본적으로 순기능만 수행하며, 사회의 모든 구성원에게 동등하게 가치로운 것처럼 인식시켰음.

- 여기에 집단간의 갈등을 외면함으로써 교육과정과 교육선발을 비롯한 교육정책의 결정과정에 대한 사실적 분석을 소홀히 함.

- 교육선발이 능력 본위로 이루어진다는 기본 전제로 인해 선발 과정의 귀속적 측면에 대한 관심을 소홀히 함.

- 현재의 교육선발의 방법, 제도 등은 편파적으로 상류층에 유리하도록 되어 있음. (예 : 대한민국 대학입시 수시 제도)

- 분명히 여기에는 시험 방법이나 입시관리방법의 개선만으로는 해결될 수 없는 사회의 구조적 문제들이 뿌리박혀 있음.

- 그러나 기능주의적 관점에서는 이러한 제반 교육문제들이 일시적 병리현상 정도로만 이해되기 때문에 부분적 개선책의 개발에만 집중.


- 갈등이론은 학교와 사회의 모순과 기본적 문제를 드러내는 것에 매우 강력함.

- 학교 교육을 통한 사회적 불평등의 재생산, 지배 문화와 이념의 정당화와 주입 기능에 대한 지적은 상당히 훌륭함.

- 그러나 갈등과 세력경쟁을 지나치게 강조한 결과 교육이 사회적 결속력을 높이고 사회적 공동체 의식을 높이는 것에 기여하는 점을 과소평가하고 있음.

- 기존 학교제도의 근본적 문제점을 들추어낸 것은 갈등이론의 큰 공헌.

- 그렇지만 비판이 지나쳐 기존 제도의 부정에까지 이르렀으나 그에 대한 대안 제시가 충분하지 못한 것이 결함. (극단적인 경우, 교육 현장 붕괴로까지 이어짐)

- 자본주의 사회의 학교교육에 대한 비판적 인식은 높여주었음.

- 사회주의 사회의 교육에 관해서는 비판적 연구의 관심을 오히려 저하시켰음.

- 현행 학교제도의 문제점을 학교 제도 내에서만 찾지 않고 학교와 사회의 관계 속에서 찾으려 했던 점은 갈등주의의 공헌 중 하나.


- 연구의 기본 방향에 있어서도 기능이론과 갈등이론은 대조적.


- 기능이론은 통합과 합의를 전제로 삼고 있음.

- 그래서 현상 유지 또는 체제 유지 지향적인 연구에 중점을 둠.

- 한 사회의 기본 이념, 기본 질서 및 제도는 주어진 것으로 보고 부분적이고 점진적인 문제 해결에 관심을 기울임.


- 갈등이론은 기본적인 이념, 제도, 질서 등의 비판적 분석에 중점을 둠.

- 체제 비판을 통한 변화와 개혁이 목표.

- 체제와 제도에 대한 끊임없는 비판과 부정을 통해서만 사회는 발전할 수 있다고 믿음.


- 기능이론과 갈등이론은 안정지향 대 변화지향.


기능이론과 갈등이론의 공통점


01. 기능이론, 갈등이론 모두 주력해온 연구주제가 교육의 재생산 기능에 관한 것.

-> 교육이 사회의 존속과 질서 유지에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밝히는 것에 주력.

02. 기능이론, 갈등이론 모두 거시적 접근에 치중.

-> 구조의 힘을 믿고, 개인 행위자는 무시.

-> 구조가 결정력을 갖고 있다고 봄.

-> 두 이론 모두 미시적 접근 (개인 행위자의 힘)을 무시한다는 한계를 갖고 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