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문화심리학

문화심리학 - 로렌스 콜버그 도덕 발달 이론 - 전인습적 도덕성, 인습적 도덕성, 후인습적 도덕성

좀좀이 2019. 4. 25. 00:46
728x90

문화심리학 - 로렌스 콜버그 도덕 발달 이론 - 전인습적 도덕성, 인습적 도덕성, 후인습적 도덕성


- 미국에서 도덕 추리 기술 발달에 관한 지식은 심리학자 로렌스 콜버그가 수행한 연구에 영향을 받아왔음.

- 도덕 추리와 판단에 관한 콜버그 모형은 대체로 피아제 인지발달 이론에 근거.

- 콜버그는 인지발달은 예측 가능하고 고정된 과정으로 진행된다는 사실을 시사하는 피아제 이론의 영감을 받음.

- 콜버그는 도덕 발달에서도 예측 가능하고 고정된 과정으로 진행되는지 연구.


- 콜버그는 실험 참가자들에게 가상적인 딜레마를 제시하고, 그 딜레마에 반응하도록 요구.

- 그는 반응의 내용과 더불어 그 반응 이면의 추리에 더 많은 관심이 있었음.


- 가장 유명한 콜버그 딜레마는 하인츠 이야기.


하인츠의 이야기


- 한 여인이 특수한 유형의 암으로 사망 직전에 놓여 있음. 의사들이 생각하기에 그녀를 살릴지도 모르는 약이 하나 있음.

- 이 약은 그 도시의 한 약제사가 최근에 발견한 라듐의 형태를 취한 것.

- 이 약은 제조 비용이 많이 들고, 약제사는 제조 비용의 열 배를 요구.

- 약제사는 라듐을 구입하는 데 200달러를 사용했고, 소량의 약에 2000달러를 요구.

- 죽음을 앞둔 여인의 남편인 하인츠는 돈을 빌리기 위해 아는 사람을 모두 찾아갔으나, 약 가격의 절반인 1000달러 정도만을 마련.

- 하인츠는 약제사에게 자신의 부인이 죽어가고 있다고 말하고는 그 약을 싸게 팔거나 나중에 나머지를 갚을 수 있게 해달라고 간청.

- 그러나 약제사는 '안 됩니다. 내가 약을 발견했고, 그 약으로 돈을 벌어야 합니다'라고 딱 잘라 말하며 거절.

- 낙담한 하인츠는 약제사의 가게에 몰래 침입해 부인을 위한 약을 훔침.


- 하인츠는 부인을 위해 가게에 침입해 약을 훔쳤어야만 했는가?

- 만약 그렇다면, 또는 그렇지 않다면 그 이유는 무엇인가?


- 위와 같은 딜레마에 대한 참가자들의 반응에 근거해 콜버그는 도덕 발달의 단계 이론 제안.


- 콜버그의 도덕 발달 이론은 도덕 추리 기술이 발달하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보편적 단계를 제안.

- 콜버그는 세 가지 보편적 단계 각각을 다시 두 수준으로 분할해서 모두 6개의 하위 단계를 제안.


1단계 : 전인습적 도덕성 preconventional morality

- 처블을 피하고 보상을 얻기 위해 규칙을 따름.

- 이 수준의 도덕성에 해당하는 사람은 훔치는 것을 나쁘다고 비난.

- 도둑은 잡혀서 교도소에 가거나 다른 방식으로 처벌을 받기 때문.

- 정당성의 초점이 행위와 관련된 처벌 또는 보상에 맞추어져 있음.


2단계 : 인습적 도덕성 conventional morality

- 타인의 승인으로 정의하는 규칙이나 그 사회의 규칙에 동조.

- 이 수준의 도덕성에 해당하는 사람도 훔치는 것을 잘못된 것이라 판단하나, 이유는 그 행도이 법에 위배되고 다른 사회구성원들이 일반적으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


3단계 : 후인습적 도덕성 postconventional morality

- 개인적 원리와 양심에 근거한 도덕 추리를 수반.

- 이 수준의 도덕성에 해당하는 사람은 훔치기를 사회적 요구의 맥락이나 자신의 도덕 신념과 가치라는 맥락에서 판단.

- 이것은 사회적 요구를 지각하는 것을 뛰어넘는 것.


- 길리건은 콜버그 단계들이 여성들에게는 불리하도록 남성들이 관계를 바라다보는 특정한 방식으로 편향되어 있다고 제안함으로써 그의 이론에 도전해 왔음.

- 그녀는 남성의 도덕 추리가 추상적 정의에 근거하는 반면, 여성의 도덕 추리는 의무와 책임에 근거하고 있다고 주장.

- 이러한 두 가지 유형의 도덕 추리를 '정의의 도덕성' morality of justice 대 '돌봄의 도덕성' morality of caring 이라고 부름.

- 그러나 뜨거운 논쟁에도 불구하고 연구들을 개관한 결과, 도덕 추리에 성차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음.

- 도덕 추리에서 남성과 여성 간의 차이는 교육이나 직업 또는 논쟁을 벌이고 있는 논제의 유형과 같은 다른 변인들로 설명 가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