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관련 학문/관광지리학

관광지리학 - 도시 관광객

좀좀이 2018. 1. 26. 20:58
728x90

관광지리학 - 도시 관광객


- 모든 관광객과 방문객은 경치나 관광 자원에 대한 확실한 기대를 갖고 도시에 접근.

- 이 기대는 특정 도시의 이미지를 만드는 사회적 경험과 정보에 의해 형성되며, 방문객 유형에 따라 달라짐.


- 방문객의 유형과 동기를 밝히는 것에서는 방문객을 의미있게 분류하는 것이 중심 과제.

- 얀선 버베크 : 도시 관광객은 도시의 배후지 밖에 위치하는 '그들의 거주지역'과 '그들의 방문동기'라는 두 가지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다고 발표.

- 얀선 버베크의 관점에 의하면, 관광객은 해당 도시가 아닌 지역에서 온 사람들이기 때문에 여행 기간을 기준으로 구별.

- 얀선 버베크의 방법은 쉬운 접근법이기 때문에 도시 행정 당국이 도시 방문객의 행태를 조사할 때 자주 사용.

- 흔히 설문 조사를 통해 방문객의 동기를 밝힘.


- 연구는 대부분 국가를 중심으로 한 조사 자료와 함께 방문객 목적을 일반적으로 제시.

- 이 관점에서 실시한 조사 결과를 보면 관광객이 서로 다른 도시를 다양하게 방문하고 있음을 강조.

- 관광객은 도시 관광객의 일부.

- 개별 도시 차원의 자세한 연구물도 많음 -> 이 연구들은 관광객과 도시 방문객의 서로 다른 동기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고자 함.

- 얀선 버베크는 네덜란드에서 관광객과 일일 방문객의 동기 차이를 분석한 연구에서 관광객은 '하루의 여유'나 '유람'이 목적이고, 일일 방문객은 '쇼핑'이나 '외식'과 관계있다고 발표. 단, 도시마다 약간의 차이는 존재.


- 오늘날 도시 관광에 관한 지식은 대부분 관광 시설물과 그 입지 분포에 관한 연구에서 비롯된 것.

- 그러나 관광 도시의 많은 요소는 관광객 행태에 관한 자세한 연구 안에서 제대로 이해 가능.

- 두 가지 주요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음.

01. 방문객의 동기와 방문객이 실제 사용하는 시설물이 얼마나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가?

02. 방문객은 '중앙관광지구'를 형성할 다양한 결절지와 도로를 어떻게 이용하고 있는가?

- 이 두 가지 주요 논점들 모두 도시 관광 연구 분야에서 자세히 수행된 바가 없음.

- 단, 몇몇 연구에서 여행이란 다기능적 특성이 있고, 도시의 특정 시설에 매료되어 찾아온 방문객은 반드시 다른 시설도 많이 이용한다는 공통적 요점이 있음.


- 지리학자는 도시 관광이 점유하는 공간을 거의 연구 대상으로 삼지 않으나, 도시 관광과 그 활동 공간의 기능적 연계로 인해 독특한 공간 유형이 도출됨.

- 단체 관광객은 좀 더 집중된 공간에서 활동, 개별 여행자는 비교적 분산된 지역에서 활동.

- 관광객 활동공간을 좀 더 세밀하고 정확하게 조사하는 방법은 방문객에게 어떤 도시 시설물을 어떤 순서로 이용했는지 질문하는 것.

-> 이렇게 하면 공간적 틀 안에서 기능적 연결 가능.

- 플리머스에서 도시 방문객이 소매 상가 지역에서 쇼핑하기 전에는 어떤 관광 자원을 방문했는지, 쇼핑 후에 어떤 관광 시설물을 이용할 것인지를 조사한 결과, 역사 유적지, 주요 관광지역, 도심 소매 상점 지역이 긴밀하게 연계되어 있었음.

- 플리머스에서 제시된 연구는 도시의 중앙관광지역을 포함하는 결절지역과 관광객 이동로의 상세한 부분까지 보여줌.

- 대도시 관광 환경에서, 관광객의 활동 공간 - 관광 경로와 집결 지점은 확실히 더욱 복잡함. 서로 경쟁하는 관광 자원과 무료로 제공되는 관광 자원의 범위가 다양하기 때문.

- 도시 관광객의 행태는 복잡함.

- 이런 도시 관광객의 경로는새로운 관광 자원의 구축에 대응해 끊임없이 변화중.


반응형