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문화심리학

문화심리학 - 안정 애착과 보편적인 이상향 판단 문제

좀좀이 2019. 1. 25. 04:02
728x90

문화심리학 - 안정 애착과 보편적인 이상향 판단 문제


- 미국에서는 안정 애착을 이상적인 것으로 간주.

- 에인스워스와 동료들이 이 유형의 애착을 기술하기 위해 선택한 바로 이 용어 그리고 반대 유형을 기술하기 위해 사용한 부정적 용어가 이러한 기저 편향을 반영.

- 그러나 몇몇 연구는 문화들이 '이상적' 애착의 의미에서 차이를 보인다고 제안.


- 독일 북부 지방 어머니들은 이른 독립성에 가치를 부여하고 조장하며 '안정적으로' 애착하는 아동을 '버릇없는' 아동으로 간주.


- 전통적인 일본 가정에서 성장하는 아동들은 높은 비율의 양가성 애착을 보이며 실질적으로 회피형은 없다는 특징을 나타냄.

- 전통적인 일본 어머니들은 자녀를 홀로 놓아두는 경우가 거의 없고, 아동에게 강력한 의존감을 조장.

- 이러한 의존성은 가족 충성심이라는 전통적인 문화 이상향을 나타냄.

- 낯선 상황에서와 같이 아주 짧은 시간동안이라도 격리시키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것이기 때문에, 이 상황에서 아동의 행동은 불안정하게 애착하는 것으로 기록될 가능성이 큼.


- 애착 연구자들은 애착 관계를 기술함에 있어 '안정'과 '불안정' 처럼 가치를 담고 있는 용어의 사용을 금지해야 한다고 제안해왔음.

- 대신 애착 관계를 특정 맥락에 '적응적'이거나 '부적응적'인 것으로 기술하는 것이 더 유용하다고 제안 -> 이 용어는 문화들이 문화에 적합한 애착 전략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 것인지를 고려한 것.


- 애착의 비교문화 연구가 비판받아오기는 했으나, 여전히 애착 관계에 대한 상당한 관심이 존재.

- 한 가지 중요한 이유는 아동기의 애착 관계가 청년기와 성인기에 이르기까지 장기적인 효과를 가지고 있기 때문.

- 독일, 이스라엘, 영국, 미국에서 수행한 매우 중요한 종단적 연구들은 초기 애착 관계가 또래 관계의 자질, 긴밀한 성인 관계를 만드는 능력, 자녀를 양육하는 방법 등과 관련된다는 사실을 시사.

- 이 연구들은 초기 애착 관계와 후기 발달 간에 복잡한 관계가 존재한다는 사실도 보여줌 -> 후기 발달은 아동의 기질과 성격, 양육 환경의 안정성과 특성, 삶의 사건들, 아동기에 걸친 대인관계의 자질 등에 의존.


- 상이한 문화에 걸쳐 애착을 다룬 방대한 연구문헌들은 유아와 보호자 간의 애착이 보편적 현상임을 시사.

- 문화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 것은 안정 애착이나 불안정 애착의 지표가 되는 유아의 특정한 애착 행동, 그리고 안정 애착과 불안정 애착을 형성하는 양육 관습.

- 애착 연구자들은 '적응성'과 '부적응성'이라는 렌즈를 통해 애착을 조망하는 것이 '안정'과 '불안정'이라는 평가적 용어를 사용하는 것보다 더 유용할 수 있다고 주장.

- '적응적' 애착이란 특정한 문화 맥락 속에서 아동에게 안전함의 수준을 최대로 만족시키는 관계를 지칭. -> 이렇게 되면 연구자들은 유아와 보호자 간의 '최적' 관계를 상이한 문화에서 상황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정의 가능해짐.


- 다른 문화에서의 애착 패턴, 문화 환경, 유아 기질, 애착 유형 간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아직 많은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음.

- 애착의 자질과 애착이 발생하는 과정에 관한 생각은 각 문화의 조망에서 이루어지는 정성적 판단.

- 한 문화에서 최적 애착 유형으로 간주되는 것이 모든 문화에 걸쳐 반드시 최적일 수는 없음.

- 게다가 많은 문화에서는 부모 이외의 양육이 보편적이기 때문에 전통적으로 행해왔던 방식대로 부모와 자녀라는 양자 관계에만 초점을 맞추는 대신 애착 '네트워크'를 살펴보는 것이 결정적 중요성을 가짐.


- 기질과 애착 관계에 관해 지금까지 소개한 정보들은 전 세계에 걸쳐 문화화가 발생하는 많은 방법 중 지극히 소수만을 다루고 있음.

- 아동은 생물학적 소인이나 기질에서 차이를 가지고 태어날 수 있으며, 그러한 소인이나 기질은 사회화와 문화화를 통해 일어나는 문화 학습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해주기도 함.

- 애착의 차이는 아동이 특정 문화가 추구하는 발달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해주는 학습의 발판이 됨.

- 따라서 태어날 때 가지고 있는 기질 특성, 그 기질 스타일에 대한 보호자의 반응, 보호자와 함께 발전시키는 애착 관계 모두가 자신의 문화를 획득하는 것에 있어 중요한 역할 수행.

- 아동의 기질, 보호자와의 애착 관계, 광의적 환경 (바람직한 기질과 애착 관계에 대한 문화적 기대 등) 간의 밀접한 상호 작용이 아동의 발달에 영항을 끼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