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사회지리학

사회지리학 - 주택 건설 환경과 이데올로기적 표헌 및 가사 노동의 관계

좀좀이 2019. 9. 22. 23:05
728x90

사회지리학 - 주택 건설 환경과 이데올로기적 표헌 및 가사 노동의 관계


- 주택의 특질과 디자인은 사람들이 사는 도시, 소도시와 마을 이 밖으로 드러나는 방식에 매우 중요.

- 그러나 개별 주거와 주거 배열이 단순히 건축적 경험과 유행의 변화에 따른 결과라 가정하는 것은 무리.

- 주거가 보여주는 주택 건조 환경의 특질은 경제적 요인인 국가적, 지역적, 국지적 요인 및 공공정책 요인에 해당하는 주택 보조금 성격, 토지 이용 계획과 정책 등으로부터 강력한 영향을 받음.

- 그러나 이러한 요인들 이상으로 주택 공급의 특질은 서로 다른 지역들이 수행해야 할 기능에 대한 관점을 반영하는 정부, 도시 관리자, 뷰유한 유력자들이 가진 신념 체계의 산물.

- 서로 다른 시대에 서로 다른 국가에서 건축가들도 이러한 의사 결정권을 가진 엘리트의 중요한 일부였음.


- 역사적 사례는 사회적 재생산에 있어서 주택의 중요성을 잘 보여줌.

- 고용자들에게 그들이 고용한 노동력의 성격과 비용은 주택의 성격과 비용에 직접적으로 연계되었을 가능성이 높음.

- 노동자들은 가정에서 생산 또는 재생산됨.

- 또한 가정과 근린은 다음 세대의 노동자들이 공동체 속으로 사회화되는 곳.

- 그러므로 주거와 그 주변 환경은 사회를 재생산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왔고, 지금도 수행하고 있음.

- 이는 사회 규범과 도덕, 규율이 주입되고 학습되는 곳.

- 19세기의 맥락에서 이러한 과정에 기여한 일부 노동력을 위해 건조환경을 생산하는 것은 주류 자본주의 사회와 경제에 유리.

-> 자본주의 사회와 경제의 미래 안정성은 그것에 의지.

- 19세기 후반에 일부 노동자 계급의 주거라는 주택 전설 환경의 특질의 몇 가지 꽤 근본적인 변동과 실질적으로 서로 다른 노동자 계급들 간의 분리가 필요하게 됨.

- 이러한 변화들은 영국에서 19세기 노동자 계급의 주거지역과 연관시킨 길게 늘어선 작은 테라스하우스를 만들어냄.

- 1860년대까지 대부분의 추가적인 노동자 계급의 주택은 단순히 기존 공간을 세분하는 형태였음.

- 이것은 가족들이 집과 방을 공유하고 숙소를 구하는 사람들을 무차별적으로 혼합시키는 대규모의 혼잡한 빈민촌 공동주택 양식의 주택을 창출.


- 이후 작지만 가장 중요하게는 분리된 가족 주택으로 구성된 일부 노동자 계급을 위한 법정 주택이 지배하게 됨.

- 동시에 노동으로부터 가정의 점진적인 물리적 분리는 사회에서 여성의 역할에 대한 사고를 반영.


- 시립의 전원형 교외가 제1차세계대전 이후 국가 보조금으로 건설됨.

- 국가로부터 보조를 받은 주택의 공급에는 특히 1차세계대전에 따른 대규모 인명 희생 이후 1917년 러시아 혁명으로 재현된 여타 유럽의 지배 엘리트에 대한 잠재적 위협에 직면해 사회적 통합을 유지하려는 것에 그 목적이 숨어 있었음.


- 이데올로기적 헌신은 2차세계대전 이후 영국의 신도시 프로그램에서 근린지역 디자인에도 영향을 끼침.

- 주거의 건조환경적 특질은 특정한 사회적 결과를 달성하기 위한 시도 속에서 만들어짐.


가사 노동과 주택


가사 노동과 주택


- 가정과 관련된 기술의 개선은 가정을 레저 시간을 사용하는 것에 훨씬 편안하고 환대받는 장소로 만듦.

- 한층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신용 제도에 의해 촉진된 대량소비의 성장으로 소비재 구입과 보다 가정 중심적인 생활 양식이 창출 가능해짐.

- 일부 학자들은 가정 중심성의 중대를 직장에서 증대하는 소외에 대한 자연스러운 대응이라 주장.

- 노동의 세계가 점차 비개인적, 관료적, 일상 관습적이고 지나치게 많은 것을 요구하게 되면서, 개개인은 자기 자신의 시간과 공간에 더 중점을 두고 있음.

- 교외화의 확대는 그 독특한 물리적 형태와 함께 이에 기여하는 하나의 요인.

- 교외환느 현관문과 정원문, 나무 울타리 뒤에서 본질적으로 '사적'인 것이나 성공과 안정이라는 가정적 상징을 둘러싼 경쟁 요소들이 또한 지니고 있는 독특한 생활양식의 산물이자 촉진자.

- 공동체감이 역경의 상황 속에서 가장 강력히 등장하나, 상대적으로 부가 많은 사람들에게서 증가해 왔기 때문에 공동체 지원을 위한 긴밀한 연계의 필요성은 뒷전으로 물러나게 됨.


- 가정은 정서적 안정의 현장으로 여겨져 왔음.

- 이러한 안정감이 주거의 소유로 제고된다는 주장도 존재.

- 그러나 이것은 영어권 국가들의 독특한 특색인 사적인 가정의 자산이 강조되는 민족 문화의 한 함수.

- 심리적 안정은 사적 소유에 의해 제고될 수 있으나, 정서적 안정은 외부적인 사회적 역할을 잊고 개인이 진실로 그 자신이 될 수 있다는 곳에서 감시로부터의 자유와 연관될 수 있음.

- 가정의 안락함과 안정감은 주택 소유자에게만 국한되지 않는 한 요인으로서 가족의 중요성과도 종종 연계됨.


- 가사의 과정은 상징적 중요성도 지니고 있음.

- 주거 유형, 규모와 입지는 사회에서 차지하는 ㅈ지위의 중요한 표식이자, 주거를 개인화하기 위해 사람들이 일하는 길이에 의해 표시됨.


- 국지 지역의 입지와 성격도 중요한 표식.

- 새롭게 건설된 교외 주택단지를 위한 이름조차도 이미지 창조와 시장성에서 핵심적인 것이며, 사회적 지위에 관한 메세지를 담고 있음.


- 그러나 서로 다른 사회집단은 가정에 대해 서로 다른 관점과 관계를 맺음.

- 많은 페미니스트들은 가정적 분업이 지속되기 때문에 가정이 남성에게는 안식처를 대표할 수 있지만 여성에게는 피지배와 수고에 대한 무보수 노동의 장소가 된다고 주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