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도시지리학

도시지리학 - 도시 공간 구조 모형 - 동심원 모형, 부채꼴 모형, 다핵심 모형

좀좀이 2018. 4. 22. 15:04
728x90

도시지리학 - 도시 공간 구조 모형 - 동심원 모형, 부채꼴 모형, 다핵심 모형


버제스의 동심원 모형 concentric zone model


- 침입과 천이 과정을 통해 형성된 도시의 공간적 패턴을 가상적인 형태인 동심원 모형으로 기술.

- 20세기 초반 산업 도시의 사회적 질서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를 포착하고 있음.

- 시카고학파의 가장 중요한 공헌은 아니지만, 가장 널리 기억되고 있음.

- 산업 부문이 도시 중심 업무 지구 바로 밖에 위치헉ㅎ 오래된 주거 지역으로 확장중.

- 주거/산업 혼합 지역은 대부분의 유럽 이민자들이 처음 정착했던 지역으로, 침입과 천이의 연속적인 라운드를 유발.

- 입찰-지대 이론과 동심원 이론 모두 도시를 구성하는 동심원을 갖고 있음.

- 입찰-지대 이론과 동심원 이론은 모두 어떤 점에서는 경쟁의 개념, 입찰-지대 이론에서는 토지 사용자 사이의 경쟁, 생태학적 접근에서는 사회 집단 사이의 경쟁에 기초.

- 그러나 경쟁 대상과 형태는 상당히 다름.

- 입찰-지대 이론에서 경쟁 대상은 이윤 또는 효용성에 기여하는 도시 토지의 공간적 특성. 이러한 경쟁은 신고전 경제 원리에 따라 작동하는 '자유' 토지 시장에서 개인들 사이에 발생.

- 생태학 이론에서는 집단 사이의 사회적 거리를 유지하는 것에 요구되는 도시 공간에 대한 통제를 둘러싸고 경쟁 발생. 이러한 경쟁은 경제적인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것.

- 입찰-지대 이론과 동심원 이론 모두 사회를 형성하는 정치, 구너력 및 다른 힘을 인정하지 않는 다소 단순한 인간 행동 개념에 의존.

- 입찰-지대 이론과 동심원 이론 모두 늘어나는 도시 내 교통체계의 영향을 설명하는 것에 실패했고, 도시 경제 논리의 근본적인 변화를 설명하는 것도 실패.

- 두 이론을 통해 예측된 사회적, 공간적 패턴은 매우 유사하고 둘 사이의 지적 연계가 거의 없이 약 50년의 시간을 두고 두 이론이 제시되었으나 서로의 관계를 사고하는 데 여전히 유용.


호이트의 부채꼴 모형 Hoyt sector model


- 호이트 Homer Hoyt 는 도시 토지 시장에서 다양한 경험적 연구를 수행했고, 도시 공간구조에 대한 대안적인 모형이 된 호이트의 부채꼴 모형 이론 제안.

- 기본 개념 : 어떻게 도시가 성장하는지에 대한 호이트의 관찰에 기초.

- 때로 도시가 성장하면서 가장 높은 소득 집단은 새로운 근린 지역에 있는 새로운 주택으로 이주.

- 이러한 근린 지역은 종종 도시의 주변부에서 교통로를 따라 위치.

- 다르 ㄴ경우 이러한 근린지역은 하안 절벽, 구릉 정상처럼 눈에 잘 띄는 경관 특성을 갖거나, 공원이나 대학 같은 중요한 랜드마크와 근접해 아름다운 경관을 제공.

- 고소득 집단이 새로운 주택으로 이주하면서, 다른 가구가 그들의 오래된 주택을 이용할 수 있게 됨.

- 호이트는 종종 낮은 경제적 지위를 갖는 가족이 상류층이 밖으로 이동하면서 생긴 주택을 순차적으로 점유하는 하향식 과정을 기술.

- 호이트는 사람들은 종종 주요 교통로를 따라 현재 살고 있는 곳으로부터 가까운 지역에서 새로운 주택을 찾는다는 것을 인식.

- 이는 구역적 팽창보다는 방사성의 팽창을 가져오고 결과적으로 동심원 패턴보다는 부채꼴 패턴이 나타나게 됨.

- 생태학적 접근에서 중심이 되는 사회적 역동성의 일부가 분명히 호이트 모형에 포함되어 있음.

- 두 모형 모두에서 고소득 지구는 중간 소득 지구에 의해 저소득 지구와 분리되어 있음.

- 호이트의 부채꼴 모형은 인종과 민족의 군집을 분명히 다루지 않음.

- 또한 이 모형은 단일한 주요 상업 핵을 갖는 도시에 기초.


해리스와 울먼의 다핵심 모형 multiple nuclei model


- 동심원 모형과 부채꼴 모형에서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단일한 중심업무지구의 개념 대신 토지 가치와 주위의 토지 이용을 형성한 다수의 중심지 또는 '결절'로 발달.

- 이 모형에서 결절은 모두 동일한 기능을 갖는 것이 아님.

- 어떤 결절은 상업구역이고, 어떤 것은 병원과 대학 같은 중요한 기관.

- 그렇지만 다수의 결절 모두는 그 주변 지역에 상당한 영향을 주게 되고 도시의 공간구조를 근본적으로 변화시킴.

- 1950년 이전의 많은 도시 지역이 단일한 지배적인 중심지를 가지면서 동심원과 부채꼴 모형을 닮기는 했지만, 20세기 후반부를 지나면서 도시들은 점차 공간적으로 복잡하게 성장.

- 해리스와 울먼의 관찰은 궁극적으로 20세기 후반과 21세기 초반 도시가 어떻게 보일 것인지에 대한 훨씬 더 정교한 기술이었음을 증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