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문화심리학

문화심리학 - 문화에 따른 양육 스타일 차이 및 권위주의적 부모에 대한 논의

좀좀이 2018. 10. 7. 06:00
728x90

문화심리학 - 문화에 따른 양육 스타일 차이 및 권위주의적 부모에 대한 논의


- 양육 스타일은 육아의 또 다른 중요한 차원.

- 바움린드 : 세 가지 보편적 양육 패턴 확인.

01. 권위주의적 부모 authoritarian parents : 무조건적 복종을 요구. 자녀를 통제가 필요한 존재로 간주. 자녀를 향한 온화함과 반응성이 낮은 부모로 묘사되어오기도 함.

02. 허용적 부모 permissive parents : 자녀에게 따뜻하고 애정을 보임. 그러나 자녀가 스스로 자신의 삶을 관리하도록 허용. 엄격한 지침을 거의 제공하지 않음.

03. 권위적 부모 authritative parents : 자녀의 성숙을 예의주시하며 엄격하고 공정하며 합리적. 자녀에게 상당한 온화함과 애정 표현.

- 매코비와 마틴은 '방임적'이라 부르는 네 번째 유형의 양육 스타일 확인.

04. 방임적 부모 uninvolved parents : 흔히 자신의 삶에 지나치게 몰두해 자녀에게 적절하게 반응하지 못하며 무관심한 것처럼 보임. 자녀의 생리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에 필요한 최소한의 노력 외에는 육아에 관여하지 않는 것처럼 보임. 이러한 양육 형태의 극단적 형태가 태만.

- 양육 스타일이 중요한 까닭은 가정이라는 맥락의 분위기를 만들기 때문.


- 일반적으로 미국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는 권위적 양육 스타일에서 아동이 가장 많은 도움을 받는다는 사실을 지적.

- 다른 양육 스타일의 아동과 비교할 때, 권위적 부모의 아동은 보다 긍정적인 기분, 홀로서기, 자신감, 높은 정서적 기술과 사회적 기술, 보호자를 향한 안정 애착을 나타냄.

- 권위적 양육 스타일이 심리적으로 건강하고, 유능하며 독립적이어서 사회 상황에서 협조적이고 편안함을 느끼는 아동을 키워내는 것으로 보임.

- 이와 대조적으로 권위주의적 부모의 아동은 더 불안하고 철회적이고, 자발성과 지적 호기심이 결여된 것으로 보임.

- 허용적 부모의 아동은 미숙한 경향이 있음. 자신의 충동을 통제하고 독립적으로 행동하는 데 어려움을 겪음.

- 방임적 부모의 아동이 최악의 경우. 유순하지 못하고 터무니없는 것을 요구.


- 그러나 바움린드의 양육 스타일은 원래 유럽계 미국인 표본을 관찰한 것에 근거하고 있기 때문에 다른 연구자들은 권위적 양육의 이점이 특정한 민족 집단이나 문화 집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주장.

- 유럽계 미국인, 아프리카계 미국인, 아시아계 미국인, 히스패닉계 미국인에 속한 수천 명의 미국 청소년들을 비교한 연구에서는 권위적 양육이 유럽계 미국인, 아프리카계 미국인, 히스패닉계 미국인 청소년들의 고등학교 성적을 예언하나, 아시아계 미국인의 성적은 예언하지 못한다는 사실을 발견.

- 이 결과는 연구자로 하여금 권위적 양육이 모든 민족 집단에게 있어서 긍정적 결과를 일관성 있게 예언하지 못할 수 있다는 주장을 만들었음.


- 지난 10년에 걸쳐 믹구에서 얻은 결과들은 바움린드의 연구에서 도출한 양육 방식의 분류를 사용한 비교문화 연구로 확장되어 왔음.

- 여덟 가지 아랍 사회에서 거의 3000명의 아랍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수행한 연구는 권위적 양육이 보다 높은 가족 연계성과 청소년들의 정신건강과 관련되어 있다는 사실을 보여줌.

- 중국 아동 연구와 타이완 청소년 연구는 아동이 학교와 사회에서 적응하는 것과 권위적 양육은 정적인 관계를 가지며 권위주의적 양육은 부적 관계를 갖는다는 결과를 보여줌.

- 이 결과 권위적 양육의 긍정적 효과가 다양한 문화 배경의 아동들에게 있어 덜 현저할 수 있다는 스타인버그의 주장과 일치하지 않음.

- 권위적 양육 스타일이 모든 아동에게 최적이라고 결론내리기에 앞서 이러한 야육 스타일을 다루는 후속 비교문화 연구들이 여전히 필요.


- 바움린드의 양육 스타일이 다른 문화에서의 양육 방식을 적절히 반영하지 못할 수 있다는 비판에 근거해, 여러 연구자들은 한 문화에 토착적인 양육 스타일을 확인해내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왔음.

- 바움린드의 분류에 의하면, 중국 부모들은 흔히 권위주의적인 부모로 기술되어 왔음.

-> 그러나 중국 부모에게 있어서는 이러한 양육 스타일의 중요성과 의미가 유럽계 미국인들의 문화신념 시스템과는 현저하게 다른 일련의 문화신념에서 유래한 것일 수 있음.

-> 유교 철학에 근거할 때, 중국의 양육방식은 육아에서의 '훈육'이라는 개념으로 특징지을 수 있음.

-> 훈육은 자녀의 복종과 규율, 가족의 책무에 대한 충실성을 조장하기 위한 매우 철저한 부모의 지도 강조.

- 유럽계 미국인 부모에게 있어서 이런 유형의 양육은 지나친 통제와 권위주의적인 것으로 비칠 수 있음.

- 중국 부모에게 있어서 이러한 유형의 양육은 문화적으로 적절한 것이며 자녀에 대한 사랑과 관심을 반영하는 것.

- 차오 : 바룸린드의 양육 스타일에서는 고려하지 않고 있는 이러한 훈육이라는 측면이 중국 아동 발달을 이해하는 것에 더 유용할 수 있다고 주장.


- 중국의 양육방식에 관한 차오의 연구에 자극받은 연구자들은 권위주의적 양육이 실제로 집단주의 문화에서는 아동의 긍정적 적응을 북돋울 수 있다는 가설을 세움.

- 그러나 바움린드의 양육 스타일 분류를 적용한 비교문화 연구들을 개완한 연구는 일반적으로 권위주의적 양육이 이집트, 중국, 인도, 터키 같이 다양한 문화에서 부정적인 심리적 적응과 관련되어 있다고 결론내리고 있음.

- 개인주의 문화 및 집단주의 문화의 아동과 청소년들이 부모를 정이 없고 일방적 통제를 가하는 존재로 지각할 때, 긍정적이기보다는 바람직하지 않고 악의적인 것으로 여긴다는 증거가 있음.

- 권위주의적 부모에 대한 이와 깉은 부정적인 지각은 가족의 화합이 낮고 갈등이 높다는 사실도 예언함.

- 반면 권위적 양육은 홍콩, 중국, 파키스탄 같은 여러 문화에 걸쳐 일관성 있게 긍정적 결과 (우수한 성적, 또래들의 긍정적 평가, 홀로 서기 등)과 관련있으며, 부정적 결과와는 관련되지 않음.


- 문화가 이러한 양육 스타일들을 어떻게 표현하는 것인지를 확인해내기 위해, 그리고 어떤 양육스타일이 '최적'인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한 문화에서 토착적인 양육스타일을 확인해내는 후속 연구들 필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