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컨텐츠 기획 일반에서는 대체로 소재와 주제를 분류해 설명하는 편이나, 실제로는 거의 한꺼번에 생각되고 결정되는 편.
- 어떤 드라마 콘텐츠의 제작자가 자기 드라마 컨텐츠 소재를 고를 때는 이미 그 드라마 콘텐츠의 기획 의도가 기획서에 규정되어 있음. 그러므로 그 기획의도에 따라 소재를 한정시킴.
- 이렇기 때문에 드라마 콘텐츠 제작자는 항상 드라마 컨텐츠의 주제 의식을 앞세워 소재 선택.
- 소재를 찾는 범위
01. 사회적 사건의 흐름 속에서 자신의 컨텐츠 소재로서 알맞은 사건이나 화제의 인물.
02. 최근에 출간되는 소설이나 희곡 등 문학작품.
03. 지난날의 문학작품 중 오랜 세월 동안 많은 독자의 사랑을 받아온 고전 가운데에서 고르는 방법.
04. 제작자 자신의 경험에서 소재를 구하는 방법.
드라마 콘텐츠 구성
- 대본 구성은 전적으로 작가의 몫.
- 그러나 대본이 잘 되었는지, 기대 수준에 미달한지를 판단하는 것은 제작자의 몫.
- 영화나 드라마의 성공에 대한 기여도는 대본이 60~70%, 연기자가 15~20%, 연출이 5~10% 정도 -> 대본의 기여도가 결정적으로 높음.
- 그러므로 대본 구성에 대해 전적으로 작가에게만 의지하는 것은 제작자의 직무 태만이라고 할 수 있음.
- 그러나 제작자가 작가의 대본 집필에 대해 일일이 간섭하고 트집잡아서는 안 됨.
- 대본에 대해 연출가가 할 수 있는 일
01. 드라마 컨텐츠 기획 의도를 잘 알고 극본을 써 줄 작가가 누구인지 엄밀히 살펴서 선정.
02. 작가가 작성해 제출하는 대본을 검토.
03. 작가가 쓴 대본의 품질이 자신이 요구하는 수준 또는 그 이상이라 판단될 때는 전적으로 작가를 믿고 맡김.
04. 작가가 제출한 대본에는 별다른 문제가 없다 판단되어도, 이 드라마 컨텐츠를 보는 사람들의 반응이 별로 좋지 않을 때는 무엇이 문제인지 여러 각도로 검토해야 함.
- 제작자는 연기자나 연출의 문제인지, 아니면 제작 기술상의 결함인지 등을 점검.
- 이것들에서 별다른 문제를 찾지 못했다면 드라마 컨텐츠의 외부 요인을 검토.
- 외부 요인에서 검토할 것들은 다음과 같음.
01. 방송되는 시간대가 충분한 시청자를 확보하기에 불리한 시간대인가
02. 같은 시간대에 방송되는 다른 드라마 컨텐츠의 경쟁력이 뛰어나기 때문인가
03. 드라마 컨텐츠 대상 시청층을 잘못 설정했는가.
-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제작자가 대본을 읽고, 대본의 품질을 평가할 수 있는 능력.
- 이를 위해, 제작자 자신이 대본을 작성할 수 있을 정도로 대본 구성 능력을 갖추고 있어야 함.
- 드라마 콘텐츠에 있어 제작자나 연출자가 반드시 극본을 쓸 줄 알아야하는 것은 아님.
- 그러나 적어도 극본을 구성하는 방법을 알고 있어야 하며, 어떤 극본이 좋은 극본인지 평가하는 능력을 갖추고 있어야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