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사회학

사회학 - 막스 베버 계층 이론 : 계층의 형성요인 계급, 지위, 파벌

좀좀이 2019. 7. 3. 05:11
728x90

사회학 - 막스 베버 계층 이론


- 베버의 계층에 대한 접근은 마르크스 분석에 기초하고 있지만, 그것을 수정하고 정교화한 것.

- 베버는 사회의 주요 특징을 권력과 자원을 둘러싼 갈등으로 봄.


- 마르크스 : 양극화된 계급 관계와 경제적 이슈를 모든 갈등의 핵심으로 봄.

- 베버 : 사회에 대한 보다 복잡하고 다차원적인 견해를 발전시킴.


- 베버는 사회 계층이 단지 계급에 의해 형성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

- 지위 status와 파벌 party에 의해서도 사회 계층이 형성됨.

- 계급, 지위, 파벌이라는 중첩적 요인들은 사회에 수많은 계급 위치를 만들어냄.


- 베버는 계급이 객관적으로 주어진 경제적 조건에 의해 결정된다는 마르크스의 생각을 받아들임.

- 그러나 베버는 마르크스가 생각한 것 외에도 계급을 구성하는 여러 다양한 경제적 요인들이 있다고 봄.


- 계급 분할은 생산 수단에 대한 통제 여부에만 기초한 것이 아님.

- 소유와는 직접 관계없는 경제적 차이들도 중요.

- 특정 기술이나 신용, 자격을 보유하고 있어서 특정한 직업을 획득할 수 있는지의 여부도 이러한 경제적 자원에 포함.


- 베버는 개인의 시장 위치 market position이 자신의 전반적인 생애 기회 life chance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고 봄.

- 관리직이나 전문직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블루칼라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들보다 더 많은 수입을 획득하고 더 좋은 작업환경에서 근무.

- 관리직이나 전문직 종사자들은 학위, 졸업장, 기술 같은 자격을 가진 덕분에 그러한 자격을 갖지 못한 사람들보다 더 '시장성'이 있게 되는 것임.

- 그보다 조금 더 낮은 블루칼라 노동자의 수준에서는 숙련공이 비숙련공보다 더 높은 임금을 받을 수 있음.


- 베버의 이론에서 지위란 다른 사람들로부터 인정받는 사회적 명예나 위신이 사회 집단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을 지칭하는 용어.

- 전통 사회에서 지위는 흔히 개인이 수년간에 걸쳐 다양한 상황에서 다양한 상호작용을 거치며 직접 획득한 지식에 근거해 결정됨.

- 그러나 사회가 점점 복잡해짐에 따라 이런 식으로 인정받는 지위는 불가능해짐.

- 이제 지위는 사람들의 생활 양식을 통해 표현됨.

- 지위를 만들어내는 것이자 지위의 상징인 주거, 의복, 말투, 직업 등은 모두 다른 사람들의 눈에 비친 그 사람의 사회적 지위를 만들어냄.

- 동일한 지위를 공유한 사람들은 동일한 정체성을 지닌 공동체 구성.


- 마르크스 : 지위의 차이를 계급 분할의 결과라 믿음.

- 베버 : 지위란 종종 계급 분할과는 무관함.


- 대개, 부를 소유하면 높은 지위를 갖게 되는 경향이 있으나, 때로 예외도 존재.

- 청빈 genteel poverty : 명문가 출신은 경제적으로 몰락해도 상당한 사회적 존경을 받음.

- 졸부 new money : 부유한 사람들에 대한 경멸의 감정이 담겨 있음.


- 베버는 근대 사회에서 파벌을 형성하는 것은 권력의 중요한 한 측면이며, 계급이나 지위와는 무관하게 계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지적.

- 파벌 : 공통의 배경이나 목적. 이해 관계를 갖고 함께 행동하는 집단.

- 종종 하나의 파벌은 성원들의 이해가 걸린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조직적으로 행동.

예) 종교, 민족주의 등.


- 마르크스는 지위의 차이나 파벌 조직을 모두 계급으로 설명하는 경향이 있음.

- 베버는 지위나 파벌이 계급에 의해 영향받기는 하나, 둘 가운데 어떤 것도 계급으로 환원해서 설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주장. 역으로 파벌이나 지위가 모두 개인이나 집단의 경제적 상황에 영향을 끼칠 수 있고, 계급에 영향을 끼칠 수도 있


- 베버의 계층 이론은 계급과 더불어 계층의 다른 차원들도 사람들의 삶에 강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줌.

- 마르크스가 사회 게층을 계급 분할로 환원하려 한 것과 달리, 베버는 사회 계층의 서로 다른 측면들인 계급, 지위, 파벌의 복잡한 상호작용에 관심을 가짐.


- 대부분의 사회학자들은 계층을 분석하기 위해 마르크스 이론보다 베버의 이론이 보다 유연하고 세련된 기초를 제공한다고 여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