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도시지리학

도시지리학 - 여성 및 동성애 도시 경관

좀좀이 2018. 4. 23. 08:20
728x90

도시지리학 - 여성 및 동성애와 도시의 관계


- 도시의 사회 지리에 대한 중요한 시각 중 하나는 특히 사회 분야의 주요 축 (인종, 성, 성적 취향 등)과 관련된 것.

- 포스트모더니즘과 같이 문화의 중요성을 존중.

- 최근의 많은 연구들은 사회적 정체성 identity 의 문제를 우선적으로 다루고 있고, 어떤 상황에서는 사회-공간적 변증법 socio-spatial dialectic 개념에 기반을 두고 있음.

- 사회-공간적 변증법은 공간의 설정과 사회적 정체성 사이의 선후 및 동시적 관계를 사고하는 방식.

- 성 정체성의 발달은 도시의 공간구조를 반영한다고 말할 수 있고, 동시에 성 정체성이 도시의 공간구조에 영향을 준다고 말할 수 있음.

- 최근 많은 학자들은 점차 성, 인종, 성적 취향 또는 다른 차원이든 정체성이 영구적이거나 안정적인 사고라는 것을 거북해하고 있고, 일부 학자들은 대신 사회적 차이 social difference가 만들어지는 과정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고 주장.

- 이러한 관점에서 차이는 생물학적으로 결정되기보다는 사회적으로 구성되며, 변할 수 있고, 다차원적임.

- 사회적 차이가 만들어지고 경험되는 다차원을 때로는 상호교차성 intersectionality 라 부름.


여성과 도시


- 도시사회 공간에 대한 고전 모형들은 도시 사회 공간과 도시에서, 그리고 도시의 여성 정체성 및 경험과의 고나련성을 고려하지 않았음.

- 역사적으로 가장 중요한 도시사화 공간의 특성은 거주지로부터의 직장 분리.

- 직장과 주거지의 분리는 산업화 이전의 모더니즘 시기 동안 시작되어 자본주의 생산의 산업화의 일부로 강화.

- 가부장적인 사회적 관계를 반영하는 공간은 성 역할의 관점에서 문화적으로 이해되었음.

- 공적 공간은 노동과 상업의 영역이었고 임금 경제에서 가정 밖에서 일하는 남성의 영역.

- 가정은 사적 공간으로, 임금 보상을 받지 않는 가사노동을 하는 여성의 영역.

- 이러한 지나치게 단순한 이분법은 여러 스케일에서 지리적 공간과 연결됨.

- 르네상스 시대 유럽에서 도시를 나성으로, 시골을 여성으로 보았음.

- 산업화는 공장, 창고, 교통시설을 포함한 생산에 필요한 대규모의 새로운 도시 구역을 필요로 하면서 이러한 공간적 연결을 심화시켰고 재배열함.

- 이러한 공간은 남성의 공적 영역의 일부가 됨.

- 비노동 계급을 위한 주택이 새로운 교외 지구에 형성되면서 점차 생산 및 상업 공간으로부터 분리됨.

- 따라서 사적인 여성 공간은 도시 내에서 교외지역과 연관되고, 공적인 남성 공간 정체서이이 도시의 다운타운과 자본주의 생산 현장에 지속적으로 부여됨.

- 공적인 남성 도시 대 사적인 여성 교외라는 지나치게 단순한 이원론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문화적 힘을 갖고 있어서 도시 공간에 대한 견해와 정치에 반영되어 있음.


- 이러한 지나치게 단순한 이원론은 여성이 도시에서 살아가는 삶의 보잡성을 적절하게 반영할 수 없음.

- 19세기 동안 산업화가 진전되면서, 대량생산은 증가하는 중산층이 점점 더 많은 소비제품을 보다 알맞은 가격으로 소비할 수 있게 만듦.

- 성 역할이 반영된 가구의 노동 분업이 심화되면서, 여성은 가정을 돌보는 데 일차적인 역할을 하도록 기대되었고, 점차 여성이 가정 경제를 관리하고 생활용품을 구입하는 것을 책임질 것을 요구.

- 대량생산된 제품의 유통을 필요로 하는 배고하점과 다른 소매 공간은 다운타운에 위치해 있었고, 이는 여성이 교외의 사적인 여성 공간으로부터 다운타운의 공적인 남성 공간으로 이동할 것을 요구.

- 이러한 일상의 이동성은 사회적 불안 초래. 어떻게 언제 여성이 도시 공간을 '적절히' 지나갈 수 있는지를 조절하는 것에 많은 노력을 기울임.


- 지난 50~60년 동안 여성은 노동현장에서 그들의 존재 가치를 크게 확장.

- 그러나 가정에서 가부장적인 노동의 분업은 여성이 일을 하면서도 대부분의 가사 업무를 담당할 것을 지속적으로 요구중.

- 이러한 이중 책무는 여러 가지 중요한 방식으로 도시 공간과 상호작용.

- 공간적 구속 spatial entrapment 논제는 여성의 이중 책무에 부응하기 위해 여성은 경력을 희생시켜야 한다고 주장.

- 가사업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직장은 집 가까이에 위치해야 하고, 때로는 유연적 또는 임시직 노동을 해야 함.

- 많은 여성은 결국 상대적으로 저임금을 받고 승진 기회가 적은 전형적으로 '여성의 일' (간호사, 교사, 사무 업무 등)로 알려진 일에 종사할 수 밖에 없음.

- 이와 관련된 중요한 경향의 하나는 대기업의 경우 가깝고 유연한 일자리를 찾는 공간적으로 구속된 교육을 받은 교외 여성 노동력 풀을 활용하기 위해 사무 및 고객들을 직접 상대하지 않는 기능을 교외에 입지시킨다는 점.


- 핸슨과 프랫 Hanson and Pratt 은 여기에서 제시된 공간적 구속 논제는 다른 이유로 너무 지나치게 단순하다고 주장.

- 이들은 노동의 지리가 도시 공간에 따라 변하는 다양한 방법 강조.

- 특히 여성은 매우 국지화된 규범과 가치에 대응해 그들의 노동력을 제공하고, 고용주들은 이러한 맥락적 변이에 매우 민감.

- 계급도 중요해서 노동자 계급 여성은 가사 업무를 돌보는 것에 임금 노동력을 활용할 수 있는 중상류층 여성보다 더 큰 공간적 구속 경험.


- 헤이든 Dolores Hayden : 공적 남성 공간 대 사적 여성 공간의 구분을 벗어나 한 세대용 주택에 초점을 둔 도시 공간에 대한 매우 사유화된 디자인 비판.

- 이러한 유형의 주택은 이중 책무를 떠안은 여성들이 이라흔 것에 제 기능을 하지 못하기 때문.

- 한 세대용 주택에서 사생활에 대한 강조는 겉으로 보기에는 가정의 여성다움에 대한 사적 영역을 강조하는 것처럼 보이나, 가사 노동을 훨씬 더 유연하게 만들 수 있는 공동 주택과 같은 지역사회 자원으로부터 가정을 고립시켜 불필요한 가사 노동을 하도록 여성에게 부담을 지움.

- 근본적으로 일하는 여성 - 특히 전형적이지 않은 가구 (독신 여성, 미혼모, 과부 등)를 구성하는 여성의 요구를 바탕으로 주택 디자인과 도시 디자인에 대한 여러 대안 모형들을 제시.


성적 취향과 도시


- 역사학자들 및 다른 학자들은 규범적인 이성애와 반대되는 독특한 정체성으로의 동성애가 언제부터 사회적으로 인식되기 시작했는지 그 시점에 대해 의견 일치를 보이지 않음.

- 어떤 학자들은 남성 사이의 성관계는 공적이었고, 많은 고대 도시들에서 삶의 일부로 받아들여졌다고 주장.

- 다른 학자들은 규범적인 이성애적 정체성과 대비되는 것으로 이해되는 독특한 동성애적 사회적 정체성은 자본주의가 사회적 재생산의 장소를 핵가족으로 고정시킴으로써 19세기 중반 산업주의 동안 서서히 형성되었다고 주장.

- 대부분의 학자들은 공적인 사회적 정체성이 20세기 초반 도시에서 공간적 형태를 띠기 시작했다는 것에 동의.

- 시작부터 도시는 촌락이나 소규모 도시보다는 규모, 다양성, 익명성 때문에 동성애적 화동을 위한 장소로 매력적이었음.

- 도시 내에서 게이 남성은 성적 대상자를 찾고 만나기 위해 점차 공공 혹은 半공공 공간 활용 시작.

- 항상 경찰이나 원치 않는 대중의 주시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었으나, 공원, 대중목욕탕, 공중화장실 등이 게이들이 어울려 노는 공간으로 알려지게 됨.

- 동성애적 활동이 대부분의 서구 사회에서 1960년대까지, 그리고 그 이후에도 여전히 불법으로 간주되면서 이미 성적 관용이 허용되는 도시 구역에 위치한 술집과 사교클럽 등에서 보다 영구적인 공간이 형성됨.


- 동성애에 대한 사회적 관용의 증대와 1969년 그리니치빌리지에서 발생한 스톤월 폭동 이후 능동적인 게이 인권 운동의 출현으로 1960년대 게이 남성을 위한 공간은 극적으로 변화.

- 그 결과 중 하나는 공중화장실과 비밀 술집 같은 일시적이고 은밀한 공간에서 미국의 여러 대도시들에 존재하고 있는 확연한 주거 군집으로의 변화.

- 레빈 Martin Levine : 게이 게토 gay ghetto 라는 용어를 대중화시킴.

- 게이 남성은 종종 젠트리피케이션과 연관됨.

- 지나치게 단순하나 부분적으로 정확한 주장은, 게이 남성은 자녀를 양육하는 재정적 부담을 지지 않았기 때문에, 심지어 이성애적 남성보다 보수가 적음에도 불구하고 더 많은 가처분 소득을 누림.

- 도시의 상대적 관대함과 익명성을 추구하면서, 게이 남성들은 수십 년 동안 쇠퇴에 시달렸으나 도시의 직업 기회와 생활 편의시설에 근접해 있다는 사실이 무시되었던 시내 근린지역에서 선구자가 될 수 있는 유리한 입장에 있었음.

- 게이 남성들은 주변부적인 근린지역의 부동산에 투자함으로써 그들의 생활 방식과 금융 재워을 향상시킬 수 있었음.

- 자기 노동을 들인 개보수는 젠트리피케이션 과정의 시작.

- 모든 젠트리피케이션이 남성 게이의 집중과 연관된 것은 아니나, 최초 그리고 가시적 사례 중 몇몇은 분명히 남성 게이와 관련되어 있음.


- 놉 Lawrence Knopp : 동성애적 도시 공간의 발달에 대해 광범위하게 기술.

- 놉의 영향력 있는 주장 중 하나는 게이의 사회적 정체성을 확립하고 방어하는 것에 기여할 수 있는 게이 영역을 형성하는 전략으로 게이 남성들이 도시의 특정 근린지역으로 모여든자는 것.

- 도시들 사이에 구체적인 목표와 방법이 상당히 다르나 이러한 게이 근린지역들 또한 경제적, 정치적 힘을 향상시키기 위한 영역적 기반 제공.


- 포리스트 Benjamin Forest : 웨스트할리우드시를 설립하고자 한 성공적인 노력을 분석해 보다 광범위한 스케일에서 동성애적 도시 공간 발달 연구 수행.

- 지역의 게이 커뮤니티의 강력한 지원을 통해 이 지역은 게이가 다수를 이루는 최초의 게이 도시가 됨.

- 포리스트는 시 설립 투표에서 승리하고자 하는 노력에서 웨스트할리우드의 장소 정체성에 기초한 게이의 사회적 정체성이 갖는 상징적 특성에 초점을 맞춤.

- 이러한 상징적 특성은 다시 게이가 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내러티브를 확고히 함.

- 포리스트는 이러한 게이의 사회/장소 정체성을 구성하는 일곱 가지 요소 - 창조성, 미적 감수성, 위락 또는 소비 지향, 진보성, 책임감, 성숙함, 집중성 확인.


- 도시 공간과 성적 취향에 대한 대부분의 출간된 연구들은 레즈비언보다는 게이 남성에 초점을 둠.

- 일부 연구자들은 레즈비언은 가시적으로 '레즈비언 근린지역'에 모이는 경향이 덜한데, 이는 부분적으로 영역을 지배하고자 하는 남성의 타고난 갈망에 기인한다고 주장. 그러나 이는 성역할을 반영한 고정관념을 만들어 내는 지나치게 단순한 관점.


- 게이 공간을 지도화하고자 하는 지속적인 관심이 있는 반면, 최근의 연구들은 이러한 접근을 다음 이유를 들어 비판.

01. 지도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에 진짜 문제가 있음. 센서스 데이터는 동성 파트너로 이루어진 가구를 포착하는 반면, 게이와 레즈비언은 다양한 유형의 가구에서 살고 있음. 더욱 많은 게이 남성과 레즈비언은 고의적으로 그들의 성적 정체성을 숨김.

02. 게이 공간을 지도화했을지라도 해당 근린지역에서는 게이가 아닌 다수의 사람들이 거주중이고, 동시에 많은 게이와 레즈비언이 도시의 다른 공간에서 거주.

03. 게이 공간에 대한 초점은 도시에 있는 모든 공간이 성적 정체성을 갖는다는 보다 기본적인 사실을 감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